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9 Download: 0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미치는 효과

Title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미치는 효과
Other Titles
The Effect of Group Art Therapy at preventive level on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uthors
김동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회복탄력성에 미치는 효과를 밝혀 향후 미술치료가 학교현장에서 중학생들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예방적 개입으로서 활용되는데 기초 자료를 마련하는 것에 있다. 이를 위하여 다음과 같은 연구문제를 설정하였다.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효과가 있는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의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를 독립변인으로, 청소년 회복탄력성 검사(홍세희, 2019)를 바탕으로 한 회복탄력성의 변화를 종속변인으로 하는 사전·사후검사 통제집단 설계를 사용하였다. 연구 대상은 경기도 안산시에 위치한 A 중학교 재학생 10명으로, 5명씩 두 집단으로 나누어 A 집단은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는 실헙집단으로, B 집단은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하지 않는 통제집단으로 구성하였다.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집단미술치료 시행에 앞서,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이 회복탄력성에 있어 동질한 집단인지 확인을 위해 두 집단의 사전검사 결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대상은 실험집단 5명, 통제집단 5명으로 적은 수이기 때문에 비모수 통계기법인 맨-휘트니 검정(Mann-Whitney test)을 통해 분석하였고, 두 집단의 동질성이 인정되었다. 집단미술치료는 실험집단을 대상으로 주당 1회, 약 120분씩 총 5차시에 걸쳐 시행되었으며, 집단미술치료가 종료된 후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에 사후검사를 시행하였다. 본 연구는 중학생을 대상으로 한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효과성이 있는지 살피고자 실험집단과 통제집간의 사전·사후검사 비교를 위해 청소년 회복탄력성 검사(홍세희 외, 2019)를 연구의 도구로 선정하였다. 본 연구에서 수집된 자료는 IBM SPSS 26.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고,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를 진행한 후 사전·사후의 결과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분석하여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효과가 있는지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에 미친 영향을 정리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향상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쳤다. 실험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비교한 결과,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회복탄력성 검사에서 사전·사후 값에 유의미한 차가 있었고, 연구 대상 5명 모두의 회복탄력성 평균이 증가하였다. 반면에 통제집단은 회복탄력성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둘째,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는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하위요인인 감정조절, 공감, 관계성,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낙관성, 끈기 중 감정조절만을 강화하였다. 실헙집단과 통제집단의 사전·사후 검사를 윌콕슨 부호순위 검정(Wilcoxon Signed-Rank test)으로 비교한 결과, 집단미술치료를 실시한 실험집단은 감정조절에서 사전·사후 값에 유의미한 차가 있었고, 통제집단은 감정조절에서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셋째, 이외의 하위요인인 공감, 관계성, 문제해결력, 자기효능감, 낙관성, 끈기에서는 유의미한 변화가 나타나지 않았다. 위의 내용을 종합하여 보면,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에 효과가 있다는 것을 알 수 있다. 하지만, 단기로 진행되었기 때문에 발달과정에서 변화하는 청소년인 연구 대상자의 내적변화에 다차원적인 효과가 없었다는 한계를 지닌다. 결과적으로, 본 연구는 예방적 차원의 집단미술치료가 중학생의 회복탄력성 강화를 위한 효과적인 접근임을 입증한 연구라는 것에 의의가 있으며, 추후 초기 청소년을 위한 예방적 개입으로서 집단미술치료를 활용하기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 될 수 있다는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epare basic data to reveal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on resilience at a preventive level and to use art therapy in the future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to strengthen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school sites. For this purpose, the following research question were established. Is group art therapy at a preventive level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In order to verify the effectiveness of the research question, this study used the pre- and post-inspection control group design based on the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as an independent spokesman and the change in resilience based on the Youth Resilience Test. The subjects of the study were 10 students from A Middle School located in Ansan, Gyeonggi-do, and the group A was divided into two groups of five, and the group B consisted of a control group that did not conduct group art therapy at a resilience level. Prior to the implementation of group art therapy to strengthen resilience, the results of preliminary examination of the two groups were analyzed to confirm whether the experimental and control groups were homogeneous in resilienc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analyzed through the Man-Whitney Test, a nonparametric statistical technique, and the homogeneity of the two groups was recognized because the number was small with five experimental groups and five control groups. Group art therapy was conducted once a week for experimental groups for a total of five sessions, about 120 minutes each, and post-examination was conducted o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after group art therapy was completed. In this study, the Youth Resilience Test was selected as a tool for research to compare pre-examination and post-examination between experimental groups and control groups to see if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for middle school students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he data collected in this study was analyzed using IBM SPSS 26.0 program, and the results of pre and post-production were analyzed with Wilcoxon Signed-Rank test to verify whether preventive group art therapy was effective in strengthening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To summarize the impact of group art therapy on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t the preventive level, the following is the case. First, group art therapy at the preventive level had a positive effect on the improvement of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s a result of comparing the pre-test and post-test of the experimental group and the control group with Wilcoxon Signed-Rank test, the experimental group that conducted group art therap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re- and post-progress values in the recovery elasticity test, and the average of the recovery elasticity of all five subjects in the study increased. On the other hand, the control group showed no significant change in resilience. Second, group art therapy at the preventive level only strengthened emotional control among the lower factors of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emotional control, empathy, relevance, problem solving, self-efficacy, optimism, and persistence. As a result of comparing pre- and post-test of real and control groups with Wilcoxon Signed-Rank test, experimental groups that performed group art therapy had significant differences in pre- and post-values in emotional control, and no significant changes in control groups. Third, there were no significant changes in other sub-factors: empathy, relationships, problem-solving skills, self-efficacy, optimism and persistence. Collecting the above, we can see that group art therapy at the preventive level is effective in strengthening the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However, the short-term progress has limited the multidimensional effect on internal changes in the study subjects, which are teenagers who change during the development process. As a result, it is meaningful that this study proves that group art therapy at a preventive level is an effective approach to strengthening resilience of middle school students, and that it can be used as a basic data for utilizing group art therapy as a preventive intervention for early youth.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