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82 Download: 0

개발도상국 음악 분야 교류 및 협력의 활성화 고찰

Title
개발도상국 음악 분야 교류 및 협력의 활성화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ctivation of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in the Field of Music : Focused on Cultural ODA & Cultural Diversity
Authors
이륜화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공연예술대학원 음악예술경영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공연예술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은혜
Abstract
이 연구는 개발도상국과의 음악 분야 교류 및 협력 활동을 하는 공연예술단체 및 예술가들이 국제문화교류와 보편적 가치 추구 활동을 통한 활발한 작품 활동을 할 수 있도록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는 데에 목적을 두었다. 개발도상국과의 문화예술 교류활동은 문화다양성 가치 추구를 기반으로 하는 문화 ODA(Official Development Assistance)를 활성화하는 것이 더욱 효율적이다. 그러므로 개발도상국과의 문화·예술 교류 활동이 국내 문화예술의 지평을 넓히고 개발도상국에 관한 문화다양성 협약의 이행을 통해 국가 이미지 제고에 긍정적 영향을 주는 활동임에 주목하여 ‘문화다양성’을 논의의 중심으로 문화 ODA 활동을 살펴보고 활성화 방향성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의 범위는 문화다양성에 관한 의제 중 개발도상국 문화협력 ODA로 한정하였으며 개발도상국과의 문화예술 교류 및 협력 활동을 한 민간 예술단체를 구체적 사례연구 대상으로 설정하고 음악 분야로 범위를 한정 지었다. 연구의 방법은 개발도상국 문화 교류 및 협력을 위한 문화다양성, 공연예술의 다양성, 문화 ODA에 대한 ‘문헌자료연구’를 중심으로 하였다. 문화다양성은 개발도상국에 대한 국제문화교류와 문화 ODA의 양립성을 위한 키워드로 본 연구의 논의의 중심이 되기에 이론적인 틀로 접근하였으며, 실질적인 문화다양성 및 문화 ODA 활동의 활성화 방안을 모색하기 위해 문화 ODA에 대한 연구를 살핌으로써 추진과제를 도출하여 성과지표 연구 틀을 마련하였다. 사례연구로는 2개의 단체를 목적표집한 후 심층 면담을 진행하여 개발도상국과의 교류 및 협력 활동이 어떠한 부분의 문화다양성에 부합하였는지, 지속가능한 요인과 방해요인이 무엇이었는지에 대한 결과를 도출하였고, 이를 바탕으로 지속적이고 효과적인 문화 ODA 활성화 방안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이러한 심층 면담을 통해 개발도상국과의 문화교류 및 협력의 활성화 방안을 기술할 수 있었으며 내용은 다음과 같다. 첫째, 문화외교, 문화 ODA와 관련한 실제 행위자인 예술가의 경험 공유를 통해 문제점을 개선하려는 정책적 의지가 필요하다. 둘째, 역량 강화를 위한 선별적 지원과 교류의 연속성을 위해 중장기 지원과 같은 전략으로 전환될 필요가 있다. 셋째, 재원조성 및 인프라 구축을 위해 정부 외에도 민간 기업 및 시민단체 등의 이해관계자 간의 협력이 필요하며 이들이 수월하게 연계될 수 있도록 플랫폼이 마련되어야 한다. 넷째, 문화 ODA에 대한 성과의 가시화를 위해 한 분야에 집중하여 개도국 자생력에 필요한 문화 분야 인프라 구축이 필요하다. 다섯째, 개발도상국과의 문화예술 창작 활동이 국내외 시민들의 문화향유와 타문화 인식 제고에 기여될 수 있도록 공연예술 작품에 대한 예술가들의 창작적 노력이 필요하다. 여섯째, 문화예술 교류기금에 예술가들의 공헌 활동에 따른 사례금 책정, 또는 문화예술 지원사업의 혜택 등이 마련될 필요가 있다. 이 논문은 문화다양성에 대한 국가적 관심과 환기가 필요한 시점에서 국제사회의 문화다양성 가치에 따른 시각, 현안을 제대로 알고자 노력하였으며, 그동안 연구되지 않았던 음악 분야 ODA를 중심으로 민간 예술 단체의 실증적 사례를 통해 개발도상국에 관한 문화교류의 노하우와 문제점 등 다양하게 파악할 수 있었다. 본 연구를 통해 민간 예술 단체의 교류 역시 문화다양성 협약 이행을 위한 하나의 초석으로서 중요한 역할을 할 수 있음을 바라보고, 예술가들이 문화다양성의 주체자이자 수혜자로서 보다 적극적인 활동의 필요성을 시사하는 바이다. 이에 예술 교류와 보편적 가치 활동을 예술가들의 새로운 유형의 예술 활동으로 보고 많은 예술가들이 다양한 문화와 교류를 통해 다방면으로 긍정적 효과를 촉진하는 유용한 자료가 될 수 있기를 바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find a way to revitalize performing arts organizations and artists engaged in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in the field of music through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universal value seeking activities. For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 activities with developing countries, it is more efficient to activate a cultural ODA based on the pursuit of cultural diversity values. Therefore, it was intended to examine cultural ODA activities as the center of discussion on 'cultural diversity' and to present the direction of revitalization, noting that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 activities with developing countries are activities that broaden the horizons of domestic culture and arts and positively affect the enhancement of national image through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Cultural Diversity of Developing Countries. The scope of this research was limited to cultural ODA for cultural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among the agenda items on cultural diversity, and private art organizations that engaged in cultural and artistic exchanges and cooperative activities with developing countries were designated as specific case studies, and the scope was limited to the music field. The methods of research focused on 'literature review' on cultural diversity, diversity of performing arts, and cultural ODA for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Cultural diversity was approached as a theoretical framework as it became the center of discussion of this research as a keyword for international cultural exchange and compatibility of cultural ODA with developing countries, and a performance index research framework was drawn up by examining the research on cultural ODA in order to find ways to promote practical cultural diversity and cultural ODA activities. The results of ODA activities with developing countries were derived as to which part of the cultural diversity was consistent and what the sustainable factors and obstacles were, and based on this, suggestions were made on how to promote the ODA continuously and effectively. Through in-depth interview, it was possible to describe ways to promote cultural exchange and cooperation with developing countries, and the contents are as follows. First, it is necessary to make a policy will to improve the problems through sharing the experiences of artists who are actual actors related to cultural diplomacy and cultural ODA. Second, it is necessary to switch to a strategy such as mid- to long-term support for selective support for capacity building and continuity of exchange. Third, cooperation between stakeholders other than the government, such as private companies and civic groups, is necessary for financing and infrastructure construction, and a platform must be prepared to facilitate their connection. Fourth, it is necessary to build an infrastructure for the cultural sector necessary for the self-sustaining power of developing countries by focusing on one specific field to visualize the achievements on the cultural ODA. Fifth, artists' creative efforts for performing arts work are needed so that cultural and art creation activities with developing countries can contribute to the enjoyment of culture and awareness of other cultures by citizens at home and abroad. Sixth, it is necessary to prepare a reward for the contribution of artists or the benefits of the cultural arts support project to the cultural and arts exchange fund. This thesis attempted to properly understand the perspectives and current issues of the international community according to the values of cultural diversity in a time when national interest in cultural diversity is needed, and through empirical case studies of private art organizations, focusing on ODAs in the music field that have not been studied before, I was able to find out various know-how and problems of cultural exchange regarding developing countries. Through this study, the exchange of private art groups can also play an important role as a cornerstone for the implementation of the Convention on Cultural Diversity, suggesting the need for artists to be more active as subjects and beneficiaries of cultural diversity. Therefore, it is hoped that art exchanges and universal value activities can be seen as new types of art activities by artists, and that many artists can be useful materials to promote positive effects in various ways through various cultures and exchang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공연예술대학원 > 음악예술경영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