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57 Download: 0

김정은 시대 북한의 영어 교육 연구

Title
김정은 시대 북한의 영어 교육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nglish Education in North Korea in Kim Jung-Un administration
Authors
이경애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북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석향

최대석
Abstract
이 연구는 북한당국이 2013 개정 교육과정을 토대로 발행한 영어교과서의 특징을 파악하고 영어 교과목을 통해 달성하고자 하는 목적이 무엇인지 분석하려 한다. 김정은 집권 이후 북한당국이 지향하는 영어교육 목표가 어떻게 변화해 왔고 구체적으로 어떻게 추진했는지 교과서 분석을 통해 파악하고자 통일부 북한자료센터가 소장하고 있는 북한 영어 교과서 65권을 전수조사 하였다. 연구 방법은 코퍼스를 구축하여 KH Coder를 기반으로 북한 영어 교과서 내용 분석에 활용하였다. 총 65권의 북한 영어교과서 중에서 Alphabet, phonics, 단어, 짧은 문장 학습, 회화교재로 이루어진 책자를 제외하고 읽기 지문이 수록된 31권을 대상으로 일반형 중등학교, 수재형 중등학교, 대학교로 분류하여 문화 내용, 소재, 주인공 관련 내용분석을 시도하였다. 또한, 31권 중 2013 개정 교육과정 전후를 직접 비교 분석할 수 있는 5개 학년의 영어교과서 10권은 외형구성, 학습내용, 발음과 문법, 단원 구성, 어휘 종류 변화 상황을 1:1로 직접 비교ㆍ분석하였다. 분석 결과는 크게 네 가지로 설명할 수 있다. 첫째, 김일성 시대 영어교과서는 군사적 목적으로 활용한 교육 수첩의 성격이 있으며 주체사상과 우상화를 강조하는 내용으로 가득하다. 김정일 시대 영어 교과서는 기초과학 교육과 외국어 교육을 강화하면서 세계선진기술을 받아들이려는 목적이 있지만 유일사상 체계를 보다 강화하고 교육과 생산 노동을 결합하려는 내용이다. 김정은 시대 영어 교과서는 외형과 구성에서 북한 실정에 맞게 개정하여 교과서, 카세트, 음원이 있으면 영어 수업이 가능하도록 하여 교사의 역할을 줄이고 학습자 모두 참여하는 교과서로 발간하였다. 듣기, 읽기, 말하기, 쓰기 언어의 4대 기능과 어휘, 발음, 문법 등 포함한 7가지 활동 및 17가지 하위 활동을 제시하여 놓아 학생들 영어 수준이 서로 달라도 따라갈 수 있도록 구성해 놓았다. 이와 같은 변화는 북한당국이 주어진 여건의 한계 속에서 세계와 소통하는 영어교육을 시행하고자 다양한 시도를 해 왔다는 사실을 보여 준다. 둘째, 2013 개정 영어 교과서의 소재, 주인공, 문화 내용을 분석한 결과 과학과 학교생활, 수령에게 충성하는 소재가 높게 나타났다. 김일성 일가와 혁명적이고 투쟁적인 인물이 주인공으로 나타나는 비율이 높았다. 문화 영역에서도 타문화에대한 관심은 낮게 나타났다. 그리고 과학·문화 내용을 소개하는 비율이 월등이 높은 이유는 과학을 자문화, 타문화가 아닌 공통문화로 분류했기 때문이다. 김정은 시기 영어교육 정책은 정치사상 교육 강화를 통해 사상적 이완을 방지하는 한편 경제 재건을 위한 과학기술 분야의 인재육성을 목표로 하기 때문인 것 같다. 그러나 영어교과서 내용에서 인터넷 관련 용어가 등장하지 않는 것으로 보아 세계와 소통하려는 개혁·개방의 변화는 아직 나타나지 않는다고 하겠다. 셋째, KH Coder를 활용한 분석 결과 최상위어휘는 일반형 중등학교는 body, energy, say이며 수재형 중등학교는 man, say, woman이며 대학교는 make, water, man 어휘가 나타났다. 일반형 중등학교에서 body가 최상위 어휘로 나타난 점은 군 입대를 준비하도록 튼튼한 체력을 가진 사람을 육성할 것을 목표로 하기 때문이다. 최상위 빈도 어휘에 energy가 들어간 것은 과학 기술을 중시하는 내용을 보여 준다. say는 김일성의 담화, 연설문을 통한 정치사상 전달 내용과 연관성을 지닌다고 하겠다. 수재형 중등학교는 김일성의 담화 내용이나 연설문 전달과 연관성이 높은 man, woman 어휘가 높게 나타났다. 김일성·김정일은 인민을 지칭할 때 man, woman을 사용하고 김정은은 중성인 people로 지칭하는 것으로 나타난다. 한편, 북한 영어 교과서는 명사 위주로 교재를 구성해 놓았고 문장을 꾸며주는 부사 사용과 외래어 사용은 비중이 낮게 나타났다. 김일성이 등장하여 훈화나 담화를 전달하는 내용이 많아 명사 중심 교과서로 만들 수밖에 없었을 것이다. 넷째, 북한의 영어교과서는 정치 어휘가 넓게 차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일반형 중등학교는 사회 어휘가 가장 넓게 차지하고 수재형 중등학교는 정치 어휘는 넓게 나타나고 문화 어휘는 적게 나타났다. 기본적으로 영어교과서 지면에는 주로 Kim II Sung 이라는 단어가 추출어 네트워크 상에서 연결의 중심에 나타나는 사례가 많았다. 이런 점으로 미루어 김정은 시기 북한당국이 영어교육을 통해 지향하는 바는 사상교육을 강화하고 과학기술 발전을 강조하려 했던 것으로 여겨진다. 2013 개정 교육과정 영어교과서는 외형과 구성에서 변화하였지만 내용면에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아서 북한당국의 개혁·개방 의지는 체제를 흔들지 않는 범위 내에서 유효한 것으로 분석할 수 있었다. 결국 북한의 교육정책은 김일성이 1977년 9월 5일 제5기 제4차 전원회의에서 결의한‘사회주의 교육에 관한 테제’교육 방침이 그대로 이어지고 있는 것으로 드러났다. 개정 후 영어교과서에 등장하는 최상위 빈도 단어를 살펴보면 오히려 공산주의적 인간이 갖추어야 할 혁명사상, 과학지식, 체력 요소가 약화했다고 평가할 근거는 찾지 못했다. 북한당국은 경제난 이후 기자재 부족, 시설낙후, 교권 하락, 수업의 질 하락, 학생들의 낮은 출석률, 시대에 맞지 않는 교과서 등 총체적인 위기가 드러나 교육 운영의 파행을 막아내기 위해 2013 교육개정을 발표한 것으로 분석된다. 북한당국이 2013 개정 교육과정에서 내놓은 영어교과서는 내용면에서 그다지 변화가 크게 나타난 것은 아니라고 생각한다. 이 연구를 통해 김정은 시기 북한 영어 본질적인 변화가 나타나지 않는 이유를 파악할 수 있었다. 교육에는 북한당국이 2013 개정 교육과정을 시도한 이유는 무엇일까? 첫째, 북한당국이 주민들 대상으로 교육에 신경쓰고 있다는 점을 시사해 준다. 둘째, 북한도 정상적 영어교육을 시행한다는 것을 외부로 보여주고 싶어한다는 점을 드러낸다. 셋째,‘전민과학기술인재화’달성에 영어 활용능력을 갖춘 인력을 공급하고자 하는 모습을 보여준다. 이 연구는 북한당국이 영어교육을 통해 지향하는 실제적인 교육 내용을 파악할 수 있는 중요한 계기를 제공해 주었다. 앞으로 이 연구의 결과가 북한 영어교육의 실태를 파악하는 기초자료로 활용되기를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research is to understand the features of English textbooks after the reformation in Education system in 2013 and to analyze North Korea’s ultimate goal that they aim to achieve by means of English education. The study examined 65 English textbooks from Ministry of Unification to figure out how English education has changed after the arrival of Kim Jung-un. This study is Corpus-based analysis and applied KH coder results. The study, specially, sorted out 31 textbooks contain reading articles for General Middle school, Advanced Middle school and University, and focused on its cultural contents, topics, and main characters. In addition to that, we selected 10 textbooks out of five grades to do comparative analysis on textbook figures, lesson contents, pronunciation & grammar, unit structure and vocabulary range. The analysis leads 4 outcomes. First, during Kim II-Sung era, English textbook was more likely considered as ‘training-notebook’ for military purpose and it reflected many of self-reliance ideology and idolization of Kim II-Sung. During Kim Jung-Il era, even though they aimed to enhance the Science and English education to welcome the advanced technologies, the essential goal was to reinforce the unique ideology system and to integrate education and production labor. Beginning with Kim Jung-Un’s administration, they organized new English textbooks with reformed figures and restructured contents. It encourages a students-oriented English class by expanding usage of textbooks, cassette players and audio tapes while a role of teachers are decreasing. Including 4 major skills of ‘Listening’, ‘Reading’, ‘Speaking’, and ‘Writing’ and 7 more skills like grammar, vocabulary, pronunciation, the new textbooks added 17 subordinate category skills to satisfy all kind of students’ level difference. This changes show that the North Korea has tried to interact with the world in their circumstances. Second, according to the analysis of topics, main characters and culture contents, main topics were science, school life, and loyalty to the leaders. Main characters were one of Kim’s family or one was revolutionary and combative. Willing to approach to other culture was low as well. The essential goal of English education in Kim Jung-Un era is to prevent ideological weakness while strengthen the human resource development in Science. However, it shows less interest to communicate authentically around the world yet considering absence of Internet words in the contents. Third, according to KH coder, the most used words were ‘body’, ‘energy’ and ‘say’ for General Middle school, and ‘man’, ‘say’ and ‘woman’ for Advanced Middle school. Words such as ‘make’, ‘water’ and ‘man’ were most used in University English textbooks. The most used word from General Middle school ‘body’ presents the North Korean’s goal of fostering healthy man to join the military. The word ‘energy’ shows an attention at developing science and technology, and the word ‘say’ is closely related to political thoughts from the speeches and conversation of Kim II-Sung. The word ‘man’ and ‘woman’ can be noticed a lot in Advanced Middle school textbooks because they contain many of Kim II-Sungs’ speeches. This also shows the difference that the words ‘man’ and ‘woman’ were used as meaning of ‘the people’ during Kim II-Sung and Kim Jung-Il era while Kim Jung-Un administration uses ‘people’ in the text instead. Fourth, political terms make up huge portion in English textbooks. Social fields were major contents for General Middle school, and political fields were major in Advanced Middle school textbooks. Mostly, the word ‘Kim II-Sung’ was central word from KH coder analysis. By seeing the results, it seems that Kim Jung-Un administration likes to emphasis on education of ideology and development of Science through out English education reformation. In despite of changes in figures and structures from reformed English textbooks in 2013, there were no development in content that represents the limit of revolution and open-minded system. Eventually, the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is still affected by by Kim Il-sung. It still explains that revolutionary ideology, science knowledge and strength are necessary to become a communist person. It seems that economic crisis including shortage of resources, underdeveloped facilities, collapse of educational authority, low class attendance, and outdated textbooks led North Korea to reformation of education system 2013. However, its’ reformed English textbooks show insignificant changes in terms of contents. This study finds the reasons why there has been no fundamental changes, and mentions a real purpose of English education in Kim Jung-Un era. What are the reasons of education reformation in 2013? First, it reflects that current North Korea administration concerns about the people’s education. Second, it shows the desire to demonstrate that a regular English education is provided. Lastly, it indicates that full support of English language skilled manpower to approach to the development of Science technology human development. This study provides a good opportunity to figure out what North Korea actually desires to accomplish through out the English educational contents. The implications of this study can be used as basic research of English education system in North Korea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북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