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89 Download: 0

선택중심 교육과정 경험에 비추어 본 고교학점제 시행의 준비 과제 탐색

Title
선택중심 교육과정 경험에 비추어 본 고교학점제 시행의 준비 과제 탐색
Other Titles
Exploring the priorities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based on elective curriculum experiences
Authors
윤보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교육과정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황규호
Abstract
This study provides written interviews and face-to-face interviews to examine the feasibility of a high school credit system that can realize a variety of curriculums tailored to individual students by adapting a variety of flexible and individualized curriculums focused on student growth according to students' career and curriculum selection according to interests. I interviewed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a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teachers who have worked in a high school credit case school to find out about the possibility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study presented the following three research problems. First, how are high school teachers' perception of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what is the perception of high school students'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rd, is there any possibility of successful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is is to find out the problems and improvements for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the interview with teachers and students who have experienced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teachers who have experienced high school credit case schools. This is to see if it can be successfully implemented. The study conducted a written interview for teachers who had experience i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teachers who had worked in a case school, and face-to-face interviews in the students who had experienced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First, high school teachers were generally thinking positively about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could not agree well with the purpose and goals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cause they were not awar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econd, students expressed negative opinions on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Even the students were not awar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y were getting information on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r high school credit system through private institutes. Third, most teachers responded positively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ut most of the students were negative. In the case of teachers,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positively evaluated as an education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However, In the case of high school students who had to search for careers and interests regarding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students were negative in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because it is a system in which they had to choose a course and choose a curriculum. Specifically, most of the students and teachers were unaware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he majority of teachers were unaware tha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ould be implemented, making it difficult for teachers to understand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and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In addition to students had encountered at the private institute, understanding of the goals and purpose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or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low. Next, high school students selected a curriculum while their career and interests were not confirmed, and it was difficult to systematically select a curriculum because there was no information about the curriculum, and students who were in the process of choose careers and interests through curriculum classes. However, if students chose a class that suits their aptitude and interests, they want to learn in-depth content, and teachers are also interested in the class with students who are interested in participating in the class. As a result, many opinions were expected to change the class when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as implemented. However, there were many opinions that it was difficult for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and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be ideally implemented in a realistic situation where there was a lack of connection wit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and even the teachers guided the students according to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Also, in the case of the referenced assessment, most thought that it was impossible because of the lack of reliability and fairness when considering the relationship wit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In addition, for out-of-school curriculums to implement individualized curriculum, it was difficult for students who are study in private institutes studies both after school and on weekends. In the case of the base school, there was an opinion that the curriculum outside the school could not be revitalized without information on which subjects were opened in advance. In addition, due to the implementation of the elective-centered curriculum, various administrative tasks such as holding committees, counseling students, preparing timetables and conducting exams, teachers have had many difficulties. Finally, in the opinion of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eachers agreed to implement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to change the high school system, but preferentially solved problems such as improvement the connection with the college admission system, reduction of administrative tasks, and recognition of evaluation rights of teachers. In the case of students, it was a negative opinion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which was considered as the standard for graduation and college admission system. The reform of education pursued by the high school credit system is to prepare for the future society, and the shape of the future social education is not only to secure the quality of learning and education contents, but also students' dreams, creativity and cooperation. ;본 연구의 목적은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경험한 교사와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을 통해,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의 경험을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대한 인식과 고교학점제의 이상적인 시행을 위한 준비 과제를 알아보는 데 있다. 고교학점제는 “진로에 따라 다양한 과목을 선택・이수하고, 누적 학점이 기준에 도달할 경우 졸업을 인정받는 교육과정 이수・운영제도” 로서 학생들이 자신의 흥미와 적성, 진로에 따라 과목을 선택하고 최소 성취 수준에 도달한 학생은 학점을 이수하여 진급과 졸업이 가능한 제도이다. 고교학점제는‘학생의 과목 선택’이라는 점에서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연장선상이라고 할 수 있지만 선택중심 교육과정과의 차이는 ‘학점의 이수’에 따라 진급과 졸업이 가능하다는 것이다. 본 연구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하고 있는 교사와 학생, 그리고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경험한 교사의 경험을 분석하여 고교학점제의 성공적인 시행을 위한 논의 및 시사점을 이끌어내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사와 학생은 선택중심 교육과정에서 어떠한 경험을 했는가? 둘째,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대한 고등학교 교사와 학생의 인식은 어떠한가? 셋째,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준비과제는 무엇인가? 본 연구에서는 진로와 흥미에 따라 학생 스스로 과목을 선택하는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경험을 한 학생과 교사의 인터뷰를 바탕으로 학생이 과목을 선택하는 것이 학생의 배움과 성장에 얼마나 도움이 되는지 선택중심 교육과정이 운영되는데 문제는 없었는지 알아보고자 한다. 교사와 학생이 지닌 선택중심 교육과정의 경험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근무한 교사의 경험을 바탕으로 문ㆍ이과 통합형 지식을 겸비한 창의ㆍ융합형 인재 양성을 목표 학생 개개인 맞춤형 교육과정을 실현하고자 하는 고교학점제의 시행에 대한 인식과 고교학점제 이상적 시행을 위한 준비 과제를 알아보고자 하였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고교학점제 연구학교를 경험한 교사 5명과 고교학점제 연구학교에서 근무한 경험이 없지만 선택중심 교육과정을 경험한 교사 4명을 선정하여 서면 인터뷰를 실시하였고 일반계 고등학교에 재학 중인 학생 2명을 대상으로 대면 인터뷰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고교학점제 시행에 대한 인식으로는 미래 사회를 준비하는 교육과정 수업의 변화를 이끄는 교육과정이라는 점에서 대부분의 교사는 긍정적으로 생각하였지만 고교체제와 대입제도와의 밀접성을 고려했을 때 고교학점제의 취지와 방향대로 문ㆍ이과 통합형 창의ㆍ융합형 인재를 길러내는 방향으로 대입제도가 변하지 않는다면 고교학점제의 이상적인 시행도 어려울 것이라는 의견이 대다수였다. 둘째,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준비 과제로는 고교학점제의 비전 공유, 대입제도와의 연계, 과목 선택의 어려움 해소, 학교 밖 교육과정의 활용, 교사의 행정 업무 감소 등을 제시하였다. 조직에서는 목표를 달성하기 위해 조직원들과의 비전을 공유하는 절차가 필요하지만 학교 현장에서는 아직 고교학점제의 목표와 취지에 대해 인지하고 있지 못한 교사와 학생이 대다수였기 때문에 고교학점제의 목표와 취지에 대해 교사와 학생의 공감대 형성이 필요하다. 우리나라의 경우 대입제도에서 수능의 영향이 매우 크기 때문에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시행되기 위해서는 대입제도와의 연계가 필요하며 진로를 정하지 못하는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흥미를 정립하고 그에 따라 과목을 선택할 수 있도록 도움을 주어야 한다. 단위학교에서 실현하기 어려운 학생 개개인 맞춤형 교육과정을 실현하기 위해서는 학교 밖 교육과정을 충분히 활용할 수 있어야 하며 교사의 행정 업무를 감소시키고 고교학점제가 시행되기 위한 제도가 확립되어야 한다. 결론적으로, 본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고교학점제의 성공적 시행을 위한 과제를 다음과 같이 제시하고자 한다. 첫째, 전인적인 성장을 지원하는 대입체제로의 변화가 선행되어야만 고교학점제와 같은 교육체제의 변화가 성공적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대입에 많은 관심과 부담을 갖고 있는 우리나라 상황에 비추어보았을 때, 대입체제의 변화가 수반되지 않는다면 원하는 이상적인 모습으로의 고교체제의 변화는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학생들이 자신의 진로와 흥미를 발견하고 꿈과 희망을 가진 창의ㆍ융합형 인재로 성장할 수 있도록 대입제도의 변화가 시행되어야 할 것이다. 둘째, 고교학점제와 관련하여 다양한 교육관계자 외 광범위한 의견 수렴 과정이 필요하며 고교학점제에 대한 목표와 취지에 대한 공감이 있을 때 고교학점제가 성공적으로 시행될 수 있다. 특히, 교사와 함께 고교학점제의 목표와 취지에 대한 공감을 얻는 것은 교육 현장에서 교육과정을 실행하는 교사의 전문가적인 역할이 중요한 이때에 매우 중요한 단계라고 할 수 있다. 교사와 학생에게 고교학점제에 대한 안내를 통해 목표와 취지가 공유된다면 고교학점제가 지향하는 목표에 더 가까이 다가갈 수 있을 것이다. 셋째, 고등학교 교사의 경우 고등학교 체제에 대한 변화의 공감대가 형성되어 있기 때문에 앞으로도 고교학점제와 같은 교육 체제의 변화는 계속 시도되어야 한다. 고교학점제를 통해 학생이 행복한 학교, 배움이 성장하는 학교, 미래의 인재를 준비하는 학교의 모습을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교육과정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