View : 663 Download: 0

관계성을 중심으로 본 로버트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 미학

Title
관계성을 중심으로 본 로버트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의 콤바인 미학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oncept of 'Relatedness' in the Robert Rauschenberg's Works
Authors
김태이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본 논문은 콤바인 미학(combine aesthetic)에 의한 로버트 라우셴버그(Robert Rauschenberg, 1925-2008)의 작업을 관계성의 개념을 중심으로 분석한 연구이다. 라우셴버그는 뉴욕미술계에 등장한 1950년대 초반부터 조각, 회화, 퍼포먼스 등 다양한 영역을 오가며 이질적으로 간주되는 요소들을 결합시키는 작업방식을 꾸준히 견지해왔다. 본 연구는 1950년대부터 1990년대 후반에 이르기까지, 여러 방식을 통해 제작된 라우셴버그의 작업들에서는 결합의 대상이 되는 요소들 간의 관계성에 대한 모색이 지속적으로 발견된다고 보았다. 이에 따라, 분석대상에 있어 시기적으로 국한되어 있던 기존의 연구를 확장하여, 그의 작업 속에 담긴 요소들이 작품과 작가가 속한 사회·문화와 어떠한 관계성을 맺으며 의미를 형성해 나아가는지 밝히고자 하였다. 내용 전개에 있어서는, 관계적 특성에 대한 라우셴버그의 관심이 발현된 근간을 우선 전후 미국의 정치사회적, 미술사적 상황과 그의 개인사적 배경에서 살펴보았으며 이어서 구체적인 작품들을 분석 및 논의하였다. 라우셴버그는 단일한 사조나 양식으로는 분류되기 힘든 다채로운 방식의 작업들을 오랜 시간 전개해 나갔지만, 그 시도들 속에서는 결합된 요소들 간의 사회·문화적인 관계적 특성들이 일관적으로 포착된다. 우선, 1950년대부터 시작된 다른 장르와의 협업 관계에서는 무대 위를 구성하는 무대연출, 의상, 무용, 음악 등의 영역들이 유기적인 관계를 맺는 양상이 드러난다. 기존의 무용 공연과 같이 하나의 장르가 특정 장르에 종속되는 것이 아닌 각 장르의 고유한 특성들이 유지된 채 함께 결과물을 만들어 나아가는 과정이 포착되는 것이다. 이어 그는 작품을 감상하는 관람자가 능동적으로 작품의 완성에 참여할 수 있게 함으로써 작품과 관람자 간의 소통 관계를 형성하려는 시도를 보여준다. 기술이 활용된 작품들의 경우, 감상하는 이가 신체적으로 작품을 가동하거나 체험할 수 있게 하였으며, 이미지들을 결합한 실크스크린 작품들을 통해서는 당시의 어지러운 사회상에 대한 사회의식을 관객과 함께 공유함으로써 소통하고자 하는 바람을 읽어낼 수 있었다. 나아가, 그의 작품에서는 무기물과 유기체, 자연물과 인공물, 혹은 낡은 폐기물과 새로운 사물과 같이 이질적인 특성을 지닌 재료들이 순환하는 관계를 맺으며 공존하는 양상을 확인할 수 있다. 하나의 작품 속에서 함께 발견되는 이질적인 재료들은 그 특질이나 상태와 관계없이, 작가에 의해 동등하게 가치가 부여되고 활용된다. 끝으로 서구의 문화와는 다른 문화권의 토산물이나 이미지를 활용한 형태의 작품을 중심으로 그는 다양한 문화 간의 상호개방적인 관계를 담아내려고 하였다. 타 문화들에 대한 관심이 드러나는 그의 작품들은 각 문화권의 사람들과 지역 예술가들의 직접적인 참여 속에서 작품의 제작과 전시가 이루어졌다. 이로써 완성된 결과물뿐만이 아닌 작업 과정 자체가 서로 다른 문화 간의 수용적인 관계성을 도모하는 수단이 되었음을 확인하였다. 이와 같은 분석을 통하여 본 연구에서는 라우셴버그의 전 작업의 기저에 관계성이라는 개념에 대한 모색이 자리하고 있었음을 밝히려 노력하였다. 공연예술부터 앗상블라주(assemblage), 실크스크린(silk-screen), 사진 등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작업방식을 거쳐 결합된 그의 작품 속의 요소들은 관계를 맺는 범주가 예술에서 사회, 나아가 문화로 점차적으로 확대되며 각기 다른 방식으로 새로운 시대의 변화를 반영하고 있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로써 본 논문은 라우셴버그에 대한 기존의 논의를 관계성이라는 개념을 통하여 재고함으로써 해석의 폭을 확장했다는 미술사적 의의를 가진다. ;This paper is an analysis of Robert Rauschenberg(1925-2008)'s work by combine aesthetic with a focus on the concept of relatedness. Since the early 1950s in the New York art world, Rauschenberg has consistently maintained a method of combining elements that are considered heterogeneous across various fields such as sculptures, paintings, and performances. This study finds that, from the 1950s to the late 1990s, Rauschenberg combined works produced in various ways and continued to find the relationship between elements to be combined. Accordingly, by expanding the existing research that was limited in time for the analysis object, it was intended to reveal how the elements contained in his combined works formed a meaning by forming a relationship between the art and the society and culture to which the artist belongs. In the development of the content, the basis of Rauschenberg's interest in relational characteristics is first examined from the post-war political and social history of the United States and his personal history, and moves on to detailed analysis and discussion of his works. Rauschenberg had developed a variety of works that have been difficult to classify in a single thought or style for a long time. In those attempts, social and cultural relationships between the combined elements were consistently captured. First, in the collaboration relationship with other genres that began in the 1950s, the aspects of stage production, costume, dance, and music that make up the stage showed an organic relationship. Like a traditional dance performance, the process of making a product together while maintaining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genre is captured rather than one genre serving a specific genre. Subsequently, he shows an attempt to form a communication relationship between the work and the viewers by allowing the viewers who actively appreciate the work to actively participate in its completion. In the case of works using techniques, the viewers were able to physically operate or experience the works, and the desire to communicate with the audience by sharing their social consciousness about the chaotic social situation of the time through combining images with silk-screens is clearly noticeable. Furthermore in his work, it is possible to confirm the aspect of circulation between organic and inorganic materials, natural and artificial objects, or materials with conflicting characteristics such as old waste and new objects. The unique materials found in one work of art are given and utilized with equal value by the artist, regardless of their characteristics and conditions. Finally, he tried to express mutually open relations of diverse cultures by focusing on works using native products and images from other cultures besides western culture. His works which showed interest in other cultures, were produced and exhibited with the direct participation of people from different cultures and local artists. As a result, it was confirmed that not only the finished product but also the work process itself was a means to promote the acceptance relationship between different cultures. From performing arts to assemblage, silk-screen, and photography, the elements in his combined works combined through various methods of work, gradually expand the category of the relatedness from art to society and even culture. It reflects the changes of the new era in different ways. This paper has an artistic historical significance that has expanded the scope of interpretation by reconsidering the existing discussion on Rauschenberg through the concept of rela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