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6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백옥경-
dc.contributor.author윤예승-
dc.creator윤예승-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1:05Z-
dc.date.available2020-08-03T16:31:0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455-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455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616-
dc.description.abstractTaiping Heavenly Kingdom Movement was an extensive civil uprise in 1851 led by Hong, Xiu Quan(洪秀全) from Jintiancun(金田村) of Guaungxi(廣西省), Qing China. The leaders of Taipingtianguo (Taiping Heavenly Kingdom) went against the oppressive political and economic policies of the Qing government and attempted to found a new state system that aimed to build a more egalitarian social order. Other neighboring East Asian countries such as Japan, Ryukyu, and Annan(安南) experienced a rupture of trade and diplomatic relations because of the movement. Chosun, which had maintained a stable relationship with Qing China for a long time, was not free from the aftereffect of the movement either. In Chosun, there was a fear that the Taipingtianguo’s army might invade the domestic security, so the government was willing to regularly investigate the overall progress of the movement. An analysis of how Chosun viewed the movement is meaningful in that it will further illuminate our understanding of Chosun’s relationship with Qing in the mid-19th century. This study, out of the existing point of view arguing that Sashindans(ambassadors) tended to conceal or even distort information to better cater to the Sedo politics’(勢道政治) intention that was eager to stay in the order of tribute and merit(朝貢冊封秩序), aims to examine the reality of Chosun’s investigation on Qing in the 19th century by analyzing a sense of purpose of Chosun government and the surroundings of information collecting. As King Cheoljong was concerned about Taipingtianguo’s adverse effect on Chosun’s defense, he cared about the army’s scope of activity. Accordingly, Sashindans concentrated on collecting information on battles between Taipingtianguo’s army and the royal forces of Qing. However, they depended on the documents provided by the Qing court, which led them to believe in the powers of the royal forces and even regard the opposing force as a mere riot. In addition, they confirmed the fact that Taipingtianguo’s army failed the northern and western expeditions. So Sashindans underestimated the geographical scope of the movement. While the movement was prolonged, the Second Opium War was outbroken. Western Powers invaded Beijing and the emperor fled to Rehe(熱河). Consequently, the officials and the general public people in Chosun sought refuge and often caused civil unrest. Furthermore, Sashindans not only warned against the possibility of the army’s border violation, but they also feared that the army might conspire with the domestic forces. They requested King Cheoljong to dispel fear among the people as soon as possible. As a result, King Cheoljong and government officials had to come up with contingency plans to resolve the unrest spread throughout the country. King Cheoljong showed his will to alleviate the public unrest by gaining a better understanding of the situation in Qing, including Taiping Heavenly Kingdom Movement. As the civil unrest was caused by several crises in Qing, the King desired to ease this phenomenon by predicting the drift of the empire. After the fall of Beijing, the news about Western forces engaging in the suppression of Taipingtianguo’s army made its way to Chosun, which led to the relief of wide-spread anxiety in the country. Originally, Chosun tended to regard the Western Forces as a threat toward the country. However, as they became the important subject of repressions of the movement, the anxiety was able to be settled down. It meant that the Chosun government successfully kept its domestic peace. On the other hand, a part of territory of Qing China was ceded to them, and the Western people began to activate their economic activities in Beijing. By doing this, the Western powers enlarged their own influences in East Asia. However, Chosun government understood the external circumstances only through the views of the Qing government and was neglecting the wider global scene now known as Seosedongjeom (西勢東漸).;태평천국운동은 1851년 청나라 廣西省 金田村에서 洪秀全에 의해 일어난 대규모의 민간 항쟁이었다. 태평천국의 지도부는 기존 청 정부의 정치·경제적 억압에 문제의식을 가진 만큼, 새로운 국가를 건설하여 평등한 사회질서를 만들고자 하였다. 日本·琉球·安南 등 동아시아의 주변국들은 태평천국운동으로 인해 무역과 국교의 단절을 경험하였으며, 오랜 기간 청과의 안정적인 관계를 유지했던 조선 또한 그 여파로부터 자유롭지 못했다. 조선 내에서 태평천국군으로 인해 국내의 안전이 해를 입을지도 모른다는 우려가 불거짐에 따라, 철종 연간의 조선 정부는 지속적으로 태평천국운동의 추이를 조사하고자 하였다. 조선 정부의 태평천국운동 정세 인식을 분석하는 것은 19세기 중반 조선이 견지하였던 대청인식의 특성을 이해하기 위한 시도로서 그 의미를 갖는다. 본 연구는 사신단의 정보 수집과 정세 해석이 청 중심의 질서에 안주하고자 했던 세도정권의 의도에 따라 왜곡되거나 은폐되었던 것으로 본 시각에서 벗어나, 조선 정부의 목적의식과 사신단이 처해 있던 정보 수집의 환경을 통해 철종 연간 태평천국운동의 정보수집과 정세인식이 갖는 의의와 한계를 분석하였다. 철종은 태평천국군이 조선의 방위에 미칠 악영향을 우려했던 만큼, 태평천국군의 활동 범위에 큰 관심을 기울였다. 사신단은 철종의 요구에 상응하여 태평천국군과 청 정부군 사이의 전투 경과를 집중적으로 조사하였다. 다만, 청 정부가 정보 유통에 통제를 가함에 따라 사신단은 청 정부군의 입장에서 작성된 문헌을 통해 태평천국운동의 추이를 파악할 수밖에 없었다. 사신단들은 문헌에 수록된 관군의 진압능력을 있는 그대로 신뢰하고 태평천국군을 ‘오합지졸’ 정도로 치부하였다. 또한 태평천국군이 북벌과 서정에 실패했음을 확인한 사신단은 태평천국운동을 국지전으로만 간주하기도 하였다. 그러나 태평천국운동이 장기적 국면에 접어들고 제2차 아편전쟁으로 북경이 함락되어 함풍제가 열하로 피난하자, 조선의 관원과 일반 민들은 피난하거나 소동을 일으켰다. 게다가 사신단은 태평천국군이 월경해 조선 내부 세력과 결탁할 가능성을 제기하며 민심을 하루 빨리 수습해야 할 것을 요청하였다. 이에 따라 철종은 태평천국운동을 비롯한 청 정세 전반을 파악하여 조선 내부의 불안감을 해소하려는 의지를 드러냈다. 조선 내의 민심 이반은 청의 위기에서 비롯되었으므로, 국왕은 청의 향배를 예측하여 불안정한 민심을 진정시키고자 한 것이었다. 북경 함락 이후 서양 군대가 태평천국운동 진압에 개입하여 전공을 세움이 알려지자, 청의 혼란에 대한 조선의 위기감은 점차 해소되었다. 본래 조선 정부는 서양 세력을 위협적인 존재로 보았으나, 이들이 태평천국운동 진압의 주체가 됨에 따라 위기의식이 수습될 수 있었던 것이다. 조선 정부는 태평천국운동에 대해 지속적으로 정보를 수집하고 정세를 분석함으로써 국내의 안전을 지키려는 본연의 목적을 이루었다. 한편, 서구 열강은 청의 영토를 할양받고 북경에서의 경제 활동을 노골화하는 등, 동아시아에서의 세력을 확대하고 있었다. 그러나 조선 정부는 어디까지나 청 정부의 시각을 통해 대외정세를 파악하였기 때문에 西勢東漸의 국제정세를 간파하는 데에는 소홀하였다는 한계가 있다.-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Ⅱ. 태평천국운동의 발발과 대청 정보수집의 필요성 4 1. 청의 대내외 정세변동과 조선의 대청인식 변화 4 2. 태평천국운동의 영향에 대한 위기의식 형성 7 Ⅲ. 대청사신단의 태평천국운동 정보 수집 양상 11 1. 태평천국운동 정보의 수집과 전달 11 1) 정보수집의 현황 11 2) 정보수집과 전달방식의 특징 16 2. 태평천국운동 수집 정보의 내용 22 1) 태평천국운동의 전황 파악 22 2) 태평천국 지도 체제와 정책 이해 29 Ⅳ. 대청사신단의 태평천국운동 정세인식과 조선 정부의 대응 33 1. 태평천국군 진압에 대한 초기의 낙관적 전망 33 1) 청 관군의 진압능력 신뢰 33 2) 국지전으로서의 태평천국운동 인식 36 2. 북경함락 이후의 태평천국운동 종식 전망 41 1) 북경 함락과 태평천국군의 동향 파악 41 2) 서양군대의 개입에 의한 태평천국운동 종식 기대 44 Ⅴ. 결론 49 참고문헌 52 ABSTRACT 56-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1078096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900-
dc.title哲宗代 對淸使臣團의 太平天國運動 정보수집과 정세인식-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Sashindans’(對淸使臣團) Information Collecting and Views On Taiping Heavenly Kingdom Movement During King Cheoljong’s Reign-
dc.format.pageiv, 5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사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