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19 Download: 0

평평한 세계

Title
평평한 세계
Other Titles
The flat world
Authors
공소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조형예술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목
Abstract
본 연구에서 다루는 평평한 세계는 연구자의 작품 안에 일어나는 조형적 사건과 과정으로 이루어져 있다. 대상을 평면으로 변환시켜 화면을 구성하는 연구자의 조형 과정에 대한 탐구로 시작되어 연구자가 지향하는 평면에 대해 고찰하며 전개된다. 본인은 대상을 평평하고 납작하게 표현하려는 욕구는 어디서부터 오는지 탐구하며 가까이에서 만나는 식물들을 수집했다. 밀착해서 들여다보기도 하고 멀리서 지켜보기도 하며 식물이 가지고 있는 윤곽을 지속적으로 관찰하였다. 대상의 여러 체면을 관찰하는 시점과 평면으로 구현하려는 표현 방법이 만나 겉과 속, 위와 아래가 동시에 등장하게 되며 한 그루의 나무에서 납작하게 자라나게 된다. 납작한 숲에서 자라난 식물들은 작법을 무시하여 그려지며, 가지는 잎과 풀을 서로 연결시키고 중첩되어 반복적인 문양으로 드러나 유연한 관계망을 형성한다. 또한 연구자는 조형적 연구와 함께 식물이 자라날 토대인 '흙'에 대해 질료적 표현방법을 연구하였다. 흙을 곱게 개어내 바르고 갈아내며 평평한 표면을 만들고 종이에 안착시키는 과정을 통해 연구자에게 흙은 단순한 질료를 넘어 내적인 정서와 감정을 담아내는 '물성적 도구'가 된다. 연구자는 이러한 조형 과정을 연구하며 본인 작업과 밀접한 관계를 가진 평면성에 대해 탐구하였고, 이것은 연구자가 지향하는 평면의 영역과 특성은 무엇인가에 대한 연구로 이어진다. 연구자는 앞서 살펴본 조형과정을 통해 대상을 평면으로 변환하며, 평면으로 구현하는 것이 층위가 없이 동등한 위치를 부여 받을 수 있는 공간을 형성해 준다는 것을 알게 되었다. 이 공간에서는 어느 한쪽으로 치우지 않도록 고르게 각자의 자리를 부여 받으며 안착될 수 있다. 이렇게 납작한 숲에서 자라난 것들은 서로 호응하며 각자 고립되지 않는다. 이것을 통해 평소 작업 활동을 하며 스스로 의문이었던 왜 평면으로 구현하는가? 왜 평면에 안정감을 느끼는가? 에 대한 물음에 해답을 찾게 되었고 평면적 표현에 더욱 애착을 가지게 되었다. 이러한 연구를 통해 자연을 본인만의 평면 세계로 안착시키던 연구자는 자연의 무한한 '형'에서 새로운 회화적 단서를 얻으며 기록자로서의 태도를 취하게 되었다. 평평한 표면을 만들어 흔적을 남기는 일은 원시적이고 일차원적인 접근이나, 자연 그대로의 상태에 가까워지고 자연의 순리대로 행해지게 하기 위한 행위이다. 또한 이렇게 '형'을 구현하는 것은 연구자가 가지고 있는 기질과 연구했던 고유한 규칙을 모두 따르면서도 더욱 자유롭게 변모하고 진화할 수 있는 표현 방식이다. 이렇듯 자연의 '형'을 관찰하며 '외재적인 형상'과 보이지는 않지만 존재하는 유기체의 움직임을 표현한다. 이를 통해 연구자의 내면과 화면의 균형을 맞춰 나가며 기록자로서 여정의 첫 발을 내딛게 되었다. 본 연구를 통해 연구자가 바라보는 자연은 조형적인 실험 대상이 아니라 관조와 성찰의 대상으로 변모하였음을 알게 되었고, 이러한 관조적 태도를 통해 연구자의 '평평한 세계'가 더 넓은 세계를 기록하며 우거진 숲으로 거듭나기를 기대해 본다. ;The flat world in this study consists of formative events and process in artwork of researcher myself. This study starts with exploration of formative process which transfers three-dimension objects to flat surface so that becoming painting. The researcher has collected plants that meet closely, exploring where the desire to express the object flat and flat comes from. The researcher looked closely, watched from afar, and constantly observed the outline of plants. The point at which to observe a various angle of the target meets with the expression method to be implemented in plane. Thus, both the inside and outside, the top and the bottom appear at the same time and grow flat on one tree. Plants grown up in 'flat forest' are drawn ignoring a general manner of paintings, and their leaves and grasses are interconnected and overlapped to form a flexible network of relationships. In addition, the researcher has studied the method of material expression on the soil, which is the foundation on which plants will grow, along with the formative study. Through a process of finely mashing and grinding the soil, creating a flat surface, and settling it on paper, the soil becomes 'a physical tool' for the researcher to capture internal emotions and sentiments beyond simple material of artists. The researcher also has studied this formative process and explored the 'flatness' that is closely related to own work. This leads to the study of the flat attributes that the researcher is aiming for. The researcher found that materializing the planar structure creates a space where equal positions can be granted without layers. In this space, an object can be settled evenly given its own space. And the objects grown up in the 'flat forest' respond to each other and are not isolated respectively. Through these studies, the researcher found the answer to the question 'Why implement in plane?', 'Why do you feel stable on the plane?' during daily painting activities. And the researcher became more attached to the flat expression. Also, the researcher who settled nature in her flat world found new malerisch clues in nature's infinite 'shape' and took an attitude as a recorder. It is a primitive, one-dimensional approach to make traces by creating a flat surface. However, it is an act intended to bring a natural phenomenon closer and be carried out in the order of nature. In addition, this materialization of 'shape' follows both the temperament and the unique rules the researcher studied. It is an expression that can be transformed and evolved more freely. As such, the 'shape' of nature is observed to express 'an external shape' and 'a movement of organic body'. Through this process, the researcher takes the first step of journey as a recorder getting the balance of own inner side and painting. Through this study, the researcher learned that the nature has become the subject of observation and reflection, not the subject of formative experiments. Also, through this contemplative attitude, the researcher hopes that 'The flat world' will be reborn as a thick forest, recording the wider worl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조형예술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