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8 Download: 0

에드바르트 뭉크 작품에서 본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Title
에드바르트 뭉크 작품에서 본 미술치료적 의미 고찰
Other Titles
A study on the Art Therapeutic Meaning in the Artworks of Edvard Munch : Centered on the Existential Psychotherapy Theory
Authors
문현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문리학
Abstract
미술은 인간 개인의 감정과 경험을 시각화 하여 내면을 표현하는 도구로 창작자는 개인의 실존적 문제에 대한 직면과 내면의 변화를 경험할 수 있다. 20 세기 초반에 등장한 표현주의 미술은 자연과 시각적 현상을 화폭에 재현하려는 기존 미술의 시도를 넘어 인간의 내면과 감정 표현에 중점을 두었다. 이에 따라 표현주의 화가들의 작품에는 시대적 변화로 인한 인간의 불안, 소외와 내면의 갈등이 담겨있다. 뭉크는 이러한 표현주의 미술의 시작을 알린 작가로 자신의 감정과 내면을 자신만의 독특한 시각언어로 표현하였다. 스스로의 정신과 내면을 끊임없이 마주하고 깊이 연구하였으며 이를 통해 심리적 안정과 자기치유를 추구하였다. 뭉크는 유년 시절 어머니와 누이 소피의 죽음, 아버지의 광기, 가난한 가정환경으로 불안한 시기를 보냈고 청년기에는 보헤미안 동료 예술가들과 어울리며 불안정한 생활을 하거나 결혼을 약속한 여성과의 다툼 중에 총상을 입기도 하였다. 결국 신경과민, 알코올중독, 정신병리적 증상으로 정신병원에 8 개월간 입원을 하는 등 다소 비극적인 경험을 하였다. 하지만 뭉크는 죽기 전까지 미술작업에 집중하였고 평생에 걸쳐 유화, 판화, 조각, 스케치 등 수 만개의 작품을 제작하였다. 꾸준한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내면을 탐구하였고 노년기에는 죽음불안에서 벗어난 안정된 모습을 보였다. 본 연구는 뭉크가 그린 작품들에 담긴 실존적 투쟁과 심리적 변화를 Yalom 의 실존주의 심리치료 이론을 중심으로 분석해 미술치료의 기반이 되는 미술의 치유적 요소를 고찰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궁극적 관심사를 마주하며 느끼게 되는 실존적 갈등이 미술로 어떻게 표현이 되고 개인의 내면에는 어떠한 변화와 영향을 주었는지에 대한 미술치료적 의미를 도출하고자 한다. 이러한 목적에 따라 뭉크의 작품과 심리를 Yalom 의 심리치료 이론에서 살펴본 결과는 다음과 같다. 뭉크는 유년기부터 반복적으로 겪은 가족들의 죽음과 자신의 건강상의 문제로 네 가지 궁극적 관심사를 마주하며 실존적 문제를 직면했던 것으로 추측되며 이러한 심리가 죽음과 불안을 주제로 한 작품들에 드러났을 수 있다. 또한 실존적 갈등에 대한 방어기제로 신경증적 증상과 정신병리 증상을 경험하였을 수 있다. 하지만 정신병원 입원 시기에 부단한 미술작업을 통해 자신의 불안과 갈등을 직면하였다. 이후 노년기에는 부정적 심리적 역동을 예술로 승화해 기존의 죽음과 불안에 대한 주제를 넘어선 창조적인 주제의 작품을 제작했다. 따라서 뭉크는 죽음자각과 죽음직면을 하며 자신의 실존적 문제에 마주하였고 이를 표현하며 자신의 실존을 자각하는 과정을 거쳤으며 이후 심리적 성숙과 내면의 치유를 이루었을 수 있다. 위의 연구에서 뭉크의 작품과 실존적 인식의 과정을 통해 살펴 본 미술의 치유적 속성은 다음과 같다. 뭉크는 미술작업을 하며 내면의 외현화가 진행되었고 이를 통해 실체를 알 수 없이 막연하게 생각했던 실존의 문제를 구체적으로 형상화 시키는 과정을 통해 죽음에 대한 방어와 태도를 탐색할 수 있었을 것이다. 이는 죽음에 대한 자각과 직면으로 이어져 죽음에 대한 내적 경험을 강화시키고 이를 통제할 수 있는 내부의 힘이 생기도록 하는 촉매작용이 되었을 수 있다. 또한 뭉크에게 미술 창작 과정은 궁극적 관심사를 마주하며 느끼는 실존에 대한 인식을 촉진하는 감각적 수단이 되었을 수 있다. 마지막으로 미술의 창작 과정은 뭉크 내면의 실존적 불안을 창조적 에너지로 변환하여 예술로 승화시킬 수 있는 예술가적 정체성 뿐만 아니라 새로운 실존과 능동적인 삶의 방향을 형성하는데 도움을 주었을 수 있다. 이와 같은 관점에서 미술치료 장면에서 내담자는 미술작업을 통해 실존적 투쟁에 참여하게 되며 이를 통해 내면의 변화와 성숙을 이끌어 낼 수 있을 것이다.;Art is a tool that visualizes the emotions and experiences of a human to express the inner self. With art, a creator can face the individual’s existential problems and experience internal changes. Edvard Munch, a Norwegian painter from the 20th century, used his unique visual language to express his emotions and inner self. He endlessly faced and immersed himself in the study of his own mind and inner self while seeking psychological stability and self-recovery through this process. Munch had family instability in childhood, experiencing death of his sister Sophie and his mother, insanity of his father, and financial difficulties. During his adolescence, he socialized with bohemian artists of his age, leading an unstable life, and even was shot while fighting with the woman whom he was to marry. These tragedies have led to hypersensitivity, alcoholism,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that he spend eight months in a mental institution. However, Munch concentrated on creating art until he died, making tens of thousands of oil paintings, prints, sculptures, and sketches. Continuously engaging in the creation of art allowed him to explorer his inner self, and in his later years, he finally became stable and free of death anxiety. This study aimed to analyze the struggles regarding existence in Munch’s works and his psychological transitions using Irvin D. Yalom’s existential psychotherapy theory in order to study the therapeutic elements of art that serve as the basis of art therapy. By looking at how the existential struggles experienced while facing ultimate concerns are expressed in art and affect one’s inner self, the study discovers its significance in terms of art therapy. The results of examining Munch's work and psychology in light of Yalom's psychotherapy theory are as follows. It is presumed that Munch encountered existential struggles facing four ultimate concerns due to his family's death and his health problems that he has repeatedly experienced since childhood. Such psychology may have been displayed in his works on the subject of death and anxiety. In addition, he may have experienced neurological and psychopathological symptoms as defense mechanisms against his struggles about existence. However, he was confronted by his anxiety and conflict through unceasing artwork during his stay in the mental institution. In his later years, he may have sublimed his negative existential psychodynamics through art to make creative works beyond the subject of death and anxiety. Therefore, Munch faced self-awareness of death to stand deal with his existential struggles. And he may have achieved psychological maturity and healed his inner self by going through the process of realizing his existence as he expressed his emotions through art. The therapeutic characteristics of art examined through Munch's work and the process of perceiving one’s existence are as follows. As Munch created art, his inner self was externalized, which would have allowed him to explore the defense and attitude toward death in the process of concretely embodying the problem of existence, which was still vague to him. This could have acted as catalysts, leading to awareness and confrontation of death to strengthen the inner experience of death and to create an inner strength to control it. In addition, for Munch, the process of creating art could have been a sensational means to promote awareness of the realities of facing ultimate concerns. Lastly, the creative process of art may have transformed Munch’s existential anxiety into creative energy and helped to shape his identity as an artist to sublime his anxiety into art, come up with new perception about existence and take an active attitude towards life. In this aspect, a client will participate in the existential crisis through production of art during art therapy, and this will bring inner changes and maturity in the client.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