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68 Download: 0

Deterritorialization and Transposition in Dionne Brand’s Love Enough

Title
Deterritorialization and Transposition in Dionne Brand’s Love Enough
Other Titles
디온 브랜드의 『충분히 사랑하라』에 나타난 탈영토화와 전위
Authors
이신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민정
Abstract
Dionne Brand provides the reader with vivid representations of the dilemmas and agonies from which people excluded in the history of belonging have been suffering. One of her latest novels Love Enough (2014) deals with the protagonists’ unceasing trial and error in the process of surviving in Toronto. Love Enough is not full only of misery which illuminates the discrepancy between reality and the Canadian myth—of multiculturalism, considering Brand’s literary strategy to implicitly suggest the underlying sense of victory in many moments. In this thesis, I analyze how Da’uud, Bedri, Ghost, Lia, and June’s process of drifting in Toronto causes a rupture with the monolithic sense of belonging in order to ultimately argue that they succeed in developing their own sense of belonging and connection and then reach in-between space, taking the sense of hope inherent in the novel as a point of departure. In chapter one, I explore the concept of drifting Brand conceptualizes in her memoir A Map to the Door of No Return: Notes to Belonging (2001) as an antithesis to the white-centric history and European cartography. I make a link between the potential of resisting Brand proposes in her ideation of drifting and the theoretical frameworks of this thesis: Rosi Braidotti’s conceptualization of transposition in Transpositions: On Nomadic Ethics (2006) as well as 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s idea of deterritorialization in A Thousand Plateaus: Capitalism and Schizophrenia (1980) . Chapter two examines how Da’uud, Bedri, and Ghost gradually change in their practice of drifting which leads to a series of deterritorializations. Da’uud moves from the center as an economist in Somalia to the margin as a taxi driver in Toronto. This deviation from the center allows Da’uud to halt his uncritical obsession with the arborescent hierarchy. Bedri, forced by his father Da’uud to deny and conceal his own aims and desires which represent the Deleuzo-Guattarian heterogeneity, eventually meets a moment of deterritorialization, thanks to his friend Ghost and a social activist June. Bedri’s experience of deterritorialization and permanent drifting with Ghost demonstrate the presence of marginal people capable of instigating deformations of the Same. Chapter three focuses on Lia’s relationships with her mother Mercede and grandmother Renata, and June’s with her previous lovers and current one mainly in order to accentuate the potential power of interconnectedness inherent in the Braidottian transposition. Both Lia and June discern their own self-ironies, developing their affectivity, the key to sincerely empathizing with and embracing others in the process of transposition. Lia thus becomes a bridge between Mercede and Renata, the two female figures induced to hate each other by the patriarchal Same; on the other hand, June decides to remember and protect those threatened to be forgotten in her own way. It becomes possible to detect and cherish the possibility of resistance which does not involve an unconscious self-destructive tendency in Love Enough, which is what this thesis ultimately wants to elucidate in the last chapter. The protagonists’ everyday lives become the very beginning of the rupture with the history of belonging. Da’uud, Bedri, Ghost, Lia, and June in their everyday drifting therefore develop the possibility of loving themselves and each other enough. ;디온 브랜드(Dionne Brand)의『충분히 사랑하라 (Love Enough)』(2014)는 백인 중심적 역사관(white-centered history)에 부합하지 않는 정체성으로 인해 배척되는 인물들을 다룬다. 전통적 역사관에서 기록조차 되지 않거나 왜곡 혹은 비난의 대상이 되는 인종, 국적, 섹슈얼리티를 지닌 다섯 주인공 다우드(Da’uud), 베드리(Bedri), 고스트(Ghost), 리아(Lia), 준(June)의 삶은 사회적 획일성이 낳는 소외감으로 점철되어 있다. 본 논문은『충분히 사랑하라』를 탈영토화(deterritorialization)와 전위(transposition) 개념을 통해 읽음으로써, 등장인물들의 일상 속 표류(drifting)가 획일적 소속(belonging)을 강요하는 역사적 담론에 균열을 일으키는 양상을 분석하고자 한다. 1장에서는 브랜드가 정립한 표류의 저항적 가치를 살펴본 후, 이를 질 들뢰즈와 펠릭스 가타리(Gilles Deleuze and Félix Guattari)의 탈영토화와 로지 브라이도티(Rosi Braidotti)의 전위 개념에 접목한다. 심미적 어휘를 사용한 비유법으로 획일적 소속을 향한 저항을 논하는 브랜드의 작가적 성향을 고려했을 시, 표류는 단순한 움직임을 넘어 백인 남성 중심의 시각에서 발전한 역사와 지도학(cartography)을 거부하는 행위로 해석된다. 이와 같은 표류의 저항적 가능성은 탈영토화가 추구하는 “사회의 초월성(transcendence)에서 벗어나기”뿐만 아니라, 전위가 중시하는 “사이 공간(in-between space)에서의 유목적 되기(nomadic becoming)”와 연결될 수 있다. 2장에서는 탈영토화 개념을 중심으로 다우드, 베드리, 고스트의 표류를 살펴본다. 탈영토화를 상대적 탈영토화, 절대적 탈영토화로 세분화하여 세 인물의 표류가 보이는 가능성과 한계를 분석한다. 다우드, 베드리, 고스트의 표류는 공간적 개념의 이동으로 시작됐지만, 궁극적으론 들뢰즈 철학에서 영토(territory)로 일컬어지는, 획일적 소속을 강요하는 초월성에서 벗어나는 저항적 가능성을 내포한다. 표류의 양상을 세 인물의 관계성과 연결하여 분석함으로써, 탈영토화가 인물 간 관계에서 어떻게 전개될 수 있는지 살핀다. 3장에서는 전위 개념을 적용하여 리아, 준의 표류를 분석한다. 전위는 도덕적 책임감과 연대에서 비롯되어, 사이 공간에서의 정동(affectivity)을 중시한다. 리아는 표류를 통해 가부장적 사회의 희생양이 된 엄마 메르세데(Mercede)와 할머니 레나타(Renata)를 향한 사랑과 도덕적 책임감을 깨달으며 여성 연대가 가능한 사이 공간에 도달한다. 준은 진정한 의미의 정동이 결여됐던 관계들을 거치며 역사에서 소외되는 타자들을 위한 사랑의 중요성을 깨닫고, 어디에도 기록되지 못하는 타자들이 완전히 잊히지 않게 하리라 다짐한다. 본 논문의 마지막 장에선 『충분히 사랑하라』의 역사적 배타성과 획일적 소속을 향한 저항이 지닌 의의를 분석하고 정리한다. 『충분히 사랑하라』 속 탈영토화와 전위가 등장인물들의 일상에서 일어나는 점을 비춰볼 때, 평범한 이들의 일상 속 사랑과 상호연결성이 초월적 역사 담론에 균열을 일으키는 저항이 될 수 있음을 조명하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