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8 Download: 0

학급중심 학교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Title
학급중심 학교 미술치료 효과에 대한 메타분석
Other Titles
Meta-analysis of art therapy effect in school classrooms: focusing on elementary school
Authors
윤지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미술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경아
Abstract
최근 학교 폭력을 비롯한 학교 현장에서 발생하는 다양한 문제들의 저연령화 현상이 갈수록 심화되고 있는 추세이다. 초등학생 사이의 폭력이 눈에 띄게 증가함에 따라 학교 폭력과 함께 수반되는 심리·정서적 문제 또한 심각한 사안으로 받아들여지고 있다. 이러한 이유로 교육부는 올해부터 모든 초등학생이 학교 폭력 예방 교육을 받는 정책을 공표하는 등 문제 해결 중심의 개입을 넘어서 문제 예방 프로그램의 지원을 확대해 나가고 있다. 이에 따라 일부 문제 아동이 아닌 전 아동을 대상으로 하는 문제 예방 목적의 심리치료 프로그램들이 활발하게 수행되고 있으며 이 중에서도 초등학생들을 대상으로 하는 학교 미술치료의 효과가 주목받고 있다. 초등학교 미술치료 중에서도 ‘학급단위 미술치료’ 또는 ‘학급중심 미술치료’라고 언급하며 정규 교과 시간에 일반 학급을 대상으로 하는 미술치료 효과에 관한 연구 또한 꾸준히 수행되고 있다. 따라서 본 연구는 초등학교 학급중심의 미술치료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체계적 문헌고찰과 메타분석을 실시하여 종합적이고 과학적인 근거를 제시함으로써 학급중심 미술치료의 발전을 위한 기초자료를 제공하는데 목적을 두고 있다. 이를 위해 2000년 이후부터 2020년 2월까지 발간된 국내 학술지와 학위논문 중 학급을 중심으로 실시한 미술치료의 효과를 보고한 논문 39편을 최종 선정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하였다. 메타분석을 위해 효과크기를 측정할 수 있는 통계치가 제시된 연구들을 분석 대상으로 하였고 핵심질문(PICOS)를 바탕으로 설정한 포함, 배제 준거에 따라 대상 논문을 선정하였다. 선정된 분석대상 논문 39편에 대한 연구특성을 추출하여 76개의 효과 크기를 산출하였으며 분석 대상 논문들의 특성을 살펴보기 위해 분석 대상 논문들에 포함된 여러 변인을 연구관련 특성과 중재관련 특성으로 구분하였다. 이후 효과크기 산출을 위해 실험집단 및 통제 집단의 사전·사후 평균(M)값과 표준편차(SD), t값, p값, F값 등의 데이터를 코딩하였다. 이를 바탕으로 CMA 2.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메타분석을 실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무선효과모형을 적용해 산출한 초등학교 학급중심 미술치료의 전체 효과 크기는 0.559(Z=5.876, P<0.05)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중간 효과크기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초등학교 학급중심 미술치료의 중재 특성 중 종속변인에 따른 효과크기를 살펴 본 결과, 기타(0.670), 자기표현/의사소통(0.662), 사회성/관계(0.655), 심리/정서(0.536), 행동(-0.219) 순으로 효과크기를 보였지만 각 효과크기들 간의 유의한 차이는 보이지 않았다. 셋째, 학급중심 미술치료 중재관련 특성 중 학령기준, 전체 회기 수, 주 회기 수, 회기시간, 매체 및 기법으로 구분한 조절변인의 효과크기를 비교한 결과 매체 및 기법에서 Q=7.294, p=0.007로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났으며 매체 및 기법을 제외한 나머지 조절 변인은 효과크기들 간의 유의한 차이를 보이지 않았다. 본 연구를 통해 초등학교 학급중심 미술치료 관련 변인들과 이들의 효과성을 확인함으로써, 학급중심의 학교 미술치료에 대한 이해를 넓히고 실질적인 기초 자료를 제시하였다. 이는 학급중심 미술치료에 대한 정확한 기반을 성립하고 미술치료가 학교 교육 서비스의 일환으로 자리 잡을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In recent years, a diverse range of issues including physical violence amongst pupils has become rooted into the perceived normality of the younger generation. The noticeable increase of violence between students in elementary schools and bullying in schools at large alongside the associated mental and psychological problems have been received as significant affairs. Beginning this year, the Ministry of Education set out policies to address the matters mentioned above through compulsory schooling on bullying and violence prevention to elementary school pupils as well as expansion and increase of funding to other various bullying and violence prevention programs. Following this news, various psychotherapy programs tailored to bullying and violence prevention targeting not only those who showed such traits, but all pupils have commenced with the notable effects of art therapy on elementary school pupils drawing significant attention. The art therapy being conducted in elementary schools have been classified as ‘class-oriented art therapy’ and ‘class-centered art therapy’ which are carried out during regular classroom hours to regular, non-violent students. These sessions are continuously run to allow further research into the effects of art therapy. The objectiv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comprehensive scientific evidence for the development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through systematic literature review and meta-analysis to grasp the effect of class-centered art therapy. To this end, meta-analysis was conducted with a total of 39 papers on the effect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from Korean academic journals and dissertations published between 2000 and February 2020. For the meta-analysis, the papers demonstrating statistics of quantifiable effects were chosen according to the inclusion and exclusion criteria set based on the core questions (PICOS). From the 39 selected papers, 76 effect sizes were calculated through extracting the research characteristics, and in order to examine their characteristics, several variables were classified into research-related and mediation-related characteristics. Then the data, including pre- and post-average (M) and standard deviation (SD), t-value, p-value, and F-value of the experimental/control group were coded to calculate the effect size. The results of meta-analysis using the CMA 2.0 program are as follows. First, the total effect size of elementary school class-based art therapy calculated by applying the random-effects model was 0.559 (Z=5.876, P<0.05), which showe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intermediate effect size. Second, the effect sizes according to dependent variables among the intervention characteristics of class-centered art therapy in elementary school were ‘Others’ (0.670), ‘Self-expression/ Communication’ (0.662), ‘Sociality/Relationship’ (0.655), ‘Emotion/ Psychology’ (0.536), ‘Behavior’(-0.219), and showed no significant differences. Third, the effect sizes of the control variables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intervention-related characteristics were ‘School age’, ‘Total number of sessions’, ‘Number of sessions per week’, ‘Session duration’,‘Choice of media and techniques’,  and only ‘Choice of media and techniques’ had a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at Q=7.294, p=0.007 while the others did not show significant difference between effect sizes. By identifying variables related to elementary school class art therapy and their effectiveness, this study presents practical basic data and furthers the understanding of class-oriented art therapy. This study highlights the established profound basis for class-oriented art therapy and emphasizes the significance of art therapy inclusion within the school education servi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미술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