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3 Download: 0

도로시아 태닝(Dorothea Tanning) 작품에 나타난 인간적 욕망

Title
도로시아 태닝(Dorothea Tanning) 작품에 나타난 인간적 욕망
Other Titles
A study on The Human Desire in Dorothea Tanning’s Artworks.
Authors
김명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미술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오진경
Abstract
This thesis seeks to examine ‘The Human Desire(Le désir humain)’- the ultimate goal of surrealists, in the work of an American surrealist, Dorothea Tanning(1910-2012). In addition to her long life, Tanning did a variety of work activities including painting, stage design, and soft sculpture and she was also renowned as a literary writer with a high reputation. Tanning, who's childhood was disillusioned by a patriarchal household, the tragic war, and conventional art education, went to an exhibition named 《Fantastic Art, Dada and Surrealism》 held at the New York Museum of Modern Art(MoMA) (1936). Once she came across the exhibition, she began to build her own world as a surrealist artist, feeling that the liberation of humans pursued by surrealists and her own goal of pursuing human essential life were almost in the same line. This paper reports that ‘The human desire’, which André Breton(1896-1966) had chosen as an essential element for life, appears steadily as a means to solve problems between contradictory and conflicting ideas in the work of Tanning. Tanning's work will be divided into three periods according to changes in the style of her work. The first period can be seen from the 1940s to the mid 1950s, when Tanning took the unrealistic world of the unconscious desire that she had read and experienced in gothic novels as a child, and expressed it in detail as though it were a scene from a fairy tale. It also implicitly portrays the invisible of the external forces of human restraint and oppression through elements such as girls' hair, torn fabrics, sunflowers and dwarves, against the concealed forces of rationalism's ruling order and social power in order to present the desire of struggle. The form of her work changed rapidly since 1955 during the second period, and it can be seen as the result of Tanning's efforts to overcome her work being fixed in one form. In the works of this period, the concrete forms seen in the straightforward and descriptive story composition, such as ‘The copy of dreams’, which Breton feared for mistakes, were mostly omitted and fragmented, by means of leaving only a part of the form, colors and abstract elements. It is an ‘automatisme’ element that has been actively used to remove rational control. By attempting this change, Tanning intended to create an infinite space for the visitors to freely express their inner desires by drawing and expressing spaces directly with human emotions, unlimited dreams, and unconscious worlds. Finally, after the 1960s, Tanning's works escaped the omission and returned to concrete expression. However, there is a marked difference from the early story period, and the biggest feature of this period is the physical mobility emphasized by the systematic combination of the bodies. In addition, Tanning produced not only paintings but also soft sculptures made of clothes. It was made of an idea of objective body using fabrics resembling human skin that were intended to bring out the universality of human rights and culture beyond race and nationality. By analyzing Tanning's work in a timely manner, this study aims to point out the continuous problems of society through the autonomous elements that Tanning had experienced. Furthermore, it tries to bring it to light about the suppressed universal human desires that all human beings have. Therefore, through Tanning's attitude of pursuing the general human desire her effort to search for various methods in order to avoid stagnation, Tanning's new artistic perspectives may be able to derive what art history has been implying. ;본 논문은 미국의 초현실주의 작가 도로시아 태닝(Dorothea Tanning, 1910-2012)의 작품에서 나타난 초현실주의자들의 궁극적인 목표인 ‘인간적 욕망(Le désir humain)’에 대한 연구이다. 태닝은 자신의 긴 일생과 더불어 회화뿐만 아니라, 판화, 무대 디자인, 부드러운 조각 등 다채로운 작업 활동을 했으며, 문학 작가로도 명망 높았다. 유년기의 가부장적이었던 가정환경, 참혹했던 전쟁 그리고 관습적인 미술 교육에 환멸을 느꼈던 태닝은 1936년에 열린 뉴욕 현대미술관(Museum of Modern Art)의 《환상 미술, 다다, 초현실주의(Fantastic Art, Dada and Surrealism)》전을 접한 후 초현실주의자들이 추구했던 인간 해방과 인간의 본질적 삶을 추구했던 자신의 목표가 거의 일맥상통하다고 느끼면서, 초현실주의 예술가로서 자신의 세계를 구축하기 시작한다. 본 연구자는 앙드레 브르통(André Breton, 1896-1966)이 삶을 위한 필수적 요소이자, 모순되고 대립되던 사상들 간의 문제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선택한 ‘인간적 욕망’이 태닝의 작품에서 꾸준히 나타난다고 보고, 태닝의 작품을 작품의 양식 변화에 따라 크게 세 시기로 나누어 살펴보고자 한다. 첫 번째 시기는 1940년대에서 1950년대 중반까지로 볼 수 있는데, 태닝은 자신이 유년기 시절에 읽었던 고딕 소설(Gothic novel)의 문학에서 경험한 비현실적인 무의식의 세계를 자신의 작품 속에서 동화 속의 한 장면처럼 구체적이고 서사적인 표현으로 나타냈다. 또한, 보이지는 않지만 인간을 구속하고 압박하는 외부적인 힘을 소녀들의 머리카락, 찢긴 천, 해바라기나 난쟁이와 같은 요소들을 통해 암시적으로 그려내면서, 합리주의의 지배질서와 사회적 권력과 같은 보이지 않는 힘에 대항하여 투쟁하고자 하는 욕망을 제시하였다. 1955년부터 작품양식이 급격히 변하는 두 번째 시기의 작품들은 자신의 작업이 한 가지 양식으로 고정되는 것을 극복하기 위해 태닝이 노력해 온 결과물이라고 볼 수 있다. 이 시기의 작품들 속에서 브르통이 실수를 염려했던 ‘꿈의 복사’와 같이, 직설적이고 서술적이었던 스토리 구성에서 보이는 구체적인 형태들은 대부분 생략되고, 파편화되어 형태의 일부만 남게 되었고, 색채와 추상적 요소들이 적극적으로 사용되어 이성적인 통제가 제거된 오토마티즘(automatisme)적인 요소가 보인다. 태닝은 이러한 양식변화를 시도함으로써, 인간의 감정과 한계가 없는 꿈 그리고 무의식의 세계가 있는 공간을 직접적으로 나타내어 관람객들로 하여금 내면의 욕망을 자유롭게 발현시킬 수 있는 무한한 공간을 만들어내고자 하였다. 마지막으로, 1960년대 이후 태닝의 작품들은 생략적인 표현에서 벗어나서 다시 구체화된 표현방식으로 돌아온다. 그러나 초기 스토리 시기와는 확연한 차이를 보이며, 이 시기의 가장 큰 특징은 신체들의 유기적인 결합으로 강조된 신체의 운동성이다. 또한 태닝은 회화 작품뿐만 아니라 천으로 만든 조각도 제작하게 되는데, 인간의 피부를 닮은 천을 이용해 객관화된 신체로 만들어진 부드러운 조각은 인종, 국적을 초월한 인권과 문화의 보편성을 이끌어내고자 한다. 이와 같이 태닝의 작품을 시기적으로 분석한 본 연구에서, 태닝이 경험해온 자전적인 요소를 통해 지속되고 있던 사회의 문제점들을 지적하고, 더 나아가 인간 모두가 가지고 있는 억눌려진 보편적인 인간적 욕망의 표출을 이끌어내고자 했음을 밝히고자 하였다. 또한 전 생애적으로 보편적인 인간적 욕망을 추구했던 태닝의 태도와 형식적으로 정체하지 않으려는 그녀의 여러 가지 작업 방식들의 탐구를 통해 형성된 작가의 새로운 예술관이 미술사적으로 시사하는 바를 도출해 낼 수 있을 것이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미술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