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연기(緣起)적 생성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환영(幻影)」의 상징적 표현 연구

Title
연기(緣起)적 생성론을 바탕으로 한 무용창작작품 「환영(幻影)」의 상징적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the Creative Dance Work 「Illusion」 Incorporating the Buddhist Dependent Origination Theory
Authors
최시원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무용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명숙
Abstract
본 연구는 불교의 연기(緣起)적 생성론을 분석하고, 이를 적용하여 무용작품 「환영(幻影)」을 창작하는 것이 목적이다. 이를 위해 먼저 연기적 생성론의 구조와 상징매체인 인드라망[因陀羅網]에 대해 고찰하였고, 이를 적용한 춤사위와 공간을 구성함으로써 「환영(幻影)」의 상징적 표현에 대하여 논의하였다. 이를 통해 불교의 연기적 생성론의 작품화 과정에 대한 예술적 의미와 시사점을 제시하였다. 연기는 일체의 현상에 대한 불교적 인식으로, 존재와 현상은 홀로 생성되는 것이 아니라 다층적인 관계의 합에 의해 일시적으로 구축되는 것이라고 보는 관점이다. 이는 존재의 생성과 소멸을 설명한 것으로, 윤회를 강화하는 과정과 윤회를 벗어나 깨달음에 이르는 과정으로서의 십이연기(十二緣起)와 연기의 범주가 전 우주로 확대되는 것을 인드라망으로 상징화되는 중중무진연기(重重無盡緣起)로 세분화된다. 연기적 생성론은 존재, 세계, 자연의 사건 등과 더불어 정신, 윤리, 사회적 행위 등 세계의 구조에 대한 관심을 바탕으로 서로 다른 현상을 하나의 원리로써 설명한다. 이에 의하면 각기 다른 현상을 통일된 원리를 통해 보편적 의미를 도출하며, 무관해 보이는 각각의 현상은 무한한 상호연관성을 통한 유기체적 연결성을 지닌다고 볼 수 있다. 궁극적으로는 유동적으로 변화하는 현상에 내재된 공성(空性)을 깨닫고 현상 본연의 모습에 대한 긍정과 능동적 태도를 영위할 것을 암시하고 있다. 무용작품 「환영(幻影)」은 이러한 연기적 생성론의 분석을 통해 나타난 구조와 상징을 바탕으로 창작한 것으로, 연구자는 연기적 생성론에 내재된 구조를 토대로 상징매체인 인드라망의 이미지를 작품으로 형상화하였다. 또한 이를 근거로 해석한 유전성(流轉性), 관계성(關係性), 환멸성(還滅性)을 바탕으로 작품의 창작과정인 주제, 내용, 춤사위, 공간구성, 오브제의 제작에 활용하였다. 세분화해보면, 작품 「환영(幻影)」은‘미진(微塵)-만상(萬象)-환영(幻影)’의 세 장으로 구성되었고, 각 장은 ‘개체의 생성-현상의 발현-공성의 자각’의 내용을 표현하였다. 유전성, 관계성, 환멸성의 세 가지 특성은 미진·만상·환영의 춤사위, 나선형적 구조· 중층 구조· 역나선형의 구조의 공간구성, 의상·음악·조명·소품의 오브제로 시각화되어 작품의 이미지와 궁극적 의미를 강화하였다. 이러한 연기적 생성론에서 도출한 근거를 토대로 작품을 창작하였다. 창작결과, 다음과 같은 상징적 표현을 이끌어내었다. 첫째, 인드라망의 특성이 작품 「환영(幻影)」에 적용된 과정을 통해 모든 것이 연쇄적으로 발생한다는 ‘인과적 연속성’의 의미가 나타났다. 특히 인과적 연속성은 춤사위와 공간구성에서 잘 나타났다. 춤사위에 있어서의 인과적 연속성은 다음과 같다. 유전성, 관계성, 환멸성의 특성을 바탕으로 제작된 미진, 만상, 환영의 춤사위는 작품에서 개체의 생성, 현상의 발현, 공성의 자각이라는 내용의 흐름과 연관되어 연속적으로 생성되었다. 각각의 춤사위는 시공간적 인과에 따른 형상을 전체적으로 파악해야 춤사위의 의미가 해석 가능하도록 구성되었으며, 춤사위의 제작원리에도 적용되어 높낮이, 질감, 속도, 방향의 변화 근원을 통해 동작 간의 관계에 주목하였다. 공간구성에 있어서도 인과적 연속성은 다음과 같이 나타났다. 작품의 공간은 전개과정에 따라 나선형적 생성의 구조, 관계적 중층 구조, 역나선형적 소멸의 구조로 구성되었다. 1장의 무대의 중심부에 기인한 생성, 2장의 분화와 확장, 3장의 중심부로의 소멸은 서로 간에 인과적 연속성을 지니며 순차적으로 표현되었다. 둘째, 작품에서 인드라망을 적용하여 제작된 오브제를 통해 ‘총체적 연결성’이 나타났다. 인드라망은 개체 간에 촘촘히 유기적으로 연결되어 있으므로 무한하게 시·공간의 확장을 거듭한다는 의미를 지녔으며, 이 상징은 화려한 빛의 그물의 이미지를 내포하고 있다. 이러한 인드라망의 이미지는 오브제의 제작 원리로 사용되어, 각 요소에 첩첩이 쌓여 끝없이 연결되는 형상을 부여하였다. 이를 통해 모든 것은 하나로 연결되어 있다는 ‘총체적 연결성’의 의미가 나타났다. 셋째, 연기적 생성론이 지니는 의미를 바탕으로 구성된 작품 「환영(幻影)」의 주제와 내용에는 나, 세계, 우주로 시공간적 층위를 확장함을 통해 유동적 개방성을 보여주었다. 고정되어 머무르지 않는 변화의 과정을 순차적으로 보여주며, 공간층위의 확장의 근거로써 상호의존적 생성의 원리를 토대로 주제와 내용을 설정하여, 유동적 흐름을 시각화하였다. 이를 통해 작품에 내재된 유동적 개방성이 나타났다. 이에 본 연구는 연기적 생성론의 구조와 인드라망의 상징특성을 작품으로 형상화하여 인과적 연속성, 총체적 연결성, 유동적 개방성으로 표현되는 과정을 심층적으로 다루었다. 따라서 연기적 생성론을 무용작품으로 창작함으로써, 예술표현으로의 가치를 발견하고 불교에 내재된 의미와 가치를 현대적으로 재조명함을 통해 연구의 시사점을 발견 할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내면의 본질을 추구하는 주제에 근거한 무용창작이 동아시아 사유범주를 바탕으로 한 새로운 한국 창작춤의 대안으로 제시될 수 있다는 데에 의미를 갖는다.;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ism, and then to create a dance work 「Illusion」 by applying this. For this, first, this study discussed the symbolic expressions of 「Illusion」 by considering the Indra-jara which is the structure and symbolic medium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also composing dance movements and space by applying it.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suggested the artistic meanings and implications of the process of changing the dependent origination of Buddhism into a work. As a Buddhist perception of entire phenomena, the dependent origination views that a being and phenomenon are not formed by themselves, but temporarily built up by the sum of multilayered relations. Explaining the formation and extinction of beings, this is subdivided into Paticcasamuppada meaning the process of strengthening Samsara(the eternal cycle of birth, death, and rebirth), and the process of reaching the enlightenment after getting out of Samsara, and the endlessly-tangled dependent origination in which expanding the category of dependence into the whole universe is symbolized as Indra-jara. The dependent origination explains different phenomena with a single principle based on interests in the world structure such as events of beings, world, and nature, and psychological/ethical/social behaviors. According to this, an universal meaning is drawn through the unified principle of each different phenomenon, and each phenomenon looking unrelated to each other has the organic connectivity through infinite interconnectivity. Ultimately, this implies to realize the emptiness inherent in flexibly-changing phenomena, and to have such optimistic and positive attitude toward the true looks of phenomena. The dance work 「illusion」 has been created on the basis of structure and symbol shown through the analysis of dependent origination. Based on the structure inherent in the dependent origination, the researcher represented the image of Indra-jara as a symbolic medium into the work. Also, based on the eternal cycle of birth and death, relational properties, and the characteristics of Nirvana interpreted based on this, it was utilized for the production of theme, contents, dance movements, spatial composition, and objet of the work. In details, the work 「Illusion」 was composed of three chapters such as‘Mote-Shape of Everything-Illusion’, and each chapter expressed the contents of ‘Formation of Entity-Revelation of Phenomenon-Self-awareness of Emptiness’. Those thre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ternal cycle of birth and death, relational properties, and Nirvana were visualized into dance movements of Mote·Shape of Everything·Illusion, spatial composition of spiral structure· multilayered structure· reverse-spiral structure, and objets like costume·music·lighting·props, which strengthened the image and ultimate meanings of the work. The work was created based on the grounds drawn from the dependent origination. In the results of the creation, the symbolic expressions were drawn as follows. First, through the process of applying the characteristics of Indra-jara to the work 「Illusion」, it showed the meaning of ‘causal continuity’ in which everything occurs sequentially. Especially, the causal continuity was shown well in dance movements and spatial composition. The causal continuity in dance movements is as follows. The dance movements of mute, shape of everything, and illusion produced based on the characteristics such as the eternal cycle of birth and death, relational properties, and Nirvana, were sequentially formed in the connection with the flow of contents including the formation of entity, revelation of phenomenon, and self-awareness of emptiness. Each dance movement was composed to be interpretable only when the overall shapes by temporal/spatial causality could be understood. As it was also applied to the production principle of dance movements, this study paid attention to the relation between movements through the source of changes in height, texture, speed, and direction. The causal continuity in spatial composition was shown as follows. The space of the work was composed of spiral formational structure, relational multilayered structure, and reverse-spiral extinctive structure in accordance with the development process. The formation originated from the central part of stage in Chapter1, the division and expansion in Chapter2, and the extinction into the central part in Chapter3 were sequentially expressed by having the causal continuity with each other. Second, the ‘overall connectivity’ was shown through the changes in shape and color of Indra-jara used for the work. As the Indra-jara is densely and organically connected between entities, it has the meaning of infinitely repeating the expansion of time and space, and this symbol implies the image of net in fancy light. This image of Indra-jara was used as a production principle of objet, which gave the shape of endless connection piled on each element. This shows the meaning of ‘overall connectivity’ in which everything is connected into one. Third, the theme and contents of the work 「Illusion」 composed based on the meaning of dependent origination, showed the flexible openness through the expansion of temporal/spatial layers to me, world, and universe. On top of sequentially showing the process of change without staying in the same spot, the flexible flow was visualized by setting the theme and contents based on the principle of interdependent formation as the grounds for the expansion of spatial layer. Through this, the flexible openness inherent in the work was shown. Thus, this study deeply handled the process of representing the structure of dependent origination and the symbolic characteristics of Indra-jara into the causal continuity, overall connectivity, and flexible openness of the work. Therefore, the creation of the dance work based on the dependent origination suggested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by discovering its value as artistic expression, and modernly re-examining the meanings and value inherent in Buddhism.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is that the creation of dance based on themes pursuing the essence of inner side could be suggested as an alternative of new Korean creative dance based on the thinking category of East Asia.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무용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