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86 Download: 0

생리학적 관점에서 본 『프랑켄슈타인』

Title
생리학적 관점에서 본 『프랑켄슈타인』
Other Titles
A Physiological Approach to Frankenstein: The Gothic Sublime and its Variation
Authors
허민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영어영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신희섭
Abstract
본 논문은 19세기 초 생리학의 발달을 핵심적 배경으로 하여 메리 셸리(Mary Shelley)의 『프랑켄슈타인; 혹은, 근대의 프로메테우스(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1818)에 나타난 고딕적 숭고함의 변주 양상을 추적해보고자 한다. 당대 생리학은 외부 자극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신경들에 초점을 두고, 기존에 몸을 지배한다고 여겨졌던 이성적 사고가 오히려 부차적인 역할을 하고 있음을 환기시켰다. 이러한 과학적 발견을 바탕으로 셸리의 소설이 탈신체적, 정신적 차원의 숭고효과를 그린 18세기 말의 다른 고딕소설들과 달리, 숭고 경험의 생리학적 차원을 조명하여 숭고적 효과를 신체적, 경험적 차원으로 변주해내고 있음을 주목해보고자 한다. 궁극적으로 『프랑켄슈타인』 속 고딕적 숭고함의 변주는 개인 및 사회의 신체감각적 특징을 포착한 재현방식으로서 리얼리즘의 지평을 넓히는데 기여하고 있음을 제안하고자 한다. 본론의 첫 번째 장에서는 셸리가 고전적 숭고론이 배제한 인간 경험의 신체적 단계를 조명함에 따라 이성적 존재로서의 인간에 대한 이상적인 믿음과 달리, 근대 사회 속 구성원들에게서 분열적 양상이 나타나고 있음을 주목한다. 먼저 낭만적 숭고 경험의 배경으로 일컬어지는 탈일상적 자연에서 인간의 정신뿐만 아니라 신체가 유기적으로 함께 작용하고 있음이 암시된다. 특히 로버트 월튼(Robert Walton)의 북극 탐험이 좌절되고, 빅터가 알프스 산 등의 장엄한 자연에서 위안을 얻지 못하는 데는 타자와의 조우가 핵심적 요인으로 등장하며 자아의 완전성에 대한 고전적 믿음을 좌절시킨다. 이는 동화에서나 벌어질 법한 이상적인 인물들 간의 만남과 대조적으로 낯선 타자와 마주치는 장면들에서 두드러지게 나타나는 주체의 생리학적 반응들이 실감나게 포착된 것이다. 나아가 저스틴(Justine)의 재판에서 이성적 판단에 앞서 자기보존본능에 휩쓸린 군중을 통해 외부 자극에 민감한 근대 사회의 모습이 환유적으로 보여짐을 짚어낸다. 셸리는 인간이 정신적인 의지나 의도의 통제 하에 있기보다도 외부 자극에 먼저 반응하는 모습을 사실적으로 보여줌으로써 인식적 혼란을 초래하는 동시에 인간에 대한 새로운 이해가 필요함을 시사한다. 이처럼 고전적 숭고함의 논의가 보여주는 한계를 드러내는 동시에 셸리가 제시하는 변주된 형태의 숭고 경험이란, 인간 주체들이 새로운 숭고미의 원형인 창조물과 맞닥뜨림으로써 그들의 신체에 내재되어 있는 파편적, 균열적 양상을 자각하게 되는 충격적 경험이다. 따라서 본론의 두 번째 장에서는 “인공출산” 전과 후, 빅터가 보여주는 창조물에 대한 상반된 태도를 비이성적이며 무책임한 행동이라고 윤리적으로 비판하는 기존의 해석을 넘어, 빅터의 극적인 변화를 생리학적 신체에 대한 낯선 자각의 경험으로 분석한다. 빅터가 여성 창조물을 거의 다 만들고 나서야 자각하게 되는 섹슈얼리티 또한 신체적 욕구의 통제 불가능성을 드러낸다는 점에서 숭고 경험의 계기로 살펴본다. 한편, 창조물로 구체화된 생리학적 타자성에 대한 소설 속 인물들의 반응은 공포에 휩싸여 타자화하는 것으로 나타나기도 하지만, 이를 수용하는 양상으로도 나타난다. 주체와 타자와의 관계가 유연해질 가능성—신체적 차원의 숭고 경험이 함유한 가치 전복적 효과—을 보여주는 예시로 월튼이 창조물과 조우하는 소설의 마지막 장면을 조명한다. 월튼은 생리학적 존재로서 느끼는 감정들의 가변성을 괴물성으로 타자화하지 않고 자신의 일부로 받아들이는데, 이는 타자를 부정함으로써 자신을 정립하려 했던 빅터와 극명한 대조를 이룬다. 이러한 논의를 바탕으로 본 논문의 마지막 장은 『프랑켄슈타인』이 이상과 현실 사이의 괴리가 빚어내는 불협화음을 내재한 소설로서 고딕 장르에서 리얼리즘으로 나아가는 과도기적 성격을 띠고 있음을 주목한다. 셸리의 소설은 비초월적, 내재적 차원에서 신체 감각을 통한 숭고 경험을 그려내고, 나아가 그러한 경험의 주체가 자각하게 되는 인간 및 사회의 불완전한 모습을 사실적으로 드러낸다. 요컨대 셸리는 고딕 소설의 관습인 숭고 경험의 생리학적 차원을 부각시켜 독자들에게 세상을 더욱 현실적이면서도 낯설게 바라보는 렌즈를 제공한 것이다.;This thesis explores the way in which Mary Shelley’s Frankenstein; or, the Modern Prometheus (1818) illuminates the physiological dimension of the sublime experience and its profound impact on the subject. Through Victor Frankenstein and Robert Walton’s encounters with Frankenstein’s creature, the novel sheds light on the corporeal stage of the human experience which has been excluded from the classical theory of the sublime. Nineteenth-century physiology takes on an essential role in giving prominence to the nerves that respond to external stimuli and declaring that the rational mind is of secondary importance. In this regard, Shelley plays with a variation on the Gothic sublime by shifting its effect from the disembodied, metaphysical realm to the corporeal, empirical realm. I attempt to show how this variation ultimately foregrounds the sensuous characteristics of individuals and their society, thereby broadening the prospects of literary realism. The first chapter examines the theoretical backdrop of the sublime, beginning with the eighteenth-century classic sublime and expanding to the late twentieth-century postmodern sublime. The ethical undertone of the sublime, prominent in the late eighteenth century, was employed by writers of the Gothic novel to exalt the protagonist’s experience of an ennobling lift by the grandeur of nature, or, to cause fear through the unfathomable psyche of the villain. Hence, the phases of the Gothic sublime were confined within the psychological dimension. However, focusing on the physical senses immanent in human beings, postmodern philosophers are disillusioned by the classic sublime’s emphasis on the transcendental realm, and instead accentuate the irreducible rift between the signifier (image) and the signified (experience), which bodily beings negotiate in everyday life. Postmodern ideas of dissonance and immanence are central to the notion of the physiological sublime which this thesis aims to examine as a crucial link to the multifaceted aspects of corporeality. The second chapter points out the fissures created when experiences in real life collide with the ideal cherished by advocates of the classical sublime in order to suggest the undeniable necessity of viewing the sublime as a corporeal experience. Though Walton and Victor seek a haven in the vastness of nature, their struggles to transcend materiality quite ironically expose the impossibility of surpassing it. Madness, which is an unconscious impulse shared by both characters in their pursuit of the integrity of the self, instead reveals the fragmentation of the inner self. Moreover, the appearance of a mob, swayed by the instinct of self-preservation, represents a metonymic expansion of a modern society that is as sensitive as a sensory apparatus. Therefore, a striking parallel is drawn between the creature and social collectivity, which disquietingly elucidates that the realm of human relationships, around which the novel centers, is where subjects engage with unknown others who are distinct from the idealized characters in fairy tales. The third chapter investigates Victor’s sudden realization of the uncontrollability of the body through his creation of the creature as the utmost experience of the physiological sublime. Although confronting the creature plunges Victor into a state of shock, he cannot shy away from the grotesqueness of the physicality that is also an integral part of him. However, though their encounters with the other—the creature—frustrate both Walton and Victor with the explicitness of the physiological human body, this frustration leads each to markedly different results: Victor otherizes the creature so as to consolidate his sense of self, whereas Walton embraces the otherness by realizing that it is embodied in both the creature and himself. Thus, Shelley highlights the subversive effect of the physiological sublime by pointing out the significance of the body in human experience as a site upon which the subject builds a more flexible relationship with the other. The final chapter suggests that Frankenstein exemplifies a generic transition from the Gothic to modern literary realism, in its acknowledgement of the dissonance embodied within human beings. Not only does Shelley provide a lens through which to perceive the de-familiarized world where the modern subject consistently encounters the unknown other, but she also kindles a new sort of sympathy, which can be enacted through the compromise of the self and the other’s disruptive physiological responses. It is in this context that I appraise Shelley’s methods of addressing the physiological sublime, not only as distinctively singular for a writer of her time, but through their potential to alter the subject’s outlook on bodily urges and desires even as the subject abhors any acceptance of them as inextricable parts of the self.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영어영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