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19 Download: 0

화이트헤드의 생성 예술론 연구

Title
화이트헤드의 생성 예술론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Whitehead’s Becoming Theory of Art : focusing on Alfred North Whitehead’s concept of Prehension
Authors
연정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남시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dissertation is to clarify the aesthetic aspect of Whitehead’s philosophy, to derive the unique theory of art by applying the principle of becoming-existence centered on the concept of prehension. British philosopher 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 insists that relational realism is based on the laws of modern physics. He holds that philosophy should describe experience to understand the laws of nature as they apply universally in the real world. In order to achieve this goal, Whitehead extends the subject of experience to all actual entities in the universe beyond just humans. Whitehead's philosophy is based on ‘The Category of the Ultimate. All entities in this category are in the process of becoming creativity. Prehension is the fundamental principle of experience that every organism in the universe experiences during its creative becoming. Whitehead claims that organisms are undergoing a process of constant generation by experiencing the data they collect through prehension. Whitehead saw that not all prehension was the same. Those that contribute to the creativity of ‘novelty’ must develop and progress in their creative becoming more gradually. Whitehead then presents this progress as a topological structure under its own conception called concrescence. Whitehead defined ‘concrescence’ progress as a universal principle in that it can be applied to a wide range of areas, including evolution and theology. He defines the final phase of concrescence as corresponding to beauty in art in that it produces novelty after passing through all the phases of concrescence. This dissertation assumes that Whitehead's definition of beauty is the end point to which artistic creation is oriented and clarifies that aesthetic objects and experiences the process of concrescence are in the prehension phase. Aesthetic objects cause those who experience them to feel a sense of beauty. Therefore, in this dissertation, the concept of ‘proposition’, which plays the most similar role to aesthetic objects in the process of concrescence, is linked with aesthetic objects. Aesthetic experiences are those special experiences that occur when interacting with aesthetic objects. According to Whitehead, the minimum condition that make art possible is consciousness. ‘Consciousness’ is also the subjective form at work during the intellectual prehension phase. Therefore, in Whitehead’s aesthetic theory the fundamental experiences that people have when experiencing art occur during the ‘intellectual prehension phase’. Thus, in this dissertation, aesthetic experience is treated as existing based on the action of intellectual prehension and as occurring when people accept them as propositions. Although Whitehead says that art is a product of the human spirit that aims to achieve beauty, aesthetic senses and objects which are the conditions of artistic beauty are based on the general principle of experiences that can be applied to most of nature. This argument poses the risk that Whitehead’s philosophy can leave room for aesthetic interpretation while also blurring the definition of art itself. However, interpreting Whitehead's philosophy in terms of aesthetics is not without value because Whitehead's emphasis on relationships and process-oriented thinking is similar to the paradigm of contemporary art. Thus, this interpretation is suitable for a comprehensive discussion of the various issues of contemporary aesthetics. For this reason, the reconstruction of Whitehead’s ontology of philosophy on the ground of contemporary aesthetics is significant in that it attempts to bring Whitehead into the field of contemporary artistic discourse.;본 논문의 목적은 화이트헤드 형이상학의 미학적 양상을 밝히고, 이로부터 화이트헤드의 고유한 예술론을 도출하는 것에 있다. 영국의 철학자 화이트헤드(Alfred North Whitehead, 1861-1947)는 현대 물리학에 입각한 관계적 실재론을 주창한 인물이다. 그는 실재 중심의 사유를 통해 현실 세계에 범용적으로 적용될 수 있는 자연의 법칙을 구하고자 했고, 이를 위해 철학이 해야 할 일을 경험에 관한 기술이라고 말한다. 화이트헤드는 상기 명제를 가능하게 하기 위해 경험의 주체를 인간이 아닌 우주에 실재하는 모든 현실 존재로 확장한다. 이때 화이트헤드의 철학적 사유는 존재가 창조성을 향한 생성 중에 있음을 전제로 하며, 파악(prehension)은 이 우주의 모든 유기체가 스스로를 생성하는 중에 겪는 경험의 근본 원리이다. 화이트헤드는 유기체가 파악을 통해 주어진 여건을 수용함으로써 끊임없이 경험을, 다시 말해 생성의 과정을 겪고 있다고 주장한다. 그런데 모든 파악이 동일한 것은 아니다. ‘새로움’의 생성에 기여하는 파악은 반드시 점진적인 발전의 단계를 겪어야 한다. 화이트헤드는 이러한 점진적 단계를 합생(concrescence)이라는 고유 개념 하에 위상학적 도식으로 제시한다. 그는 합생이 진화론부터 신학까지 적용 가능한 우주의 일반 원리임을 언명한다. 그리고 예술에 있어서는 합생의 모든 위상을 거쳐 도달한 새로움을 창출을 미(美)라고 정의 내린다. 이에 본 논문은 화이트헤드가 제시하는 아름다움의 정의를 바탕으로, 미적 대상과 미적 경험을 합생의 발생적 분할 단위인 파악의 위상으로 해명한다. 미적 대상은 상관자인 주체로 하여금 미의식을 느끼게 만드는 대상을 의미한다. 그렇기에 본 논문에서는 합생의 과정에서 미적 대상과 가장 유사한 역할을 수행하는 명제(proposition)를 미적 대상으로 해명한다. 그리고 미적 경험은 대상의 상관자인 주체가 미적 대상이라는 작용 계기를 통해 얻는 특수한 경험의 양태를 의미한다. 그런데 화이트헤드에 따르면 예술을 가능케 하는 최저 조건은 의식이며, 의식은 지성적 파악에서만 작용하는 형식이다. 따라서 화이트헤드 미학에서 작가나 관람자가 예술을 통해 얻는 근원적인 경험 또한 지성적 파악의 위상에서 주어지는 경험이라고 할 수 있다. 그러므로 미적 경험에 있어서는 관람자가 미적 대상인 명제를 수용함으로써, 미적 경험에 도달하는 양태를 지성적 파악의 작용을 중심으로 해명한다. 화이트헤드는 예술을 ‘미를 목적으로 한 인간 정신의 산물’이라고 말한다. 그러나 그가 아름다움의 조건으로 제시하는 미의식이나 미적 대상은 대다수 영역에 적용할 수 있는 경험 일반의 원리를 바탕으로 한다. 따라서 예술에 대한 화이트헤드의 주장은, 예술이 이루어지는 과정의 역동성에 의미를 부여함과 동시에, 예술과 비-예술의 경계를 더욱 모호하게 만들 수 있다는 위험성을 내포한다. 그렇다고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에서 예술론을 도출하는 작업 자체가 무의미하다고 말 할 수는 없다. 이는 외적으로는 화이트헤드의 유기적 통찰이 동시대 미술의 패러다임 위에서 이루어지는 다양한 현상을 논의하기에 적합하기 때문이며, 내적으로는 모든 사변적 모험이 문명의 진보에 기여한다는 화이트헤드의 주장을 수용하기 때문이다. 따라서 화이트헤드의 형이상학을 예술론의 층위에서 다시 세우는 작업은, 화이트헤드를 실질적인 미술 담론의 장으로 가져가기 위한 시도라는 점에 의의가 있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