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39 Download: 0

감각과 상념의 공존

Title
감각과 상념의 공존
Other Titles
The coexistence of sense and thought : untuned scenery
Authors
김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본 논문은 자연의 표면과 이면을 각각 감각과 상념을 통해 마주하고, 이를 회화로써 공존 시켜 나가는 과정을 담고 있다. 과거, 본인은 ‘자연’의 유연한 형상(形相)을 통해 여러 가지 이야기를 그려내고자 하였다. 때문에 초창기엔 대상의 비정형적 형상만을 관찰하고 작업을 진행하였는데, 시간이 흐를수록 외관에만 국한된 관찰은 대상의 겉 테두리만을 해득하는 것이라 판단했다. 이러한 판단 아래 2016년부터 새로운 관찰 방식에 대한 모색을 시작했고, 2017년 자연을 관찰하는 데 있어 새로운 태도를 정립하였다. ‘관찰’이란 사물이나 현상을 주의 깊게 파악하는 행위로 대상을 해득하는 데 있어 가장 중요한 첫 단계이다. 끊임없는 관찰은 대상의 숨겨진 모습을 이끌어내며, 대상 본연의 모습을 가장 솔직하게 마주할 수 있는 기회를 제공해 준다. 때문에 본인은 세분화된 감각을 통해 대상의 다채로운 모습을 볼 수 있는 관찰 방식인 불교의 전 5식(前五識)을 사용했다. 전 5식은 유식사상의 정신 주체 구조 이론 중 하나로 다섯 가지 감각체계를 사용해 대상을 세밀히 마주하는 불교의 방식이다. 본인은 전 5식의 다섯 가지 기능별 관찰을 통해 감각을 모종의 잔상으로써 기록하는데, 세분화된 감각 기록의 잔상은 추후에 주관적 상념과 융합되어 변형된 이미지로써 구축된다. 이때 감각 기록과 상념의 투영은 순차적으로 분리되는데, 이는 자연이 가지고 있는 표면과 이면을 분리하여 관찰하기 위한 본인의 방식이다. 상념은 추후에 감각을 바탕으로 소멸과 생성의 과정을 거쳐 야기되는데, 본인은 이러한 상념이 비물질적으로 존재하는 자연의 이면이라 여겼다. 때문에 감각과 상념은 추후에 회화로써 결합되어 본인만의 형상으로 화면 위 등장한다. 상념들은 자연이란 대상을 통해 유기적으로 엮여 있지만, 주관적 경험을 통해 각기 다른 모습으로 나타난다. 본인은 이와 같은 상념의 모순적 모습이 ‘겹’과 닮았다 느꼈고, 화면에 복합적으로 등장하는 상념을‘두 겹의 상념’이라 칭한다. 본인은 감각과 상념을 통해 다채로운 자연의 모습을 마주하고, 이에 투박하지만 섬세한 주관적 상상력을 얹어 새로운 회화 풍경을 조경 해내고자 한다. 이러한 과정에서 자연은 다채로운 색과 형태로 변형을 거치는데, 변형된 형태의 자연은 화면 위에 얹어질 때 조형적 조율을 거치지 않는다. 회화를 통해 풍경을 그려내는 행위는 정의된 꽃말이 아닌 본인만의 꽃말을 정의해 나가는 과정으로, 화면 위의 자연은 작가의 손으로 마침표를 찍은 후 비로소 새로운 생명력을 가지게 된다. 본인은 자연이란 대상을 보이는 모습 자체로 단정 지으려 하지 않기에, 대상의 형태를 일률 되지 않게 표현한다. 이와 같이 충돌과 화합이 뒤섞인 표현은 자칫 모호해 보일 수 있지만, 이러한 복합적 회화 표현은 자연의 본모습과 더불어 보이지 않는 이면 또한 마주하게 할 것이다. ;This paper illustrates a series of procedures of an interpretation of the nature of the daily life into senses and a reconstruction of the integration of thoughts and the nature into art. 'Nature' with its non-standardized form was a suitable medium for me to convey my various thoughts. Hence, in the initial stage of the work, I only adopted the exterior shape of the subject, but as time passed, adoption of visual appearances only limited my expression. I landed on a conclusion that it was resulted by the lack of sufficient observation of the subject and sought out a new way of observation, and in 2017, I re-established a brand new attitude thwards the nature. 'Observation' stands for an act of careful understanding of objects or phenomena and is the most important first step in interpreting subjects. I regarded that a physical learning of subjects through the body shall be the most honest way to confron the subjects, hence used Formal 5sik method, a direct observation through senses. Formal 5sik is one of the structural theories of the mental subject of the vijñapti-matrata-ism and is a Buddhist method of confronting subjects closely through five sensory systems. I record senses as afterimages through functional observations such as sight, hearing, and tactile sensation. Such afterimages of senses classified in detail are later formed as shifted images by an integration with subjective thoughts. Such sensory records and sequential separation of subjective projection is my own attitude to focus on the essence of the nature and is a way to gain rich artistic nutrients through senses. Thoughts derived based on observations go through processes of extinction and creation and later integrate with senses, and it is one of the most important components that transform the forms of the subjects. Just like how a same flower can provide solace to some while it may provide sorrow to the other depending on their experiences, thoughts caused by various situations can stir up opposite feelings and thoughts on an identical subject. I thought that such subjective shapes of thoughts resemble layers and named it 'two layers of the thought'. Like such, at the very mouth of this gap between thoughts and afterimages that exist in complex shapes, with a hint of creativity, I plan to create an artistic and new scenary where senses and thoughts coexist, with a sensitive yet crude viewpoint. Here, senses and thoughts in colorful shapes go through 3 stages of transformation and present themselves in forms which are made up of a mix of primary colors on the display without being tuned. An artistic action of creating sceneries without tuning is a process of establishing one's own flower language, and it at last possesses a life when the artist completes the work. As I do not hastily conclude the nature by its looks, I do not observe subjects in one single confined thought. This may seem vague, but it is an effort to diversely express the shapes of the nature through artistic view, and in the process of the integration of senses and thoughts, clashes and harmonies will bring out the true shape of the nature and its other sides as well.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