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8 Download: 0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Title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Authors
박지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The aims of this study is to identify the effects and changes of group art therapy in foster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to provide basic materials to enable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be continuously utilized at school . For this objective, the following questions were presented. First, what i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in promot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Second, What is the resilient change that adolescents show through group art therapy? To answer the questions set out above, an experimental study was designed using group art therapy as an independent variable and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as a subordinate variable measured by a research tool. The participants of this study were 14 high school students in their sophomore and junior years who voluntarily participated from a girls's high school located in Seoul. The 14 participants were assigned to two groups comprising of 7 individuals each an experimental group and control group. Prior to commencing the group art therapy, the two groups were inspected with YKRQ-27, and the index of research tools collected through a preliminary test was analyzed to confirm homogeneity between the groups. The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1-2 times per week, 90 minutes per each session, for a total of 6 sessions during the participants’extracurricular activity hours. After the program was completed, a post-test was conducted to both the experimental and the control groups. The research tool utilized in this study was the resilience Index(YKRQ-27) and the statistical program used to analyze the data to verify study problems was SPSS Ver 26.0. The pre-and post-testing data were analyzed with Wilcoxon singed rank test which was used to verify whether the group art therapy program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analyzed the effects of sub-factors of research tools. In addition, feedback of the participants were collected to summarize their experiences during each session, which were used to analyze the changes that appeared to these adolescent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effects of group art therapy on foster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After analyzing the test statistics of the pre- and post-tests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the experimental group showed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 resilience before and after the group art therapy. In contrast,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 The means of the experimental group's resilience index in descriptive statistics showed an increase than that of the control group's, Through this study, it was statistically proven that a group art therapy was an effective mediation for fostering resilience in adolescents. Second,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it was verified through pre- and post-tests that group art therapy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 on cause analysis, impulse control, and optimism. Specifically, it had a direct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causal analysis, impulse control, and optimism in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and in terms of descriptive statistics, the positive ranking was statistically supported with higher values relative to the negative ranking and the same ranking Third, through the analysis of the process and results of the group art therapy sessions, it confirmed the positiv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Through the given autonomy within group art therapy, it was demonstrated that The experience of active self-regulation for the control and cooperation of negative emotions, which had been latent inside through given autonomy within group art therapy, was demonstrated through statistical improvement of cause analysis and impulse control related to control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The participants in the study showed a unique characteristic. They were able to use their self-confidence and positive attitude as strength when looking at their future after discovering that they went through a change when they examined their accumulated artworks a characteristic that is usually found in students attending all girls's high school. It was proved through statistically significant changes in optimism among the sub-factors of resilience. Based on the above information, it can be seen that group art therapy had a positive effect on improving the resilience in adolescents. This study demonstrated a positive effect by structuring a group art therapy program to foster resilience in adolescents who can be applied through educational intervention in the school settings. Also, in the event the Seoul Metropolitan Office of Education and the Ministry of Education operate programs for the enhancement of resilience in adolescents, the significance of this research can be found in the empirical study that proved the effectiveness of the introduction of a resilient arbitration method combined with art areas. ;본 연구의 목적은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와 변화를 밝히고, 향후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학교 현장에서 지속적으로 활용 가능하도록 기초 자료를 제공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해 다음과 같이 연구 문제를 설정하였다. 첫째,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효과는 어떠한가? 둘째,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변화는 어떠한가? 위와 같이 설정한 연구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연구는 집단미술치료를 독립 변인으로, 연구 도구로 측정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을 종속변인으로 하는 실험연구를 설계하였다. 연구 대상은 서울특별시에 위치한 A 여자고등학교 학생 자율 동아리 또래 상담부 학생 중 자발적 참여의사를 밝힌 1, 2학년 학생 14명이며, 7명 씩 배분하여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으로 배치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 실시 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지수(YKRQ-)로 사전 검사를 진행하였고, 사전 검사로 취합된 연구 도구의 지수를 Mann-Whitney U 검정을 수행⋅분석하여 집단 간의 동질성을 확인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프로그램은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창의적 체험 시간 중 동아리 시간을 통해 주당 1~2회, 90분 씩 총 6차시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프로그램 종료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실시하였다. 본 연구에 사용된 연구 도구는 청소년용 회복탄력성 지수(YKRQ-)이고, 연구 문제의 검증을 위해 SPSS Ver 26.0 통계프로그램을 사용해 자료를 분석⋅처리하였다.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사전⋅사후 검사 자료는 Wilcoxon 부호순위검정으로 분석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이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에 유의한 영향을 미치는지 검증하였고, 연구 도구의 하위 요인별 영향을 분석하였다. 또한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에 참여한 연구 참여자의 반응 자료를 수집해 회기별 청소년의 경험을 정리하였고, 이를 통해 청소년에게 나타난 변화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결과를 중심으로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미치는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효과를 미쳤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의 검정통계량을 분석한 결과, 실험집단은 집단미술치료 실시 전⋅후에 회복탄력성 지수의 유의한 차이를 보였고 이에 반해, 통제집단은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집단미술치료 실시 후, 기술통계량 측면에서도 실험집단의 회복탄력성 지수 평균은 통제집단에 비해 상승 폭이 크게 나타나며 유의한 결과가 도출되었다. 이를 통해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중재에 효과적임이 통계적으로 입증되었다. 둘째,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낙관성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영향을 끼침이 사전⋅사후 검사를 통해 검증되었다. 이는 집단미술치료가 청소년의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 낙관성 향상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쳤고, 기술통계적 측면에서 양의 순위가 음의 순위와 동률에 비해 높은 수치를 나타내며 통계적으로 뒷받침되었다. 셋째, 집단미술치료 과정 및 결과에 대한 회기 분석을 통해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신장에 긍정적인 영향을 끼쳤음을 확인하였다. 회기가 진행되는 동안 청소년들은 이미지를 매개로 자신을 이해하고 수용하는 과정을 경험하였다. 집단미술치료 안에서 주어진 자율성을 통해 내면에 잠재되어 있던 부정적 정서의 조절 및 협동을 위한 능동적인 자기 조절과 통제의 경험은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소 중 통제력과 연관 있는 원인분석력, 충동통제력의 통계적 향상을 통해 입증되었다. 연구 참여자들은 누적된 작품에서 변화된 자신을 발견하고 자신감과 긍정적 사고를 자원 삼아 미래를 낙관적으로 바라보는 여자 고등학생의 고유한 특성을 보였으며, 이는 회복탄력성의 하위 요인 중 낙관성이 통계적으로 유의한 변화를 나타낸 것을 통해 입증되었다. 위의 내용을 종합해 볼 때, 집단미술치료는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음을 알 수 있다. 본 연구는 학교 현장에서 교육적 개입으로 적용 가능한 청소년의 회복탄력성 향상을 위한 집단미술치료 프로그램을 구조화하여 긍정적 영향을 입증하였다. 그리고 서울특별시 교육청과 교육부의 청소년 회복탄력성 신장을 위한 프로그램 운영 시, 문화⋅예술과 결합한 회복탄력성 중재 방식의 도입의 효과성을 입증한 실증 연구라는 것에서 본 연구의 의의를 찾을 수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