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328 Download: 0

치주 질환과 골다공증 간의 상관관계 고찰을 위한 치조골 분석

Title
치주 질환과 골다공증 간의 상관관계 고찰을 위한 치조골 분석
Other Titles
Alveolar bone analysis to study the correlation between periodontal disease and osteoporosis : a retrospective study through the radiographic analysis
Authors
조수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종빈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치주치료 전 임상 및 방사선학적 자료를 분석해 구강 내 대표적인 골소실 질환인 치주 질환과 전신 골질환 중 골밀도 질환인 골다공증 사이의 연관성을 파악하고자 하는 것이다. 2013년 7월부터 2020년 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과대학 부속 목동병원 치과진료부 치주과에 치주 질환을 주소로 내원한 외래환자 중 국소마취하 시행하는 치주치료와 골 표지자 검사 C-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CTx)의 시행을 포함하고 환자의 전신상태에 대한 PMH 기록 중 전신 골질환을 가진 총 76명의 환자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기록이 완전하지 않은 환자는 제외하였다. 환자의 진료기록부를 바탕으로 치주 질환 환자 그룹을 Scaling군, SRP(Scaling and root planing)군, Flap operation군으로 전신 골질환 환자 그룹을 Normal군, Osteopenia군, Osteoporosis군으로 분류했다. 후향적 연구로서 연령, 성별, 치주치료 진단 부위, CTx 검사, 전신 골질환 기록 및 BMD(Bone mineral density) 수치, 골다공증약 복용 또는 주사 투여 경로를 수집하였다. 본 연구는 치과 파노라마 방사선영상을 이용해 하악 소구치와 하악지의 방사선 단위 길이당 픽셀 밀도(이하 골밀도(bone density)라 칭함) 측정인 하악골의 질적 평가와 하악 대구치와 하악 소구치의 방사선 단위 면적당 픽셀의 백분위수(이하 골면적(Bone area)이라 칭함), 골소실된 치근의 골길이(이하 골길이(Bone length)라 칭함) 측정인 하악골의 양적 평가를 시행하여 각 측정의 결과값들을 비교 분석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영상을 DICOM file로 변환 저장하여 PiView STAR PACS(INFINITT, Seoul, Korea) Viewer 와 Photoshop CS6(Adobe System Inc., San Jose, CA, USA) 각각의 프로그램을 사용해 분석하였다. 파노라마 방사선영상의 관심 있는 2개의 영역을 선택 도구를 사용해 골밀도 픽셀값의 평균(mean) 및 표준편차(Standard Deviation), 골면적 percentile의 level, 골길이 평균을 측정하였다. 본 연구의 통계분석은 SPSS(version 24.0, IBM Corp., Armonk, NY, USA) 소프트웨어를 이용하였다. 치주 질환 그룹과 전신 골질환 그룹이 하악 소구치와 하악지의 골밀도, 하악 대구치와 하악 소구치의 골면적 그리고 골길이에 통계적으로 유의미한 영향을 미치는지를 검정하기위해 one-way ANOVA 분석 방법과 사후 검정 방법으로 scheffe 기법을 이용하였다. 추가로 치주 질환과 전신 골질환과의 상호작용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서 two-way ANOVA 분석을 시행하였다. 통계적 유의수준은 0.05로 설정하였다. 1. 치주 질환 그룹은 하악 소구치 골밀도를 제외한 모든 경우에서 통계적으로 유의한 상관관계가 있었다(p<0.05). 2. 모든 측정에서 치주 질환 그룹과 전신 골질환 그룹의 상호작용은 유의미하지 않았지만 하악골의 인자별 골밀도를 전신 골질환의 골밀도를 기준으로 Normal, Osteopenia, Osteoporosis으로 분류하여 비교해본 결과 전신 골질환의 골밀도가 감소하면 하악골 골밀도도 감소하는 경향을 보였다(p<0.05). 3. 골밀도를 측정한 인자들의 경우, 전신 골질환 그룹과 유의한 차이가 있었던 반면, 골면적은 치주 질환 그룹일 때가 통계적으로 유의미하였다. 또한, 골길이는 치주 질환과 전신 골질환 두 질환 모두에 대해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본 연구 결과를 토대로 임상 및 방사선학적 자료를 이용한 진단을 통해서 치주 질환의 정도에 대해서 평가할 수 있고 전신 골질환과의 연관성에 대해서 보았을 때 여러 가지 인자 중 하악 소구치 골밀도, 하악지 골밀도 부위와 하악 대구치, 하악 소구치 골길이 부위에 대해서는 치주 질환 그룹과 전신 골질환 그룹에서 모두 유의차가 있었으므로 하악골의 골밀도와 골길이가 향후 치주 질환과 전신 골질환과의 진단을 내릴 수 있는 기준이 되는 요소로 중요한 고려 사항이 될 수 있을 것으로 사료된다. ;This study aims to `identify the association between osteoporosis, a bone density disease among systemic bone disease and intraoral representative bone loss disease (periodontitis), analyz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data before periodontal treatment. The tests were conducted with 76 patients, who underwent periodontal treatment under local anesthesia and bone markers tests, C-telopeptide of Collagen Type 1(CTx), and had systemic bone disease according to PHM records of the patient’s whole-body condition, among those who visited the faculty of periodontics of EWHA WOMANS UNIVERSITY MOKDONG HOSPITAL from July 2013 to February 2020. Patients with incomplete records were excluded. Based on the patient's medical records, the periodontal disease patient group was classified into the Scaling group, SRP (Scaling and root planing) group, and the Flap operation group. As a retrospective study, we collected age, gender, periodontal treatment diagnosis site, CTx test, systemic bone disease records, and BMD (Bone mineral density) levels, route of osteoporosis drug PO or IV. were collected. This study is a qualitative evaluation of the mandible bone, which is a measurement of the pixel density per unit length of radiation of the mandibular premolar and mandibular ramu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ne density) using dental panoramic radiographs, and the percentile of pixels per unit area of radiation of the mandibular molar and mandibular premolar. Quantitative evaluation of the mandible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ne area) and bone length of bone loss (hereinafter referred to as bone length) was performed, and the results of each measurement were compared and analyzed.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were converted into DICOM files and analyzed using PiView STAR PACS (INFINITT, Seoul, Korea) Viewer and Photoshop CS6 (Adobe System Inc., San Jose, CA, USA) programs. The two areas of interest in panoramic radiographic images were measured using the selection tool, the mean of the bone density pixel value and the standard deviation, the level of the bone area percentile, and the mean of the bone length. The statistical analysis of this study used the SPSS (version 24.0, IBM Corp., Armonk, NY, USA) software. One-way ANOVA analysis method and post-hoc test method were used to test whether periodontal disease groups and systemic bone disease groups had statistically significant effects on bone density of mandibular premolar and mandibular ramus, bone area and bone length of mandibular molar and mandibular premolar. In addition, a two-way ANOVA analysis was performed to identify the interaction effects of periodontal and systemic bone diseases. The statistical significance level is set at 0.05. 1. For the periodontal disease group, there was a statistically significant correlation in all cases except for bone density of mandibular premolar (p<0.05). 2. In all measurements, the interaction between the periodontal disease group and the systemic bone disease group was not significant, but according to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mandibular bone density by the factor, which was classified as Normal, Osteopenia, and Osteoporosis based on the bone density of systemic bone disease, the mandibular bone density showed a tendency to decrease as the bone density of systemic bone disease. (p<0.05) 3. In the case of the factors measuring the bone densit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from the group of systemic bone disease, while the bone area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when the periodontal disease group. In addition, bone length was significantly different for both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bone disease. (p<0.05).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the degree of periodontal disease can be assessed through diagnosis using clinical and radiological data, and When looking at the association with systemic bone disease shows that among the various factors, there were significant differences in the periodontal disease group and systemic bone disease group in the mandibular premolar bone density, mandibular ramus bone density, mandibular molar, and mandibular premolar bone length. Bone density and bone length are considered to be important factors for the diagnosis of periodontal disease and systemic bone disease in the fu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