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8 Download: 0

고려후기 봉황문(鳳凰文) 청자 연구

Title
고려후기 봉황문(鳳凰文) 청자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Later Goryeo Dynasty Celadon Wares with the Phoenix motif
Authors
강민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남원
Abstract
본 연구는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를 대상으로 원대(元代) 봉황문 제작 양상의 유입과 이후 고려 내에서 진행된 봉황문 청자의 조형 양식의 정형화→간략화→해체화 과정을 살펴보는 것에 목적을 두고 있다. 원대에는 송(宋)·금(金)의 봉황문 형상이 절충되어 당초형 꼬리와 물결형 꼬리 형상으로 표현되었으며, 봉황문은 일월용봉문·용봉문·난봉문·쌍봉문·운봉문·봉황당초문의 다양한 유형으로 제작되었다. 일월용봉문·오조이각 용봉문·난봉문은 원의 법령을 집대성한 『대원성정국조전장(大元聖政國朝典章)』과 『원사(元史)』의 봉황문 관련 법령을 살펴봄으로써, 황실 문양으로 규제된 점을 확인할 수 있었다. 용봉문·쌍봉문·운봉문·봉황당초문은 원대 유적 출토 봉황문 직물과 자주요·용천요·경덕진요에서 내수 및 수출 자기로 생산된 봉황문 자기를 통해 민간 문양으로 사용된 점을 살펴보았다. 이와 같은 원대 봉황문의 분화 배경으로 원 공장제(工匠制) 내에서 일어난 제작 공간의 이원화(二元化)를 제기하였으며, 원대 피정복지 장인(匠人)의 편입 정책을 통해 남송대 관영 공방(工房)에서 제작된 봉황당초문 유형이 원대 공방에서 이어 제작된 바를 확인하였다. 마지막으로 봉황문의 서아시아로의 물리적인 확산과 원대 상업의 발달을 배경으로 봉황문 애용 현상이 발생한 점을 알 수 있었다. 원대 봉황문 애용 문화는 13세기 후반 고려-원 양국의 관계가 긴밀해짐에 따라 왕실과 정치세력을 중심으로 고려 사회에 유입되기 시작하였다. 또한, 14세기 중반에는 고려 상인을 위한 한어 학습서인 『노걸대(老乞大)』를 통해 고려-원 양국 간 활발한 교역 활동이 확인되는데, 서술 상황을 통해 직물을 중심으로 원대 문화가 고려에 유입된 정황이 추정된다. 이와 관련하여 고려후기 불복장(佛服藏)에는 원대 유적 출토 봉황문 직물과 유사한 고려후기 봉황문 직물이 다수 존재하여, 고려 내 원대 봉황문의 유입과 애용 현상을 확인할 수 있다.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제작은 13세기 후반부터 14세기 후반까지 강진 사당리 가마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지며, 14세기 후반 전국적으로 요업이 확산된 이후에는 경상도 지역의 예천 황지리, 김해 봉림리, 양산 화제리, 칠곡 학하리, 상주 상판리 6호, 경주 암곡동 가마터에서 제작된 점이 확인된다. 무안 도리포 해저 유적에서는 14세기 후반의 봉황문 청자 발 177점이 출수되었다. 이는 봉황문 청자가 단기간에 대량으로 제작되어 선적된 점을 보여주며, 대량 제작이 가능했던 요인으로는 시문 기법의 변화가 제기된다. 봉황 머리와 몸통, 적운형 운문은 인화상감기법으로, 봉황의 세부표현과 꼬리는 선상감기법으로 제작되어, 선상감기법에 인화상감기법이 추가됨으로써 문양 제작에 용이성이 증대된 것으로 보인다.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가 출토된 국내 소비 유적은 전(傳) 충목왕 명릉 출토 자기, 강화 선원사지, 밀양 영원사지, 부산 용당동 사지 유적, 익산 미륵사지, 논산 개태사지, 강진 월남사지, 고려후기 지방 분묘 유적인 청도 대전리 Ⅰ구역 101호 묘, 제방 유적인 양산 물금 제방 유적이 있으며 국외 유적에는 중국과 일본이 확인된다. 소비 유적 출토 양상에 비추어 보면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는 고급 자기로 사용되었으며, 왕실 관련 유적을 중심으로 출토되는 고려 전·중기 봉황문 청자와는 다르게 사세가 높은 사찰을 중심으로 여러 사찰로 사용층이 확대된 점을 알 수 있다. 고려후기 청자의 봉황문 유형은 동반하는 문양에 따라 쌍봉문·용봉문·운봉문·봉황당초문으로 크게 4가지로 분류하였다. 각 문양 유형별 조형 양식 분석을 통해 새로운 문양 유형인 용봉문이 추가되고, 기존의 문양구성을 토대로 봉황문이 추가되어 운봉문과 봉황당초문이 제작된 점을 확인하였다. 또한, 봉황문 청자는 발이 주종을 이루며, 잔, 뚜껑, 받침, 접시, 편구발, 주자, 타호, 호, 병, 매병, 합, 화분, 도판 등 다양한 기종이 제작되었다. 특히 13세기 후반~14세기 전반에는 고급 기종으로 제작된 예가 확인되며, 14세기 후반 제작 기종은 발로 정형화된다. 한편 14세기 말~15세기 초에 들어서는 대형 합으로 제작되기 시작하여 새로운 제작 양상이 출현하기도 한다. 이상의 연구를 종합하여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제작 시기를 제1기, 제2기, 제3기로 구분해보았다. 제1기(13세기 후반~14세기 초) 봉황문 청자는 원대 봉황문 제작 양상과 ‘고급 기물의 문양으로서 애용 현상’이 국내로 유입되어, 왕실과 정치세력을 중심으로 고급 기종과 금채 자기 등 최고급 자기로 제작되어 사용되었다. 제2기(14세기 전반~14세기 중반) 봉황문 청자는 적운형운봉문과 봉황모란당초문이 시문된 발로 정형화되며, 봉황문 청자는 고급 자기로서 여러 사찰 유적으로 확대되어 사용되었다. 다만 동시기 원대 청화백자에 등장하는 봉황문 유형과 표현은 확인되지 않아 당시 봉황문 청자는 새로운 외부 요소가 유입되기보다는 국내에서 봉황문의 정착과 소비의 확대가 이루어진 것으로 볼 수 있다. 제3기(14세기 후반~15세기 초)는 제작 양상에 따라 제3-①기와 제3-②기로 세부적으로 구분하여 살펴보았다. 제3-①기(14세기 후반) 봉황문 청자는 강진지역 이외에 경상도 지역으로 제작 확산이 이루어지며, 적운형운봉문 발을 중심으로 제작되었다. 이 시기 강진지역 봉황문 청자와 경상도 지역 봉황문 청자의 기종과 기형, 문양 간 유사성은 봉황문 청자 제작 양상이 지방 가마터로 확산된 점을 보여준다. 제3-②기(14세기 말~15세기 초)에는 새로 등장한 대형 합에 우점형운봉문이 가득 시문된 제작 양상의 봉황문 청자가 등장하며, 봉황문 청자의 제작은 고려 말·조선 초 공납용 자기인 ‘사선(司膳)’명 청자가 제작된 경상도 지역의 가마터를 중심으로 이루어졌다. 이 시기 명의 관복에 따른 고려 공복의 개편, 명의 예제인 『홍무예제(洪武禮制)』의 도입으로 인해, 봉황문은 기물을 채우는 문양으로서의 실용적 기능에 앞서 왕실과 태평성대의 상징성이 재정립되어가는 과정에 있었던 것으로 판단된다. 이상의 내용을 통해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는 크게 두 가지 특징을 지닌 것으로 파악된다. 첫째로,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제작에는 원대 봉황문의 다양한 유형이 영향을 미쳤고, 원에서 새로이 유입된 봉황문 유형과 기존의 고려시대 청자 조형 양식에 봉황문이 가미된 유형으로 제작이 이루어졌다. 그리고 13세기 후반~14세기 초에 형성된 봉황문의 조형 양식은 이후 계승·변화 과정을 거쳐 14세기 말~15세기 초까지 제작되었다. 둘째로,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생산은 강진지역과 부안지역 가마터에서 경상도 지역 가마터로 확산되었다. 특히 고려 말·조선 초 ‘사선(司膳)’명 청자가 제작된 경상도 지역 가마터에서는 새로운 제작 양상도 확인되어, 14세기 말~15세기 초 봉황문의 재정립 과정을 살펴볼 수 있다. 이처럼 본 연구는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유적 출토 양상과 문양 유형 및 제작 기종에 대한 유물 분석을 실행하고,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제작 배경과 시기별 특징을 살펴보았다. 그 특징에 대하여 제작 환경적 및 외교적 요인으로 ‘동아시아 질서의 변화에 따른 고려 사회의 대응’과 ‘고려 내 제자업의 변화’를 종합적으로 고찰하였다. 이를 통해 13세기 후반 원의 봉황문 제작 양상이 유입된 이래로, 고려 내에서 간략화와 해체화를 거치며 고려 말·조선 초까지 제작이 계승되었다는 점을 밝혔다. 본 연구는 지금까지 간략화 및 해체화된 조형 양식으로 다른 문양으로 이해되거나 연구의 대상으로 주목받지 못하였던 14세기 말~15세기 초 봉황문 청자를 고려후기 봉황문 청자의 변천 과정 내에서 다루었다는 점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This paper centers on examining the introduction of Yuan Dynasty phoenix motif to Goryeo celadon wares and its visual history, categorized into three distinct steps― stylization, abbreviation, and disassembly. Phoenixes in ceramics during the Yuan Dynasty had either arabesque-shaped or wave-like tails that resulted from a compromise between Song and Jin Dynasty designs. They were depicted with various subjects such as the dragon with sun and moon, pairing phoenix, cloud, and arabesque patterns. Furthermore, according to Da Yuan Shengzheng Guochao Dianzhang 大元聖政國朝典章 and Yuan Shi 元史, phoenix motifs each combined with five claws and two horns-dragon and pairing phoenix with different tail were specifically stipulated as imperial patterns. On the other hand, those depicted with pairing phoenix, dragon, cloud, and arabesque patterns were highly popularized based on the fabric and ceramic artifacts from Yuan Dynasty archaeological sites. I argue how the division of manufactural space under Yuan Dynasty artisanal system impacted the division of the phoenix design. Also, Yuan artisanal studios continued to produce vessels with phoenix-with-arabesque pattern through the inclusion of the vanquished Southern Song’s state-owned studio. Last but not least, Yuan phoenix motif was widely favored thanks to commercial development and its spread to South Asia. The Yuan Dynasty culture of cherishing phoenix motif began to enter Goryeo society, mainly amongst the royal and political members, a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wo states grew intimate. Nogeoldae 老乞大, a 14th century Mongol language study book for Goryeo merchants, illustrates a vibrant material trade between the two and the influx of Yuan culture revolving around textiles. Later Goryeo Buddhist consecration textile relics indicate the impact of Yuan Dynasty phoenix motif and the contemporaneous predilection for it since they share a great similarity with that of Yuan Dynasty. The production of later Goryeo celadon wares with phoenix motif appeared around the late 13th century to the late 14th century, centered in the kiln sites of Sadang-ri, Gangjin. Approaching the late 14th century when the kiln industry expanded nation-wide, these celadons were made in Gyeongsang Province such as Hwangji-ri of Yecheon, Bongrim-ri of Gimhae, Hwaje-ri of Yangsan, Hakha-ri of Chilgok, No. 6 site Sangpan-ri of Sangju, and Amgok-dong kiln site of Gyeongju. Total 177 pieces of the late 14th century celadon bowls were excavated from the underwater site of Dori-po, Mu’an. These relics were shipped after being mass-produced in a short period of time and this paper believes the dominant factor is indebted to the transformation in decoration technique. The stamp-inlaid torso and head of phoenix and layered-cloud motifs and the line-inlaid details imply the heightened efficiency in the skill. The archaeological site related to the consumption of the Late Goryeo Dynasty celadon wares with phoenix motif are as follows: Myeongneung attributed to King Chungmok, Seonwon temple site of Ganghwa, Yeongwon temple site of Milyang, Yongdang-dong Busan temple site, Mireuk temple site of Iksan, Gaetae temple site of Nonsan, Wolnam temple site of Gangjin, Tomb 101 District 1 of Daejeon-ri Cheongdo, Mulgeum bank site of Yangsan, and Japan and China for overseas sites. This particular celadon wares were preferred as luxury vessels according to the late Goryeo period relics from the abovementioned sites. While the early and mid-Goryeo Dynasty celadon wares closely engaged with the imperial court, the consumption of those in the later period were expanded to prestigious temples. The phoenix motif of later Goryeo Dynasty can be categorized into four patterns based on the accompanied motifs― phoenix-pair pattern, phoenix-with-dragon pattern, phoenix-with-cloud pattern, and phoenix-with-arabesque pattern. Based on this categorization, this paper discovers a new pattern style, phoenix-with-dragon pattern, and the combination of already established patterns with phoenix motif which ended up in phoenix-with-cloud and phoenix-with-arabesque pattern. Majority of phoenix motif celadon wares are bowls while a variety of other vessels such as cup, lid, support, plate, ewer, bowl with a pouring lip, spitoon, jar, plum vase, vase, covered box, flower pot, tile. were also made. Particularly, during the late 13th to early 14th century, they were designed as high-quality objects and the vessel types were highly stylized in the late 14th century. Around the late 14th century to early 15th century, a new vessel shape, large-sized covered box, appeared. This paper divides the era of phoenix motif celadon ware production into three major stages based on the aforementioned analysis. In the first stage (late 13th century to early 14th century), Yuan Dynasty penchant for the pattern and applying it on quality artifacts entered into Goryeo. This influence encouraged the phoenix motif to be painted with gold and decorated on quality vessels. Then, the motif was stylized as bowls combined with layered-clouds or arabesque patterns in the second stage (early 14th century to mid-14th century) and expanded to be utilized in temples. Considering the absence of any expression related to phoenix motif on the contemporaneous Yuan blue-and-white porcelain among Goryeo celadon wares, this pattern seems to have been developed through a process of settlement and consumption in Goryeo. The third phase can be further divided into two stages. The first half of the third stage (late 14th century) consists of the proliferation of phoenix design to Gyeongsang Province and bowls with the motif combined with layered-cloud. The great visual and physical similarity shared between the celadon wares each produced in Gangjin region and Gyeongsang province implies the spread of celadon production technique to other regional areas. In the latter half (end of 14th century to early 15th century), a new vessel type of covered box embellished with phoenix and raindrop-shaped cloud motif appears. The production of phoenix motif vessels during this period revolved around kiln sites of Gyeongsang Province where tributary celadon wares, of late Goryeo and early Joseon, with ’Saseon 司膳’ mark were made. Ming-inspired reformation of official garment and the adoption of Ming Hongwu Lizhi 洪武禮制 connotes how phoenix motif went beyond a mere decoration and aimed to represent the court and peaceful reign. This paper discovered two significant characteristics of late Goryeo Dynasty phoenix motif celadon wares. The first engages with the influence of various Yuan Dynasty phoenix patterns that led to the combination with existing Goryeo celadon aesthetics. To be specific, the phoenix motif, beginning from the late 13th century to early 14th century, developed and was depicted up until the late 14th century to early 15th century. The second trait relates to the expansion of production area from Gangjin region to kiln sites of Gyeongsang Province. Moreover, a new trend of celadon manufacture appears around the sites where they used to produce ‘Saseon’ mark from late Goryeo to early Joseon era. This procedure illuminates the re-establishment of the phoenix motif during the late 14th to early 15th century. In conclusion, this paper studies the excavated phoenix motif celadon relics and analyzes the vessel types and patterns in order to discover the background behind the advent of the particular celadon wares and traits of each developmental phase. When characterizing each stage, I collectively consider Goryeo response to the transforming dynamics of East Asian politics and development of domestic Goryeo celadon industry as environmental and diplomatic factors. Grounded on the aforementioned research, this paper illustrates the abbreviation and disappearance of phoenix motif in Goryeo celadon ever since the influx of phoenix motif in the late 13th century. Last but not least, it underscores the rise and fall of the easily disregarded phoenix motif Goryeo celadon wares, produced around the late 14th to early 15th century, within the history of Goryeo celadon production.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