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1 Download: 0

교회 내 여성의 우울 이해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Title
교회 내 여성의 우울 이해에 대한 목회상담학적 접근
Other Titles
Pastorial Counseling-based Approach on on Understanding the Depression of Women in Church
Authors
허민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장정은
Abstract
WHO는 팩트시트를 통해 전 세계 약 2억 6천만여명이 우울증을 경험하였다고 보고하고 있으며, 여성이 남성에 비해 우울증에 더 취약하며, 우울증이 장애와 질병의 주요 원인이 될 수 있다고 분석하고 있다. 한국 보건복지부 역시 2015년 기준 조사표본 중 한국 여성의 16.5%가 우울을 경험하였다고 응답하였다고 보고하였는데, 남성의 응답비율인 9.5%의 2배에 가까운 수치이다. 단순산술적으로만 계산하더라도 성인 한국인 8명중 1명, 성인여성으로 한정한다면 6명중 1명은 우울을 경험한다는 것이다. 안타까운 사실은 우울을 겪는 사람의 수는 증가함에도 상담이나 치료로 연결되는 비율은 여전히 매우 낮다는 점이다. 2016년 정신건강현황조사에 따르면, 20~64세 중 단 7만 2천여명만이 우울증상을 이유로 상담을 받았고, 이중 단 3.37%만이 실제 치료서비스를 받았다. 우울이 개인의 삶과 사회의 생산성에 미치는 막대한 부정적 효과에도 불구하고 우울을 경험하는 이들이 마음을 터놓고 상담을 받거나, 치료를 받지 못하는 것이 현실이다. 사회의 부족한 부분을 채워주는 것이 종교의 역할이라고 한다면, 교인들, 특히 교회 내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에 대해 고민하고, 보다 더 감싸 안을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연구하는 것은 목회자의 응당한 의무이다. 교회는 본디 신앙의 공동체이며, 이에 따라 공동체를 구성하는 개개인에게 전문화된 형태의 돌봄, 즉 목회상담을 제공하고 있다. 필자는 이 논문을 통해 우울을 경험하는 교회 내 여성을 위한 목회상담의 방향성을 모색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교회 내 여성 우울의 양태와 원인에 대한 분석을 바탕으로, 한국 교회 내 여성의 우울증에 대한 목회상담적 접근과 그 한계점을 기술 한 후 궁극적으로는 한계 극복을 위한 목회상담학의 과제를 제시하는 것을 목표로 하고 있다. 한국 교회 내 여성들은 보수적인 신학, 교회 내 유교적·무교적 문화, 그리고 한국 사회의 성차별적인 요소 등 다양한 이유로 삶 속에서 많은 제약을 받아왔다. 본 논문은 여성들이 자신의 삶을 선택할 수 있는 가능성을 상당부분 박탈당하였기에 우울증이라는 심리적 증상을 보이게 되었다고 분석한다. 또한 남성중심적 시각에서 여성을 우울을 조망한 전통적인 심리상담학 이론들은 사회적 맥락에서 우울증을 겪는 여성들에게 적절한 치료를 제공하지 못했다고 보았으며, 오히려 우울증을 앓는 여성들을 남성보다 열등한 존재로 여기거나 여성들이 문제가 사회구조가 아닌 스스로에게 있다고 여기게끔 만들었다고 판단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교회 내 여성들이 경험하는 우울의 다양한 증상을 우선 살펴본 후, 이러한 증상이 여성 개개인의 결함과 부적응의 결과가 아닌, 사회 · 문화적 시각에서 구조적으로 고찰하였다. 특히, 한국 기독교의 보수적 신학과 유교적·무교적 문화, 그리고 한국사회의 가부장제와 성차별주의, 고정된 성역할이 낳은 불평등의 구조를 바탕으로 검토하였다. 또한, 목회상담이 가부장적인 사회문화와 남성경험을 중심으로 구축 · 발달하였고, 현대에 들어 심리학, 사회학, 정신치료학 등 남성중심적 전통학문과 결합되면서 교회 내 여성이 겪는 불평등 및 성역할 제한으로 인한 우울을 이해하고 보듬는데 한계를 가졌다는 점을 지적하고자 한다. 따라서, 본 논문에서는 교회 내 여성이 경험하는 우울을 보다 잘 이해하고 이들을 보듬기 위해 목회상담에 여성주의적 관점을 포섭하는 것을 제안한다. 또한, 사회구조적으로 촉발된 여성 우울을 완화하기 위해서는 교회 내 여성들의 연대를 비롯한 공동체 활성화를 통해 교회의 구성원 모두가 올바른 사회문화적 인식을 확립하는 것이 필요함을 주장한다. 마지막으로, 폐쇄적이기 쉬운 교회가 외부사회와의 소통을 증진할 수 있도록 목회상담이 충분한 역할을 수행할 수 있어야 함을 역설하고자 한다. 목회상담의 변화는 교회 내 여성들의 역량과 연대를 강화하고, 이들이 주체적인 자아를 확립할 수 있도록 지원할 수 있는 효과적인 힘이 될 것이다. ;It is often said that the role of religion is to fill the gap or the loopholes of the society. It is a duty of pastor to contemplate on the depression of the church members, especially the female church members, to ponder upon how to counsel and embrace them. Church basically is the community based on belief, and provides specialized care to individuals that comprise the community. This is referred to as the pastoral counselling. This paper seeks the direction for the pastoral counselling with the focus on the depression of women in Korean church. Before looking into the depression of women in church, this paper explores the origin and definition of the depression, followed after by major symptoms encountered by Korean women in church. Major symptoms include experiencing of split within one’s mind, absence of self-regard, lethargy, suppressed anger, guilt, and suicide. Next, the paper delves into the elements that cause the depression for women in Korean Church. The conservative theology of the Korean Christianity, the confucian and shaman culture of the Korean Christianity, and the Korean culture itself which can be summarized into patriarchy, gender inequality, and fixed gender roles, This paper suggest that the current pastoral counselling is established upon patriarchal social culture and the experiences of the male. Also, this paper points out that more recently, it has been merged together with male-oriented academic field such as psychiatry, sociology, and psychological therapies. Thus, pastoral counselling has certain limitations in understanding and embracing the depression of women in church, which is induced from inequality and confined gender role within church. This paper suggests three alternatives to overcome the limitations faced by pastoral counselling today. First is to include feminist view in pastoral counselling, with the main focus on Fiorenza’s feminist interpretation of the bible, together with thorough listening that would enable the the female client to start subjective speaking. Second is to bring changes in the communities within church. Activation of female communities to embrace the social value of gender equality, and unification of the segregated female/male communities within church are essential. Lastly, this paper emphasizes that it is the role of pastoral counselling to encourage the communication between the outside society and church, which otherwise is prone to maintaining secluded and closed cultur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