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52 Download: 0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 방안 연구

Title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Peer Feedback Plan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Focused on Constructing and Using an Evaluation Questionnaire
Authors
서수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미혜
Abstract
Prior studies related to writing in the second language education mention that the contribution of peer feedback is large in improving writing completio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used for peer feedback is a guide for determining high-quality feedback, but systematic research on how to construct a structure of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is insufficient.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construct a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to present plans to utilize it as one of the concrete methods for implementing effective peer feedback in Korean writing education. In order to achieve the purpose of the study, the research questions were initially set. The first question was, "What should be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in Korean writing education?" and the second was, "What is an efficient plan to utilize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in Korean writing education?” Then, the Delphi method was used as a way to consider the research questions. The participants of the Delphi survey were 11 experts who had experience in peer feedback in the Korean writing education field or who were interested in writing education using peer feedback. A total of three Delphi surveys were conducted. In the first survey, the adequacy of areas and items for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was investigated. At the same time, the criteria for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were drawn through an open questionnaire that can freely describe the opinions of experts. Closed questionnaire items were drawn by classifying the main and sub factors from the results of the first survey. In the second survey, the validity and importance of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by the participants were investigated. In the third survey, the contents and structure of the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derived from the second survey were evaluated by experts for final usability. In addition, opinions on the use of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were collected. Based on this, the results of this study were derived. The statistical program SPSS 23.0 was used to analyze questionnaire data. The adequacy, validity, and importance of each item in the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were evaluated on a 7-point scale, and at the same time, the final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was derived based on literature search and expert opinion. The process of deriving the final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and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in the results of the first Delphi survey, 4 areas of language use, notation, genre characteristics and length out of 11 areas (composition, length, content, paragraph, grammar, vocabulary, language use, genre characteristics, title, total, and notation) have been removed. In particular, in the order of adequacy, the order of content, title, composition, and paragraph is the domains that are meaning-oriented. Experts suggested that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intermediate learners of Korean writing, it is appropriate to place a greater emphasis on meaning-oriented rather than form-oriented. Second, 16 out of the 37 detailed items were deleted, and 28 detailed items were drawn with the opinions of experts selected in the open-ended question. In addition, as a result of the second Delphi survey, 11 experts judged that 21 items were valid and important for 7 areas and 28 items. Third, as a result of combining and classifying the opinions of experts on the second questionnaire and researching the literature together, the good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proposed by this study consists of a total of 6 components (content, composition, title, paragraph, grammar and vocabulary, total), and 21 detailed items were finally drawn. Fourth, usefulness and usability were investigated for evaluation questionnaire, which was confirmed to be valid according to the adequacy survey. As a result, 11 experts judged that usefulness and usability were generally guaranteed in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Fifth, as a result of research on how to use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Sufficient introduction of peer feedback” category was the highest as a necessary content for motivating learners in Korean writing education courses. The most desirable activity for understanding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learners was the highest item on “Making the learners understand the items and contents of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As a result of surveys on what teachers should plan and implement for successful peer feedback activities, the item on “When to conduct peer feedback activities in writing classes” was the highest. As a result of the survey on the use of evaluation questionnaire in the activity after peer feedback, the item on “The teachers listen to the overall opinion of learners after peer feedback activity and re-examine the complement matter to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composition” was the highest. Looking at the evaluation questionnaire in the literature research so far, there are cases that the number of evaluation questionnaire items for beginners is more than that for the intermediate and advanced levels, and the criteria are ambiguous in the distribution of meaning-oriented and form-oriented areas depending on the level of learners in many cases. In addition, literature materials published 10 years before were used instead of an evaluation questionnaire, which was verified for practical Korean writing courses. In this regard, this paper is meaningful in that it verified the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with Korean writing class experts in the first draft (essay genre) of Korean intermediate (3rd~4th grade) learners. Based on the results of this study, it is hoped that there will be further research for a continued development of a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suitable for a wider variety of genres and a study on peer feedback evaluation questionnaire for more detailed learners.;제2 언어 쓰기 교육의 많은 선행 연구들은 글쓰기 완성도를 높이는데 동료 피드백이 많은 기여를 한다고 밝힌 바 있다. 이러한 동료 피드백에서 사용되는 평가 질문지는 양질의 피드백을 판가름하는 길잡이가 되지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체계를 어떻게 구성하는가에 대한 체계적인 연구는 부족한 실정이다. 이에 따라 본 연구는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효과적인 동료 피드백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방안 마련의 일환으로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구성 및 활용 방안 마련을 목적으로 하였다. 이러한 목적 달성을 위해 본 연구에서는 첫째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내용과 체계는 어떠해야 하는가?’, 둘째 ‘한국어 쓰기 교육에서 효율적인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 활용 방법은 무엇인가?’를 연구 문제로 설정하였다. 이 두 연구 문제에 대한 고찰 방법으로 본 연구는 델파이 기법을 사용하였다. 델파이 설문 조사 참여 대상은 한국어 쓰기 교육 현장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 경험이 있거나 동료 피드백을 활용한 쓰기 교육에 이해와 관심이 풍부한 전문가 11명이었다. 총 3회의 델파이 설문 조사를 통해 진행되었으며 1차 설문 조사는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내용과 체계에 대한 영역 및 항목의 적절성을 조사하였고 이와 함께 전문가의 의견을 자유롭게 기술할 수 있는 개방형 설문지를 활용하여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 항목의 기준을 도출하였다. 2차 설문 조사는 1차 조사 결과를 통해 추출된 상위 요인과 하위 요인을 구분하여 폐쇄형 설문 항목을 도출하여 이에 대한 참여자의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내용과 체계에 대한 타당도와 중요도를 조사하였다. 3차 설문 조사는 2차 설문 조사에서 결과로 도출된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내용과 체계에 대해 전문가의 최종 사용성 평가와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 활용에 대한 의견을 수렴하여 이를 바탕으로 본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설문지 자료 분석은 통계 프로그램 SPSS 23.0을 이용하였으며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각 항목에 대해 적절성, 타당도·중요도 등을 7점 척도를 이용하여 평가하였고 이와 동시에 문헌탐구와 전문가의 의견을 바탕으로 최종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를 도출하였다. 본 연구의 최종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 도출 과정과 그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1차 델파이 설문 조사 결과 구성 요소의 적절성 분석 결과에서 구성 요소의 11개 영역(구성, 길이, 내용, 단락, 문법, 어휘, 언어 사용, 장르적 특징, 제목, 전체, 표기) 중 4개 영역(언어 사용, 표기, 장르적 특징, 길이)이 삭제되었다. 특히, 적절성 순위에서 내용, 제목, 구성, 단락의 순으로 이 4가지는 모두 의미 중심의 영역으로 전문가들은 한국어 쓰기 중급 학습자 대상의 평가 질문지에서 형식 중심보다는 의미 중심에 보다 큰 비중이 적절하다는 의견을 준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37개의 세부 항목 중 16개 항목이 삭제되었으며 개방형 질문에서 선정된 전문가의 의견이 통합 및 추가되어 28개 세부 항목이 도출되었다. 또한 2차 델파이 조사 결과 11명의 전문가들은 7개 영역, 28개 항목에 대해 21개의 항목이 타당성이 있고 중요하다고 판단한 것으로 조사되었다. 셋째, 2차 설문지에 대한 전문가의 의견을 종합·분류하고 문헌 연구를 함께 실시한 결과, 본 연구가 제안하는 좋은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는 총 6개의 구성 요소(내용, 구성, 제목, 단락, 문법 및 어휘, 전체)와 21개의 세부 항목으로 최종 도출되었다. 넷째, 적절성 조사에 의해 타당도가 확인된 평가 질문지에 대해 유용성 및 사용성 조사를 진행하였는데 그 결과, 전문가 11명은 대체적으로 그 유용성과 사용성이 담보된 것으로 판단하고 있는 것으로 볼 수 있었다. 다섯째,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의 활용 방법에 대한 조사 결과, 한국어 쓰기 교육 수업에서 학습자의 동기 부여를 위해 필요한 내용에 대해 ‘동료 피드백의 충분한 소개’에 대한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학습자에게 평가 질문지를 이해시키기 위한 바람직한 활동에 대해 ‘평가 질문지의 항목 및 내용을 이해시킨다.’에 대한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성공적인 동료 피드백 활동을 위해 교사가 계획 및 실행해야 할 내용에 대한 실행도 조사 결과에서는 ‘쓰기 수업에서 동료 피드백 활동을 언제 실시할 것인가’에 대한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으며 동료 피드백 후 활동에서 평가 질문지 활용에 대한 실행도 조사 결과 ‘교사는 동료 피드백 활동 후 학습자들에게 전체적인 의견을 듣고 평가 질문지 구성에 대한 보완 등을 재점검한다.’에 대한 항목이 가장 높게 나타났다. 지금까지의 문헌 연구에서 평가 질문지를 살펴보면, 초급 대상의 평가 질문지 항목의 수가 중, 고급 수준의 항목보다 많은 경우가 있었고 학습자 수준에 따라 의미 중심의 영역과 형식 중심 영역의 배분에 있어서도 기준이 모호한 경우가 많았다. 또한 대부분의 경우 실제 한국어 쓰기 수업 현장에 맞게 검증된 평가 질문지가 아니라 10년 이전의 문헌 자료를 그대로 사용하고 있는 경우도 많았다. 이러한 점에서 본고는 한국어 쓰기 수업의 전문가를 대상으로 한국어 중급(3급∼4급) 학습자 대상의 초고 쓰기(장르: 수필)에 대한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를 검증하였다는 데 의의가 있다. 이러한 본 연구의 결과를 바탕으로 보다 다양한 장르에 적합한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에 대한 개발과 함께 더 세분화된 학습자 대상의 동료 피드백 평가 질문지 관련 연구가 이어지기를 기대해 본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외국어로서의한국어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