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4 Download: 0

한국어 종결상 보조용언 연구

Title
한국어 종결상 보조용언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Focus on ‘-어 버리다’,‘-어 내다’ and ‘-고 나다’
Authors
YU, LI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본고는 한국어 종결상 보조용언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를 대상으로 이들의 의미 기능과 통사적 제약을 밝히고 이러한 의미와 제약을 가지고 종결상 보조용언 간의 연속 출현, 그리고 종결상 보조용언이 다른 상 보조용언과의 연속 출현의 양상, 의미, 통사적 특징을 살펴보는 데에 목적을 둔다. 1장에서는 본고의 연구 목적을 밝힌 다음에 종결상 보조용언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의 의미 기능과 통사적 제약에 대한 선행연구를 검토하였다. 그리고 선행연구의 문제점을 제시하였다. 2장에서는 본 연구 진행을 위한 이론적 배경을 소개하였다. 보조용언의 개념, 설정 기준, 특징, 분류를 살펴보고 상의 개념과 체계 그리고 한국어의 상 체계를 살펴보며 양태의 개념과 범주까지 살펴보았다. 3장에서는 보조용언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 각자의 양태 의미와 보조용언의 차이를 살펴보았다.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가 모두 종결상 보조용언이지만 각자 지니는 양태 의미가 다르다. ‘-어 버리다’가 문장에서 나타내는 양태 의미는 다양하다. 주로 문장 주어가 수행하는 동작에 대해 화자나 주어의 기대와 일치하느냐에 따라 다르다. 기대와 일치하는 경우 긍정적 의미를, 기대와 일치하지 않는 경우 부정적 의미를 나타낸다. 그리고 ‘-어 버리다’가 동사뿐만 아니라 형용사 본용언과 결합할 수 있다. 이때 강조의 의미를 나타낼 수 있다. ‘-어 내다’가 지니는 양태 의미는 세 가지로 나누어 분석할 수 있다. 하나는 어려움을 극복하고 동작을 끝까지 완성하겠다는 주어의 의지, 다른 하나는 주어의 의지에 대해 화자의 기대 부응, 또는 노력의 과정이다. ‘-고 나다’가 상적 의미만 가지고 있고 양태 의미가 없다. 그리고 같은 상적 의미를 지니는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가 문장에서 쓰일 때 차이가 난다. ‘-어 버리다’가 문장에서 완료된 동작을 수반하는 의미가 따로 있다. 그것은 문장의 결과는 뭔가 없어진 것이다. 그리고 ‘-어 내다’가 쓰인 문장은 동작이 끝나는 동시에 뭔가 새롭게 얻을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양태 의미에 따라 ‘-어 버리다’가 동작의 끝점을 강조하나 ‘-어 내다’가 동작의 과정을 강조하는 것이다. 4장에서는 서술어, 주어, 부사어 세 가지 측면에서 종결상 보조용언 통사적 제약을 살펴보았다. 첫째, 서술어 제약에는 주로 보조용언이 의존하고 분리할 수 없는 본용언의 결합 제약을 분석하였다.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가 ‘종결’의 의미를 가지기 때문에 시간이나 동작의 끝점을 내포하지 않는 동사와 결합되면 제약을 받는다. 그리고 ‘-어 내다’가 시간이나 동작의 끝점 내포하지 않는 동사뿐만 아니라 [-지속성], [-어려움], [-생김], [+소모] 등 의미 자질을 가지는 동사와 결합되는 경우에도 제약을 받는다. 그리고 ‘-어 버리다’가 일부 형용사와 결합 가능하지만, ‘-어 내다’와 ‘-고 나다’는 형용사와 결합할 수 없다. 둘째, 주어 제약에는 ‘-어 버리다’가 쓰인 문장에서 유정물이나 무정물을 모두 주어로 취할 수 있지만 ‘-어 내다’와 ‘-고 나다’가 쓰인 문장에서 주어가 무정물로 취하면 제약을 받는다. 셋째, 부사어 제약에는 ‘-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가 모두 ‘미완료’의 의미를 지니는 부사어나 시간적 끝점을 내포하지 않는 부사어와 같이 쓸 수 없다. 종결상 보조용언이 종결상 보조용언과 연속 출현할 수도 있고 다른 상적 보조용언과 연속 출현할 수도 있다. 종결상 보조용언이 연속 출현 가능하지만 결합 순서는 항상 고정되어 있다. 즉 ‘-어 버리다’가 ‘-어 내다’ 뒤에 후행하고 ‘-고 나다’가 ‘-어 버리다’와 ‘-어 내다’ 뒤에 후행해야 한다. 이때 의미적 충돌이 생기지 않기 때문에 두 보조용언의 상적 의미, 양태 의미를 모두 나타낼 수 있다. 종결상 보조용언과 다른 상 보조용언이 연속 출현하는 경우에는, 우선 ‘-어 버리다’, ‘-어 내다’가 ‘-고 있다’와 연속 출현 할 수 있다. 이때 ‘-어 버리다’, ‘-어 내다’가 항상 선행해야 한다. 그리고 문장에서 ‘-고 있다’가 ‘진행’의 의미를 나타내면 의미적 충돌 때문에 ‘-어 버리다’, ‘-어 내다’가 양태 의미만 나타낸다. ‘-고 있다’가 ‘동작이 완료되고 결과 지속’의 의미를 나타내면 ‘-어 버리다’, ‘-어 내다’가 상적 의미와 양태 의미 모두 나타낸다. 그리고 종결상 보조용언 ‘-어 버리다’가 ‘동작이 완료되고 결과 보유’의 의미를 지니는 ‘-어 놓다/두다’와 연속 출현 할 수 있다. 이때 ‘-어 버리다’가 ‘-어 놓다/두다’와 자유롭게 위치를 바꿀 수 있지만 위치가 바꾸게 되면 문장의 의미도 달라진다. ‘-고 나다’도 ‘-어 놓다/두다’와 연속 출현이 가능하다. 이때 ‘-고 나다’가 항상 후행하고 상적 의미를 나타낸다. 또는 ‘-어 버리다’가 ‘반복’의 의미를 지니는 ‘-어 대다’와 연속 출현할 때 위치가 고정되어 있는 것이 아니다. ‘-어 버리다’가 후행할 때 상적 의미와 양태 의미 모두 나타내지만 선행할 때 양태 의미만 나타낸다. ‘-고 나다’가 ‘-어 대다’와 연속 출현하면 항상 ‘-어 대다’ 뒤에 붙고 상적 의미를 나타낸다. 이처럼 종결상 보조용언이 문장에서 연속 출현 양상, 나타내는 의미, 특징을 살펴보았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고의 논의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본고의 한계점을 밝혔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summarize the semantic functions and syntactic constraints of the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어 버리다’,‘-어 내다’ and ‘-고 나다’ in Korean. Current studies also to analyze the continuous use of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and the continuous use of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and other aspect auxiliary verbs. Chapter 1, the significance of the research in this study has been explained in detail.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analysis of advance research, the limitations and deficiencies in advance research are raised. Chapter 2 examined the concept, sett standards, characteristics and classification methods of auxiliary verbs. Chapter 3 explored the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of the auxiliary verbs ‘-어 버리다’,‘-어 내다’ and ‘-고 나다’. Although all three of them belong to auxiliary verbs, their modal meaning have many differences. The modal meaning of '-어 버리다' in a sentence depends primarily on whether the sentence subject's actions are consistent with the speaker's or the subject's expectations. This indicates positive meaning when matched with expectations and negative meaning when inconsistent. And ‘-어 버리다’ indicates the meaning of emphasis when combined with adjectives. The modal meaning of ‘-어 내다’ can mainly be divided into two main meanings: (1) the main speaker's willingness to overcome difficulties and (2) complete the action to the end, and the speaker's expectation of the subject's will. ‘-고 나다’ has only aspectual meaning and has no modal meaning. Chapter 4 analyzed the syntactic constraints of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in three aspects: descriptive, subject and adverbial. First, about the descriptive constraints, ‘-어 버리다’, ‘-어 내다’, and ‘-고 나다’ can not be used with main verb when the verb does not contain an ending point as they have the meaning of completion, ‘-어 내다’ can not be used with main verbs that have the meaning of [-persistence], [-difficulty] and [-production]. ‘-어 버리다’ can be used with some adjectives, but ‘-어 내다’and ‘-고 나다’ are not allowed to being used. Second, about the constraints of subject, in ‘-어 버리다’ construction, both animate nouns and inanimate nouns can be the subject. But the inanimate nouns can not be used as subject in ‘-어 내다’and ‘-고 나다’ construction. Third, in regards of the adverbial constraints, when an adverbial that means ‘unfinished‘ or an adverbial that does not contain a temporal endpoint,‘-어 버리다’, ‘-어 내다’, ‘-고 나다’ can not appear at the end of this sentence.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can be used continuously, while it can also be used continuously with other auxiliary verbs. When the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appear continuously, a fixed sequence should be followed:‘-어 버리다’ is used after ‘-어 내다’, ‘-고 나다‘ is used after ‘-어 버리다’and ‘-어 내다’. Because there is no conflict in meaning at this time, so both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s can be expressed. For continuous use of completive aspect auxiliary verbs and with other auxiliary verbs, only ‘-고 있다’ can be used continuously with ‘-어 버리다’ and ‘-어 내다’. When the ‘-고 있다’ means ‘progressive’, the aspectual meaning of ‘-어 버리다’ and ‘-어 내다’ can not be expressed because of meaning conflicts. When the ‘-고 있다’ means ‘state of continuity’,both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s of ‘-어 버리다’ and ‘-어 내다’ can be expressed. While ‘-어 버리다’ used continuously with ‘-어 놓다/두다’,the order for two auxiliary verbs is interchangeable. As the position changes, the meaning of the sentence also changes. Auxiliary verbs ‘-고 나다’ and ‘-어 놓다/두다’ can also be used consecutively, but the order for the two is fixed, ‘-고 나다’ is after ‘-어 놓다/두다’. When ‘-어 버리다’ is used with ‘-어 대다’ which means ‘repeated’, the position of ‘-어 버리다’ is not fixed. When ‘-어 버리다’ appears before ‘-어 대다’, both the aspectual meaning and modal meaning can be expressed. But when ‘-어 버리다’ appears after ‘-어 대다’, it can only reflect the aspectual meaning. Chapter 5 summarized and concluded the study. The limitations of the study had been discuss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