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298 Download: 0

중・고급 학습자 대상 신문 활용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Title
중・고급 학습자 대상 신문 활용 한국어 읽기 교재 개발
Authors
유지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한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영규
Abstract
본 포트폴리오는 신문을 활용하여 한국어 중・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국어 읽기 교재를 개발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한국어 학습자는 꾸준히 증가하여 최근에는 일상생활에서 의사소통이 가능한 수준을 넘어 학업이나 취업, 장기 거주 등 다양한 목적을 가진 학습자들이 증가하면서 다양한 교육 모형과 교재 개발 등에 대한 요구가 높아지고 있다. 기능이나 과제를 중심으로 문법 항목이 배열되고 말하기와 듣기 위주의 의사소통을 목적으로 한 교재로는 다양한 학습자들의 욕구를 충족시켜 주기에 부족하다고 할 수 있다. 외국어 교육의 목표인 의사소통 능력 향상을 위해서는 네 가지 언어 기능(읽기, 쓰기, 말하기, 듣기)의 교육이 모두 필요하지만 읽기는 말하기와 쓰기와 같이 자신의 생각을 표현하기 위해 필요한 배경 지식을 얻는 데 기초가 되고 효과적인 듣기를 수행하기 위하여 필요한 배경 지식을 얻을 수 있는 자료도 문자의 형태를 띠고 있는 것이 많아 네 가지 언어 기능 가운데 중요한 위치를 차지하고 있다고 할 수 있다. 강현자(2017b)는 읽기와 쓰기의 통합 교육을 강조한 견해들을 소개하면서 이는 읽기가 쓰기 교육에서 담화의 구조나 표현, 결속 표지의 교육, 내용 지식의 형성에 도움이 되는 것을 강조하는 것으로 읽기 활동이 쓰기에 미치는 영향이 크다고 하였다. 이현주(2019)는 학습자 가운데 듣기나 말하기 실력은 우수하나 텍스트를 읽고 이해하는 것에는 어려움을 느끼는 학습자가 많기 때문에 고급 수준의 읽기 텍스트를 꾸준히 읽는 것이 필요하다고 하였고, 허용 외(2005)에서는 한국의 문화와 언어에 대한 자료는 대부분 문자의 형태를 띠고 있고 그것을 읽고 해독함으로써 그 정보에 대한 이해가 가능하므로 읽기는 문화의 수용과 정보의 획득 측면에서 볼 때 중요하게 다루어져야 할 기능이라고 하였다. 이와 같이 배경 지식의 습득과 확장에 필요한 정보를 얻을 수 있는 읽기 자료는 다양한 주제와 내용을 담고 있어야 하는데 새롭고 다양한 정보를 담고 있는 읽기 자료로 신문을 들 수 있다. 신문은 목표 언어를 사용하는 사회와 문화를 이해할 있고 정보 습득과 배경 지식의 확장에 유용한 자료이다. 그리고 일상생활에서 자주 쓰이는 어휘뿐만 아니라 한자어, 외래어, 관용어, 속담, 신조어 등 다양한 어휘와 표현을 학습할 수 있다. 신문을 읽으면서 자연스럽게 훑어 읽기(skimming)나 찾아 읽기(scanning)와 같은 읽기 전략 연습을 할 수 있고 다양한 유형의 텍스트 읽기를 통해서 전체적인 내용을 이해할 수 있는 독해력을 향상시킬 수도 있다. 이밖에도 한국어 교재의 단점을 보완하는 자료로서, 실제적이고 다양한 내용을 담고 있어 학습자의 언어 수준이나 관심에 맞게 활용할 수 있는 자료로서 유용하게 활용할 수 있는 등의 장점이 있어 오랫동안 모국어 화자를 위한 교육뿐만 아니라 외국어 교육에도 활용되고 있다. 국제 통용 한국어 표준 교육과정의 읽기 등급별 목표와 한국어능력시험(TOPIK)의 등급별 평가 기준 가운데 고급 단계에 해당하는 5급과 6급의 내용을 보면 다양한 분야에 걸친 친숙하지 않은 주제와 자신의 직업이나 학문과 관련된 전문 분야의 글을 읽고 이해할 수 있으며 공식적・비공식적, 구어적・문어적 차이를 이해할 수 있다. 실제적이고 다양한 주제와 내용이 논리적이고 어법에 맞는 문자 언어로 작성된 신문은 고급 학습자들에게 도움이 되는 읽기 자료가 될 것이다. 조익핵・장미숙(2014)은 2014년 제35회부터 새롭게 개편된 시험을 앞두고 공개된 샘플 문항의 TOPIKⅡ 읽기 문항을 분석한 결과 경제, 생활, 사회, 교양, 여가, 문화, 과학, 예술, 환경의 9가지 주제로 분류할 수 있으며 중급 수준에서는 생활과 경제 영역이 총 15문항(57,5%), 고급 수준에서는 사회, 경제, 교양 영역에 총 16문항(66.6%)이 집중적으로 출제되었다. 그리고 출제된 텍스트 유형으로는 설명문, 논설문, 기사문, 수필, 광고문, 소설, 관람 안내문, 통계 자료 등 총 8개 유형이 출제되었다고 분석하였다. TOPIKⅡ 읽기 영역에 출제되는 주제와 유형은 신문의 주제 분류와 기사 유형과 유사해 신문이 고급 학습자들에게 필요한 읽기 자료임을 뒷받침하고 있다. 중급 단계인 3급과 4급의 내용을 살펴보면 친숙한 사회적・추상적 소재의 글과 생활문, 실용문, 설명문과 같은 유형의 글을 읽고 이해 할 수 있고 특히 4급에서는 사회・문화적 내용과 비교적 쉬운 신문 기사문이나 논설문을 읽고 이해할 수 있는 능력이 필요해 신문을 활용한 교육은 중급 단계의 학습자에게도 필요함을 보여주고 있다. 그동안의 신문 활용 교육들을 보면 신문 기사의 생소한 어휘나 표현, 이해하기 어려운 텍스트 유형 등의 이유로 고급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연구가 대부분이었다. 고급 단계부터 신문 읽기를 시작하면 고급 학습자들에게도 낯설고 부담감을 느낄 수 있다. 중급 학습자에게도 신문 활용 교육이 요구되고 있음을 고려한다면 중급 단계부터 시작할 수 있는 신문 활용 교육에 대한 연구가 필요할 것이다. 학업 목적의 학습자뿐만 아니라 취업 목적의 장기 거주자, 이민자와 같이 한국에서의 정착을 목적으로 하는 학습자들의 경우 한국에서의 생활환경에 적응해야 하므로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이해가 필수적이고 자신과 관련된 분야에 대한 지식이 더 요구된다. 한국어와 한국 문화, 특정 분야에 대한 정보와 지식을 필요로 하는 학습자들에게도 신문은 필수적인 교육 자료가 될 것이다. 신문을 활용한 수업은 학습자들의 요구도도 높은데 데어트겅체첵(2007)에 따르면 현지 몽골인 한국어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설문조사에서 교육 현장에서 선호하는 텍스트 유형으로 ‘신문 기사문’이라고 대답한 학습자가 31%로 가장 많았으며 이해하기 어려운 텍스트 유형도 ‘신문 기사문’이라고 대답한 학습자가 40%로 가장 많았다. 이인화(2009)에서도 대학교 어학원의 학습자 31명을 대상으로 한국어 수업 시간의 선호하는 부교재를 묻는 질문에 ‘영화’(18명), ‘신문’(7명), ‘소설’(4명), ‘가요’(2명)순으로 나타나 학습자들도 신문을 활용한 수업의 필요성을 느끼고 있었지만 단어, 텍스트, 배경 지식 부족 등을 어려움으로 꼽고 있었다. 설문 조사 결과에서 보듯이 신문을 활용한 교육은 학습자들의 요구도가 높고 여러 가지 장점이 있지만 교육 현장에서 적극적으로 활용하지 못하는 이유는 바로 ‘어렵다’는 것이다. 신문 읽기의 어려운 점으로 최은규(2004)는 한국 사회와 문화에 대한 배경 지식과 다양한 어휘가 학습자들의 신문 접근성과 내용 이해에 장애 요소로 작용한다고 하였고, 이현주(2019)는 고급 학습자들도 신문 텍스트의 길이와 생소한 어휘를 어려워하였고 읽기 전략을 사용한 읽기 활동 실험을 통하여 긍정적인 효과는 있었지만 학생들은 여전히 어휘와 신문 기사 유형의 구분을 어려워하였다고 밝혔다. 임영(2012)은 현지 중국인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신문 활용 교육에서 학생들은 신문 읽기의 어려운 점에 대하여 배경 지식의 부족, 한자어, 외래어, 전문 용어, 관용어, 약어 등과 같은 어휘적 차원의 이해 부족을 들었다. 신문 읽기의 어려운 점에 대한 선행 연구들을 검토해 보면 공통적으로 생소한 어휘와 표현, 배경 지식의 부족, 신문 텍스트에 대한 이해의 어려움으로 정리해볼 수 있다. 이에 본 포트폴리오에서는 한국어 교육에서 신문을 활용할 때 어려움으로 지적되고 있는 이와 같은 점들을 보완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은 사항들을 중심으로 개발하고자 한다. 먼저, 생소하고 어려운 어휘와 표현의 학습을 위하여 같은 주제의 신문 기사를 반복적으로 읽으면서 특정 주제와 관련된 어휘와 표현을 자연스럽게 반복하며 확장시켜 나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읽기 자료와 관련된 배경 지식이나 경험이 부족하여 내용 이해에 어려움을 겪을 수 있는 점은 관련 주제의 동영상 뉴스를 활용하고자 한다. 동영상 자료는 학습자들에게 호기심과 흥미를 갖게 하고 시각적, 청각적 자료가 함께 제공되기 때문에 내용 이해와 기억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또한 신문 텍스트가 가지고 있는 구조적, 내용적 특징 파악을 위한 연습 활동을 통하여 신문 텍스트라는 장르를 읽고 이해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동일한 주제의 반복적 학습은 중급 학습자들도 접근할 수 있도록 설계하여 중・고급 학습자들의 한국어 신문 읽기 능력을 향상시키는 데 도움이 되고자 한다.
Description
석사학위를 수여받기 위해 제출된 포트폴리오임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외국어교육특수대학원 > 한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