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20 Download: 0

모호한 이야기

Title
모호한 이야기
Other Titles
An Ambiguous Story : Imaginary Voyage
Authors
김옥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본인은 명확하게 보이지 않는 내면의 세계를 읽어내기 위해 눈으로 직접 보는 대상과 그에 반응하는 내면의 말들이 서로 교류하고 결합하는 그 모호한 지점을 탐구해왔다. 하나의 대상을 관찰하고 이해할 때, 단순히 그 대상의 표면적 재현보다 은유와 함축을 포함한 그 이면의 세계에 관심을 가졌다. 한 대상을 이해하기 위한 노력에서 출발한 작은 생각은 꼬리에 꼬리를 물며 더 큰 파동을 밀고 들어왔고, 이 과정 사이사이에 침투된 상상과 연상은 본인이 작가로서 세상을 바라보고 이해하는 방식이 되었고, 작업이 되었다. 본 논문에서는 본인이 주변의 대상을 관찰하며 시작된 내밀한 상상의 과정 속에서, 뇌리에 떠올랐던 수많은 이미지와 말들이 어떻게 교차하며 접점을 쌓아갔는지, 그리고 이들의 공존과 교류가 그림이라는 하나의 목표를 향해 어떻게 시각적으로 구체화 되어가는지에 대한 과정을 풀어내고자 하였다. 본 논문의 Ⅰ장에서는 연구를 위한 목적으로 드러나는 작업에 대한 본인의 태도, 작업의 방향과 흐름에 대해 개괄적으로 서술하였고, Ⅱ장에서부터 상상으로의 항해가 본격적으로 시작되었던 대상의 출처에 대해 살펴보았다. 그 대상 자체는 주로 본인이 길을 거닐다 마주친 풍경의 숨겨진 모습들 혹은 그림자였는데, 특별할 것 없는 이 대상들은 특이하게도 나의 내면과 맞닿아 모호한 정서적 반응을 이끌어내기 시작했다. 대상을 관찰하며 떠올린 생각과 말들은 계속해서 떠밀려왔고, 본인은 이 출처를 알 수 없는 모호한 정서적 반응과 적극적으로 마주하며, 그 실체에 대해 파헤쳐 보기 시작했다. Ⅲ장에서는 본인의 시선이 머물렀던 대상과 그에서 파생된 이미지와 말들이 어떤 방식으로 서로 교차되며 구체화되어 가는지 알아보았다. 사물의 생김새와 모양을 관찰하며 축적된 드로잉은 점차 그 형태가 덩어리진 모양으로 나타나게 되었고, 이것은 또 다른 모양으로의 연상을 가능하게 했다. 모양에서 다른 모양을 연상하는 물결들, 그 사이를 연결하는 말과 단어, 정서들은 끊임없이 교환되었고 이들의 모호한 중첩은 본인이 작가로서 다룰 수 있는 ‘그림’이라는 조형언어를 통해 표현하고자 하였다. 이에, Ⅳ장에서는 본인의 회화를 중심으로, 끊임없이 떠오르는 모호한 정서와 상상력이 ‘회화’ 고유의 시각적 환기력 통해 어떻게 구체적으로 표현되었는지 살펴보았다. 탐색의 과정에서 끊임없이 밀려왔던 부유하는 이미지들은 그림의 화면 속에서 따뜻한 덩어리의 형태로 자리 잡았고, 본인의 내면에 내재했던 모호한 말과 정서는 ‘색’이라는 전달자를 통해 분명하게 시각화 하고자 하였다. 정서와 감정을 바탕으로 화면에 칠해지는 고유의 색들은 내면의 반응을 즉각적으로 수신하는 역할로써 자리 잡았다. 본인은 본 연구를 통해 내면에 전반적으로 깔려 있던 쉽게 볼 수 없고, 말하기 어려웠던 내면의 모호함을 주체적으로 대면하고, 이것이 작업의 흐름이 되어가는 과정을 연구해 보았다. 표류하는 이미지와 말들은 서로 끊임없이 뒤섞이는 교차를 마치고 점차 자신만의 자리를 찾아가게 되었고, 이를 바탕으로‘그림’으로 써 내려간 항해일지는 허공의 상상이 담긴 짧은 이야기로서 다시 출발되었다. 아무것도 아닌 사소한 것에 대한 내밀한 탐구는 세상의 모든 것에 대한 적극적인 의지로 향하게 되었고, 작업의 전반적 흐름의 표상인 상상의 항해는 끊임없이 지속되고 있다. 본 논문에서 연구한 내용을 바탕으로 본인은 또 다른 지표로의 상상의 항해를 시작하고, 작품 세계를 한층 더 심화시켜 나가고자 한다.;My inner-self is not clearly visible to read. In order to comprehend, I have been exploring the ambiguous space, where objects that I see through my eyes and the inner language, a response to them interact and combine with each other. When looking at an object and perceiving it, I have been more interested in the world behind it, including the metaphors and implications other than its superficial representation. My small idea to understand an object around me brought me a big wave of ideas. As an artist and for my art practice, the imagination and association that permeated between this process became the way I see and understand the world. In this thesis, I am trying to explain how those numerous images and words that come to mind interact with each other. They unravel the process of how their coexistence and exchange is visualized toward a single goal as a painting. My process of a secret imagination started from the observations of the objects around me. In Chapter I of this study, I outlined my approach toward the work, direction, and flow of work revealed for the purpose of research. Starting from Chapter II, I examined the source of the object where my voyage to the imagination has begun. It was usually the hidden figures or shadows of the scenes I have encountered while wandering around. These objects, which are nothing special, came into contact with my inner-self and began to evoke ambiguous emotional reactions. The thoughts and words that came to my mind from observing the object continued to flow, and I began to dig into the reality of it by actively facing this unknown ambiguous emotional reaction. In Chapter III, I examined the objects that my gaze stayed on and how the images and words derived from them were intersected and materialized. Drawings of the appearance and shape of objects accumulated and gradually appeared as a form of a lump in my painting. This made it possible to associate the lump shape with other shapes. Waves reminiscent of other shapes from shapes, words, languages, and emotions that connect between the shapes were constantly exchanged. Their overlapped ambiguity was expressed through a form called ‘painting,' which is the medium I handle as an artist. Therefore, in Chapter IV, I used my painting as an example to examine how the constantly emerging ambiguous emotions and imaginations are represented through the painting’s own ability to visually evoke. The floating images that constantly came to mind during exploration settled down in the form of warm lumps in my paintings. The vague words and emotions inherent in my inner self were intended to be clearly visualized through a communicator called 'color'. The unique colors painted on the canvas based on emotions and affects was conducted as an immediate receiver of the inner reaction. Through this study, I was able to face the ambiguity that was generally laid throughout my inner space that is invisible and difficult to talk about. Later, I explained the process of it forming the body of my work. The drifting images and words ended up constantly intermingling with each other and gradually came to find their own place. Based on this, my logbook that was written in the form of painting has embarked again as a short imaginary story in the air. My exploration of trivial things turned into an active will for everything in the world. My imaginary voyage, the symbol of my body of work goes on. Based on the study, I would like to start the imaginary voyage toward another goal and further deepen my work.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