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8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진우-
dc.contributor.author이수진-
dc.creator이수진-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09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09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79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799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651-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임플란트 식립 시 사용되는 골 이식재 중 이종골과 합성골의 사용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 골 흡수량(PIMBL;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의 차이를 방사선학적으로 분석하여, 두 이식재의 임상적 유의성을 비교하고자 하였다. 본 연구는 2016년 8월부터 2018년 12월까지 이화여자대학교 의료원 목동 병원 치과에 내원한 환자 중 이미 발치된 상, 하악 구치부에 임플란트 식립과 함께 골 이식을 시행하였고, 그 중 이종골(DBBM;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 또는 합성골(SBS; Synthetic bone substitutes)을 이식한 환자를 대상으로 평균 15개월(최소 12개월, 최대 48개월)을 추적 관찰하여 방사선학적 데이터(Panorama)를 통해 PIMBL의 차이를 비교 분석하였다. 해당 결과는 혼합 선형 모형(Mixed linear model) 분석을 통해 산출된 결과이며, 추척 관찰 기간은 구간 별로 나누어 (T1: 1-6개월, T2: 7-12개월, T3: 13-18개월, T4: 19-24개월, T5: 25-48개월) 골 이식재 간의 PIMBL의 차이를 통해 임상적 유의성을 비교하고자 하였고, 결과는 다음과 같다. 1. PIMBL을 시간에 따라 반복 측정하였을 때, 시간이 갈수록 낮아지는 경향을 보였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2. 두 이식재를 비교해 보았을 때, 대체적으로 DBBM의 PIMBL이 더 낮은 것으로 나타났고, 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있었다. (p<0.05) 3. 시간에 따른 두 이식재에 대한 PIMBL의 차이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없었다. (p>0.05) 본 연구는 대상자의 수가 한정적이고, 방사선학적 데이터 중 Panorama를 이용하여 수직적인 골 손실의 양을 평가하였기 때문에, 향후 CBCT를 이용하여 많은 대상자를 기반으로 한 추가적인 전향적 연구가 필요할 것으로 사료된다.;The aim of this study was to investigate the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PIMBL) after clinical application of Deproteinized bovine bone material (DBBM) and Synthetic bone substitutes (SBS), and to statistically analyze the clinical difference and significance of fore mentioned two bone graft materials. For this study, from August 2016 to December 2018, we randomly screened the patients who visited the EWHA Women’s University Dental Hospital (Mokdong) and performed implant placement and bone graft procedures on the maxillar and mandibular molars that had previously been extracted. The patients had bone graft procedure with between DBBM and SBS material were followed up for from at least 1 month up to 48 month. Radiographic data were used for comparative analysis of PIMBL differences. The data was analyzed through a mixed linear model, and the follow-up observation period was divided into several intervals to compare PIMBL between the two bone graft materials. The intervals are defined as T1 from 1 to 6 months, T2 from 7 to 12 months, T3 from 13 to 18 months, T4 from 19 to 24 months, T5 from 25 to 48 months. Comparing the clinical difference in PIMBL between the two graft materials, the results are as follows. 1. When PIMBL was repeatedly measured with time, it tended to decrease with time, which showed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p<0.05) 2. The PIMBL of DBBM appeared to be lower than the other, which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p<0.05) 3. However, there was no statistically significant difference in PIMBL between the two bone graft materials over time. (p>0.05) This study has a limited number of subjects and evaluated the amount of vertical bone loss using Panorama among radiographic data, further prospective studies based on many subjects are needed using future CBCT.-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연구대상 및 방법 3 A. 연구 대상 3 B. 연구 방법 5 C. 수술 절차 6 D. 방사선학적 계측 방법 7 E. 자료 분석 및 통계 분석 방법 9 Ⅲ. 연구 결과 11 A. 환자의 일반적 특성 11 B. 두 이식재 간의 PIMBL(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차이 13 C. 여러 변수들을 고려한 두 이식재 간의 PIMBL(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차이 15 Ⅳ. 고찰 17 Ⅴ. 결론 21 참고문헌 22 ABSTRACT 25-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421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임상치의학대학원-
dc.subject.ddc617.6-
dc.title골 이식재의 종류에 따른 임플란트 주위 골 흡수량의 차이-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방사선학적 평가-
dc.title.translatedA Comparison of Peri-implant marginal bone loss in Different Bone Graft Materials : Radiographic Evaluation-
dc.creator.othernameLee, Su Jin-
dc.format.pagevi, 26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임상치의학대학원 임상구강보건학과치위생학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임상치의학대학원 > 치위생학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