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연주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 중재 연구 고찰

Title
연주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 중재 연구 고찰
Other Titles
Review of Music intervention to alleviate Music Performance Anxiety
Authors
김진희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치료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는 연주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중재연구를 고찰하여 후속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근거자료를 제시하는데 있다. 분석연구대상으로 연도에 제한을 두지 않고 1987년부터 2020년 4월까지 발표된 연구를 포함하였으며 연구의 일반적 특징, 음악중재특징, 음악적 특징, 음악중재형태에 따른 중재논거를 세부 분석하였다. 1차 분석에서 연구 선정 기준에 따라 선정된 연구의 일반적 특징을 분석하였으며, 2차 분석에서는 1차 분석 대상 연구 중 11편 중 에서 9편을 선정하였다. 2차 선정과정에서 중제과정과 사용된 음악 요소를 구체적으로 기술한 연구들을 선정하였다. 2차 분석에서 음악을 전반적으로 사용한 연구와 음악을 타 치료기법과 병행하여 사용한 연구로 분류하여 각 연구의 음악중재특징, 음악중재형태, 연주불안 개입 영역, 음악적 특징을 세부 분석하였다. 또한 음악을 전반적으로 사용한 연구는 음악중재형태에 따른 중재논거를 세부 분석하였으며, 음악을 타 치료기법과 병행하여 사용한 연구는 병행된 기법과 음악과의 결합방식을 세부 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연주불안 완화를 위해 음악을 병행하여 사용한 연구에서 음악의 치료적 개입 수준의 차이를 보였다. 둘째, 음악을 전반적으로 사용한 연구의 논거에서 음악활동에 대한 특성을 기술하였음을 확인하였다. 셋째, 연주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중재를 시행한 연구가 연대별로 종종 시행되었음을 확인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연주불안 완화를 위한 음악중재의 현황, 사용된 음악중재 접근법, 음악중재형태에 따른 논거를 분석하였고, 향후 연구에 활용될 수 있는 자료로서 가능성을 제시하고자 한다.;The intent of this study is to review the studies conducted on intervene to alleviate music performance anxiety and to suggest evidence that could be used in future studies. A total of 11 domestic and international research published from 1987 to April 2020 was selected as a research subject and analyzed in detail according to general characteristics, the features of music intervention, musical characteristics, rationale for intervention by forms of music activity. In the first stage of analysis, the selected studies were analyzed for general characteristics. In the second stage of analysis, 9 studies which specifically described process of intervention and musical elements were selected among 11 studies. The 9 studies were classified by method of using music such as using music solely and combined with other techniques. Also the feature of music intervention, form of music intervention, intervention areas for alleviating music performance anxiety, musical characteristics were addressed. In 4 of 9 studies using music method only, rationale for intervention by forms of music activity was analyzed mainly. Also the rest of 5 studies using music combined with other techniques were analyzed according to connection music with other techniques. The analysis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of all, research using music method combined other techniques showed a difference in the level of therapeutic intervention in music. Second, It was confirmed that the rationale for studies using music solely described the characteristics of musical activities. In addition, research for intervention to alleviate music performance anxiety was not conducted frequently. This study is meaningful to suggest the potential that the study could be used in future research by analyzing the trends of music intervention, the approach of music intervention and rationale for forms of music intervention to alleviate music performance anxie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