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51 Download: 0

한·중 양태 표현 대조 연구

Title
한·중 양태 표현 대조 연구
Other Titles
A comparative Study on the modal expression of Korean ‘-l su-iss-’ and Chinese ‘neng’, ‘hui’, ‘keyi’
Authors
SUN, JIAJIA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국문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임동훈
Abstract
양태는 세계 여러 언어에서 보편적으로 나타나며 화자의 태도를 가리키는 중요한 문법 범주이다. 본고에서 주목하는 한국어 양태 표현 ‘-ㄹ 수 있-’은 의미가 다양하고 사용 빈도가 높다. 그러나 양태 표현 ‘-ㄹ 수 있-’의 의미를 구분하고 사용하는 것은 중국인 학습자에게 쉽지 않다. 따라서 본고는 ‘-ㄹ 수 있-’과 의미가 비슷하고 사용 빈도가 높은 중국어 양태 동사 ‘能’, ‘会’, ‘可以’를 연구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본고의 목적은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의 대응 양상과 통사적인 특징이 다의성 양태 의미의 해석에 끼치는 영향을 밝히는 데 있다. 1장에서는 연구의 목적과 의의를 밝히고 연구 대상으로 삼는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에 대한 선행연구, 그리고 그들의 기존 대조 연구를 분류하여 검토했다. 이를 토대로 본고의 연구 대상의 범위를 정하였다. 2장에서는 한·중 양태의 개념과 하위분류를 정리하였다. 이를 토대로 본고는 양태를 ‘인식 양태’, ‘동적 양태’와 ‘의무 양태’로 나누는 삼분법에 따라 연구 대상을 분석하기로 하였다. 3장에서는 먼저 2장의 양태 분류를 바탕으로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의 양태 의미를 살폈다. 이를 통해 ‘-ㄹ 수 있-’이 의미 사이의 경계가 뚜렷하지 않다는 것을 발견해서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의 양태 의미를 잘 구분하기 위해 통사적 특징이나 문맥 정보 등을 더 알 필요가 있다고 판단하였다. 그 다음에 각 양태분류에서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의 대응양상을 살폈다. 4장에서는 먼저 주어와 용언의 의미자질, 부정 양상, 시제와의 결합 양상을 중심으로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의 통사적인 특징을 살폈다. 이를 토대로 통사적인 특징이 다의성 양태 표현의 의미 해석에 대한 영향을 밝혔다. 그 다음에 ‘-ㄹ 수 있-’과 ‘能’, ‘会’, ‘可以’의 통사적인 공통점과 차이점을 분석하였다. 마지막 5장에서는 본 연구의 논의를 요약하고 결론을 내렸다. 그리고 본 연구의 의의와 한계를 밝혔다. 핵심어: ‘-ㄹ 수 있-’, ‘能’, ‘会’, ‘可以’, ‘양태’, ‘인식 양태’, ‘의무 양태’, ‘동적 양태’;Modality is an important grammatical category that is common in many languages around the world and represents the speaker's attitude. The modal expression ‘-l su-iss-’ noted in this paper has various meanings and high frequency of use. However, it is not easy for Chinese learners to distinguish and use the meanings of the korean modal expression ‘-l su-iss-’. Therefore, the Chinese modal verbs ‘neng’, ‘hui’ and ‘keyi’ are selected for the objects of the research, which have similar meanings to ‘-l su-iss-’ and high degree of use. The purpose of this paper is to reveal the correspondence of ‘-l su-iss-’ and ‘neng’, ‘hui’ and ‘keyi’, and the effects of syntactic featur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mbiguity modal meanings. Chapter one expounded the research goal, the research significance and introduced the advance research which is related with ‘-l su-iss-’ and ‘neng’, ‘hui’ and ‘keyi’. Based on this, the range of the research subjects was determined. Chapter Two is the summary of the definition and classification of Korean and Chinese modality in previous studies. Based on this, the research decided to analyze the subjects of the study according to the three-part method, which divides modality into ‘epistemic modality', ‘dynamic modality' and ‘deontic modality'. Chapter Three analyzed the modal meanings of ‘-l su-iss-’ and ‘neng’, ‘hui’ and ‘keyi’ based on the classification of Chapter Two. It was found that ‘-l su-iss-’ does not have a clear boundary between meanings, and it was necessary to know more about syntactic features or context information to distinguish the modal meanings of ‘-l su-iss-’, ‘neng’, ‘hui’ and ‘keyi’. The correspondence of ‘-l su-iss-' and ‘neng’, ‘hui’ and ‘keyi’ was then looked at in each type of modality. Chapter Four analyzed the syntactic features of ‘-l su-iss-', ‘neng’, ‘hui’ and ‘keyi’ focusing on the semantic features of subject and predicate, negation, and the combination with the tense. Based on this, the effects of syntactic features on the interpretation of the ambiguity modal meanings were revealed. Then the syntactic similarities and differences of ‘-l su-iss-', and ‘neng’, ‘hui’ and ‘keyi’ were analyzed. Chapter Five concluded the discussion of this research and also put forward the limitations. Key words: ‘-l su-iss-', ‘neng’, ‘hui’, ‘keyi’, ‘modality’, ‘epistemic modality', ‘dynamic modality', ‘deontic mod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국문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