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2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노윤희-
dc.creator노윤희-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20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20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7859-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7859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732-
dc.description.abstract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feasibility of ‘The Imagery-focused Music Listen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 regulation skill for infertile women.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the theoretical basis was confirmed through prior researches on the emotional needs of infertile women, and the difficulties related emotion regulation. In addition, the essential elements needed for program development were analyzed through a prior study of supporting music and imagery (SMI) techniques. The researcher participated into SMI seminar and training courses, and attained how efficiently the principle could be used for the intervention to infertile women. In other words, the program development was based on the experience and understanding of researchers acquired through SMI training, along with establishing the theoretical foundation based on prior research analysis. The feasibility of the program was verified by four music and imagery technique experts through two rounds of feasibility verification evaluations. The final program is presented after the correction and modification was carried out by reflecting the opinions of experts. The main characteristics of the finally developed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program was organized with systematic stages of discovery, reinforcement and establishment of positive emotional resources to cope with infertility-related psychological difficulties. This aims to strengthen the psychological capacity to overcome emotional difficulties by internalizing focused positive emotional resources. Second, through the changes of musical elements in each stage of the program, a music pool was presented to support exploring the positive emotional resources and the experience of internal change resulting from the utilization of identified resources. Regarding musical features, the first stage has clear and repetitive melodies with high predictability for safe inner exploration. The second stage supports strengthening positive emotional resources through musical features that suggest changes in key and range of the melodies compared to the first stage of music at a predictable level. The last stage utilizes music with melody development and resolution to support the use of focused positive emotional resources and positive internal changes through them. Third, the intervention was structured to establish positive emotional resources that could be applied to cope with the negative emotion related to infertility by presenting contents to focus for the imagery experience. This study has limitations in the scope of limited research up to program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feasibility. However, it is meaningful that the new attempt was made in that the existing supportive music and imagery techniques were modified and applied according to the purpose of the research as the first study of the program for music therapy intervention for infertile women.;본 연구의 목적은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기술 향상을 위한 ‘심상 중심 음악감상 프로그램(Imagery-focused Music Listening Program)’을 개발하고 이에 대한 타당도를 검증하는 것이다. 먼저,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난임 여성의 정서적 어려움과 이에 대한 대처방식에 관한 선행 연구 조사를 통해 난임 여성의 정서적 필요에 대한 이론적 기반을 확인하였다. 또한, 지지적 음악과 심상(Supportive Music and Imagery, 이하 SMI) 중재 선행 연구 고찰을 통해 프로그램 개발에 필요한 핵심 요소들을 분석하였다. 이와 더불어 연구자가 SMI 세미나와 훈련 과정에 직접 참여하여 해당 기법에 대한 원리를 이해하였다. 즉, 프로그램 개발은 선행 연구 분석에 따른 이론적 기반 확립과 함께 SMI 훈련을 통해 습득한 연구자의 경험과 이해를 바탕으로 하였다. 개발된 프로그램은 음악과 심상 전문가 4인에게 2차에 걸친 타당도 검증 평가 후 수정 보완 작업의 과정을 거쳐 최종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최종 개발된 프로그램의 주요 특성은 다음과 같다. 첫째, 난임 여성이 난임 관련 부적 정서를 대처할 수 있는 긍정 정서 자원의 발견, 강화 및 확립의 세 단계로 프로그램의 단계를 체계적으로 구성하였다. 이는 초점화된 긍정 정서 자원이 내재화되어 정서적 어려움을 극복하는 심리적 역량의 강화를 도모하고자 함이다. 둘째, 프로그램의 단계별 목표에 따라 음악적 요소의 변화를 통해 긍정 정서 자원을 탐색하고, 규명된 자원의 활용에 따른 내적 변화의 경험을 지지할 수 있는 음악 풀을 제시하였다. 음악적 특징을 살펴보면, 1단계에서는 안전한 내면 탐색을 위해 주선율이 명료하고 반복적이며 높은 예측 가능성을 갖는다. 2단계는 예측 가능한 수준에서 1단계 음악 대비 조성, 음역 등의 변화가 제시되는 음악적 특징을 통해 긍정 정서 자원 강화를 지지한다. 마지막 3단계는 초점화된 긍정 정서 자원의 활용과 이를 통한 긍정적 내적 변화를 지지하고자 선율의 발전과 해결이 있는 음악을 활용한다. 셋째, 심상 경험을 위해 초점화할 내용을 제시하여 난임 관련 부적 정서를 대처하는데 적용할 수 있는 긍정 정서 자원을 확립할 수 있도록 세션을 구조화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 개발 및 타당도 검증까지의 제한적 연구 범위의 한계를 갖는다. 그러나 난임 여성 대상 첫 음악치료 중재 프로그램 개발 연구로서, 기존의 SMI 기법을 연구의 목적에 따라 수정하여 적용한 점에서 새로운 시도를 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용어 정의 7 D. 연구 범위 8 Ⅱ. 이론적 배경 9 A. 난임과 난임 치료 9 1. 난임의 정의와 현황 9 2. 난임 치료 10 B. 난임 여성의 정서적 필요 11 1. 난임 여성의 심리 정서적 특성 11 가. 난임 여성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 11 나. 난임 여성의 심리 정서적 어려움의 영향요인 16 2. 난임 여성 대상 심리적 중재 19 C. 정서조절기술 21 1. 정서 및 조절의 정의 21 2. 정서조절기술의 정의 23 3. 난임 여성의 정서조절 25 D. 음악 감상과 심상 27 1. 음악 감상의 정서조절 기능 27 2. 심상의 정서조절 기능 31 3. 음악과 정서와 심상의 상호작용 33 4. 음악 감상과 심상을 활용한 기법 35 Ⅲ. 연구방법 38 A. 프로그램 개발 절차 38 B. 선행연구 고찰을 통한 항목별 분석 39 1. 적용 대상 선정기준 46 2. 세션 목표 46 3. 세션 구성 및 시간 47 4. 프로그램 형태 47 5. 치료 수준 및 단계별 목표 47 6. 세션 단계 구성 48 7. 초대된 심상과 연결된 긍정 정서 자원 48 8. 음악 선곡 논거 49 9. 전문가 타당도 검증 여부 50 10. 중재 논거 제시 여부 51 11. 연구자의 전문성 51 C. 프로그램 구성 설정 52 1. 단계별 목표 구성 52 2. 세션별 목표 및 단계 구성 53 가. 세션별 목표 구성 53 나. 세션 단계 구성 54 3. 심상 경험을 위해 초점화할 내용 55 4. 음악 선곡 56 D. 연구자의 준비도 58 E. 전문가 타당도 검증 58 Ⅳ. 결과 및 논의 59 A. 프로그램 구성 59 1. 적용 대상 선정기준 59 2. 세션 구성 및 시간 60 3. 프로그램 형태 61 4. 프로그램의 이론적 틀 61 5. 프로그램 구성 틀 63 6. 프로그램 구성 및 논거 64 가. 단계별 목표 구성 및 논거 64 (1) 긍정 정서 자원 발견 (1-2회기) 64 (2) 긍정 정서 자원 강화 (3-4회기) 65 (3) 긍정 정서 자원 확립 (5-6회기) 66 나. 심상 경험을 위해 초점화할 내용 67 7. 프로그램 세션 구성 및 논거 69 가. 내면 정서 규명: 들어가기 69 나. 자원 탐색 70 (1) 심상 초대 70 (2) 선곡하기 71 (3) 도입 71 (4) 음악 감상과 심상 작업 72 다. 자원 강화: 마무리 72 8. 음악 선곡 및 분류 73 B. 프로그램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 결과 85 가. 음악 관련 85 나. 프로그램 개발 논거 관련 88 다. 프로그램 구성 관련 89 C. 프로그램의 실제 90 D. 논의 101 Ⅴ. 결론 및 제언 105 A. 결론 105 B. 제언 107 참고문헌 109 부록1. 음악 관련 전문가 타당도 검증 평가지 127 부록2. 프로그램 개발 논거 관련 전문가 타당도 검증 평가지 136 부록3. 프로그램 구성 관련 전문가 타당도 검증 평가지 137 부록4. 선곡의 음악 요소별 특성 138부록5. 프로그램 활동 내용 예시 (1회기) 157 부록6. 프로그램 활동 내용 예시 (2회기) 160 부록7. 프로그램 활동 내용 예시 (3회기) 163 부록8. 프로그램 활동 내용 예시 (4회기) 166 부록9. 프로그램 활동 내용 예시 (5회기) 169 부록10. 프로그램 활동 내용 예시 (6회기) 172 ABSTRACT 17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342990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난임 여성의 정서조절기술 향상을 위한 심상 중심 음악 감상 프로그램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Development of ‘The Imagery-focused Music Listening Program' to improve emotion regulation skill for infertile women-
dc.creator.othernameRho, Yoonhee-
dc.format.pageix, 177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음악치료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치료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