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6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수지-
dc.contributor.author김세민-
dc.creator김세민-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21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2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191-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191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736-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음악 동조화 자극을 적용한 보행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보행기능에 어떠한 변화를 나타내는 지 알아보는 것이다. 총 4명의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주 3회, 30분씩 총 8~10회기의 중재를 진행하였다. 중재 목표와 활동 내용은 사전 동작분석검사를 통해 확인된 대상자의 보행 양상을 토대로 구성되었다. 사용된 음악은 기존 곡의 선율, 화성을 활용하여 대상자별 목표에 적합하도록 재구성되었다. 연구결과를 살펴보면, 음악 동조화 자극을 적용한 보행훈련 후 대상자들의 보행지표 상에 개선이 나타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시공간적 지표에서는 분속수, 보장시간, 활보장시간에서 개선이 나타났다. 특히, 양측 모두 개선이 나타난 대상자들은 보행속도 또한 증가하였다. 운동형상학적 지표에서는 시상면에서의 족관절 운동범위에 개선이 나타나 보행 시 필요한 관절움직임에도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또한 중재 후 제공되었던 음악자극의 템포와 대상자들의 분속수가 유사해진 것으로 나타나 척수손상환자를 대상으로도 동조화 원리가 적용됨을 알 수 있었다. 결과적으로 음악 동조화 자극을 적용한 보행훈련이 척수손상환자의 보행기능 개선에 활용될 수 있는 치료적 중재임을 확인하였다. 또한, 기존의 리듬자극만을 활용한 연구에서 더 나아가 음악 요소를 복합적으로 사용한 데 의의가 있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investigate the gait training with Music Entrainment Stimulation showed positive changes in gait function of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A total of 4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were participated, and 8-10 interventions were conducted three times a week for 30 minutes. The Intervention objectives and programs were constructed based on each subject’s gait pattern identified through preliminary motion analysis. The music in Music Entrainment Stimulation was arranged to suit each subjects’ cadence by applying the melody and harmony of the existing song. The results of the study confirmed that there was an improvement in gait index of the subjects after gait training with Music Entrainment Stimulation. The following improvements were seen in cadence, step length, and stride length on the spatiotemporal parameters of each subjects after gait training. In particular, those who showed improvement to both lower extremities had an increased in walking speed. In kinematic parameters the improvement in range of motion of the ankle joint in sagittal plane confirmed that there were positive changes on the movement required for gait. In addition, patients’ cadence were synchronized with a tempo of the music stimulation and it shows that entrainment was also applied to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y. Therefore, the entrainment mechanism can also applied to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Through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confirmed that gait training with Music Entrainment Stimulation was an appropriate therapeutic intervention to improve gait function in patients with spinal cord injuries. And it was meaningful to use the elements of music in a more complex way than other research which only uses rhythmic elemen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1 B. 연구 문제 4 Ⅱ. 이론적 배경 5 A. 척수손상환자 5 1. 척수손상의 정의 및 원인 5 2. 척수손상환자의 분류 6 B. 척수손상환자의 보행 7 1. 마비 유형에 따른 보행양상 7 2. 척수손상환자의 보행훈련 8 C. 음악 동조화와 보행훈련 9 1. 보행훈련과 동조화 9 2. 보행훈련과 음악 11 3. 보행훈련에서 사용된 음악 12 Ⅲ. 연구방법 14 A. 연구대상 14 1. 대상자 A 15 2. 대상자 B 16 3. 대상자 C 17 4. 대상자 D 18 B. 연구도구 19 1. 실험도구 및 사용악기 19 2. 연구장소 20 C. 연구절차 및 설계 21 1. 사전 면담 및 동의서 획득 21 2. 사전사후 동작분석검사 21 3. 중재프로그램 구성 22 D. 분석방법 25 1. 시공간적 지표 25 2. 운동형상학적 지표 26 Ⅳ. 결과 및 논의 27 A. 결과 27 1. 대상자 A 27 2. 대상자 B 37 3. 대상자 C 46 4. 대상자 D 56 5. 전체 대상자의 보행지표 변화 비교 64 B. 논의 67 Ⅴ. 결론 및 제언 69 A. 결론 69 B. 제언 70 C. 연구의 제한점 71 참고문헌 72 ABSTRACT 81-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45351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척수손상환자의 보행기능 향상을 위한 음악 동조화 자극(Music Entrainment Stimulation) 적용 사례-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Case Study of Gait Training Using Music Entrainment Stimulation for Spinal Cord Injuries-
dc.format.pagevi, 82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