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27 Download: 0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 이주자의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 적응 전략

Title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 이주자의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 적응 전략
Other Titles
Transnational Korean women elites and adaptation strategy of Singapore multicultural society
Authors
이나래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이영민
Abstract
본 연구는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에 살고 있는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들의 초국가적 이주 및 정착의 원인과 과정, 그리고 사회문화적 관계의 특성을 문화기술지와 생애사 방법을 적용하여 천착한 질적 연구이다. 연구의 목적은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의 이주배경 특징을 알아보고, 싱가포르에 정착한 이주자들이 어떤 싱가포르적 다인종·다민족 사회를 경험하고 사회문화적 관계를 형성하는지를 살펴본다. 이렇게 형성된 관계와 네트워크는 곧 정체성에도 영향을 끼치게 됨으로 이주자들의 유연한 정체성(Flexible Identity)으로의 변화를 알아보고, 이주자들의 계층적 특징과 싱가포르의 다문화 사회를 연계 지어 이들에게 싱가포르 정착의 의미가 무엇인지 고찰해 본다. 또한 방법론적 국가주의의 한계를 극복하고자 미시적인 수준의 이주자 개인의 경험을 조사함으로써 그들의 경험이 국가수준의 다문화 사회가 지닌 중규모의 사회적 구조 및 특성과 어떻게 연결되는가를 밝혀본다. 본 연구자 스스로가 8년째 싱가포르에 거주하고 있는 경험을 바탕으로 연구대상과 지역의 내부자적 위치성을 활용하여 심도 있게 연구를 수행하였고 문화 번역자 역할을 자처하였다. 연구대상자는 주체적으로 이주를 실천하는 행위자로서의 여성에 강조점을 두고 대졸 이상, 최소 7년 이상 전문직 종사자들 중 2년 이상 싱가포르에서 경력을 가진 30-40대 한인 여성을 대상으로, 5년 이상 싱가포르 거주자를 선별하여 연구참여자 15명을 선정하였다. 싱가포르 현장 연구는 2018년 7월부터 2019년 8월, 2020년 2월부터 5월까지 총 16개월간 연구참여자들과 수차례의 심층면담, 참여관찰, 소규모 집단 토론, SNS 등의 직간접적 만남을 통해 일상 생활에 밀착한 질적 연구의 결과를 도출하였다. 그리고 싱가포르 외국인 정책을 조사하여 개인 경험을 사회 구조 및 정책과 연결시키고자 하였다. 이를 뒷받침하기 위한 선행 조사와 학술적 이론으로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 구조 및 정책과 한인 디아스포라에 대해 살펴보고, 초국가적 이주를 계층과 젠더, 스케일의 관점에서 논의하였다. 또한 페미니스트 지리학의 위치성을 바탕으로 한 경계지대, 억압의 교차성, 유목적 주체 이론, 트랜스로컬리티와 트랜스로컬 주체성 개념을 도입하여 연구 결과를 분석하였다. 연구를 통해 도출한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싱가포르로 이주한 고학력·전문직 한인 여성들의 특성과 이들의 일상 경험 및 네트워크 형성을 통해 싱가포르 다문화 사회의 특성을 밝히고, 이주자들은 이주국에서 어떤 적응 전략을 펼치는가를 알아보았다.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은 성장과정에서 특권층의 문화자본 획득이 가능했고, 개인적인 발전과 성장을 위해 해외 시장으로 진출했으며 높은 국제적 이동성을 보였다. 싱가포르 정부는 글로벌 도시로의 도약을 위해 적극적인 다국적 기업 유치와 외국인 고급인재 유치정책을 펼쳤고, 외국인 고급인재들이 살기 좋은 환경을 만들어 주기 위해 코스모폴리탄 글로벌 도시 만들기 프로젝트를 실시하였다. 이러한 정부 정책에 편승하여 다양한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이 싱가포르로 유입되었다. 싱가포르는 내·외국인을 포함하여 다양한 인종과 민족이 모여 다인종, 다문화 사회로 구성된 도시국가로서, 내·외국인 간은 물론이고, 하물며 내국인 간에도 인종과 민족에 따라, 그리고 계층에 따라 사회·공간적으로 분리되어 살아가는 경향이 있다. 이에 따라 집단 간의 ‘구분 짓기’ 문화가 자연스럽게 자리 잡고 있다. 그런데 이러한 다문화 사회 모델은 싱가포르 정부의 국민 통합과 국가의 미래경제를 위한 ‘국가 생존 전략’이었고, 싱가포르의 ‘사회민주주의’ 체제 하에서 엄격하게 정책적으로 관리, 통제되고 있다. 이에 따라 가시적으로는 큰 문제가 드러나지 않는, ‘평화로운, 그러나 분리된 공존’이 자리잡고 있다. 이러한 사회문화적 토대 위에서 연구참여자들은 사적 영역인 몸, 가정, 집과 공적 영역인 직장, 학교에서, 그리고 이 두 영역이 교차하는 지점들에서 다양한 문화 충돌과 교섭을 경험하고 있었다. 이러한 문화적 경계지대에서는 중첩적 스케일의 권력관계와 다층적 위계 및 억압이 작동하고 있었고, 그 속에서 문화적 혼종화가 이루어지고 있었다. 네트워크 영역에서는 배우자의 국적과 자녀가 변수가 되어 이주자가 처한 상황과 집단의 특성에 따라 상이한 방식으로 자국민 네트워크와 다국적 네트워크를 형성하고 있었다. 연구참여자들은 여전히 강한 국가적 정체성을 보였으나 종족적 민족주의의 뿌리를 내세우기보다는 트랜스로컬적인 유연한 정체성으로 변화되는 모습을 보였고, 위치성과 정체성의 정치를 적응 전략으로 구사하며, 유목적 주체의 트랜스로컬 주체성을 만들어가고 있었다. 이들의 이주와 정착의 삶, 네트워크, 정체성 등을 통해 한국인이라고 해서 한민족의 획일화된 사회규범의 주체로 규정할 수 없음을, 즉 방법론적 국가주의를 적용하는 것이 한계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둘째, 고학력·전문직 이주자들이 싱가포르 장기거주가 가능할 수 있었던 이유를 싱가포르 정부의 외국인 정책 및 전략과 연계 지어 고찰해 보았다. 대부분의 연구참여자들은 뉴욕, 런던, 도쿄와 같은 다른 글로벌 도시들을 경험한 후 싱가포르에 왔고, 그들은 아직 이 도시를 떠나지 않고 있다. 각자의 선택과 전략에 따른 다층적인 이유가 있지만 연구참여자들이 단순히 경제적이고 실리적인 이유만으로 싱가포르에 장기거주 하며 영주권이나 시민권을 획득했다고 보기는 어렵다. 만일 싱가포르 사회에서 연구참여자들이 인종적 차별이나 외국인에 대한 배척으로 사회적 고립이 일어났거나, 자녀들이 성장하며 미래의 삶에 걸맞은 바람직한 정체성을 형성하기에 적합한 곳이 아니었다면, 아마도 연구참여자들은 벌써 그들의 이동성과 경제적·사회적 지위를 앞세워 더 나은 다른 나라, 다른 도시로 이주했을 것이다. 하지만 연구참여자들의 평균 싱가포르 거주기간은 10년이다. 그들이 시민권 획득 여부를 떠나 10년간 싱가포르에 정착하고 아직 떠날 계획을 갖지 않고 있는 이유는 한국과 같은 유교문화권 그리고 외모적으로 비슷한 가시성(visibility)에서 오는 아시아라는 정서적 안정감이 있다. 게다가 글로벌 도시에서 외국인이 주류로 살 수 있고, 영어를 쓰는 환경, 이주자의 출신 국가 및 민족적 제약을 받지 않는(nation-unbound), 다양하고 혼종적인 정체성이 뿌리내릴 수 있는 최적의 장소가 싱가포르인 것이다. 일상생활 속 트랜스로컬리티의 상황에서 트랜스로컬 주체성이 형성된 연구참여자들은 싱가포르에서 자신의 고유한 사회적·경제적 지위를 유지하면서, 라이프스타일에 따른 거주 환경의 선택이 가능하고, 다인종·다민족의 다양성을 인정받는다. 또한, 트랜스이주를 통한 이주자 본인과 가족들의 혼란스러울 수 있는 정체성을 잠식시켜주고, 그들이 말하는 ‘우리 같은’ 사람들이 모여 살며 혼종적이고 유연한 정체성들이 뿌리내리고 살기에 가장 적합한 장소로서 싱가포르가 이들에게 최선의 선택인 것이다. 이렇듯, 싱가포르 정부는 외국인 고급인재 이주자들 영입 시 지식기반산업의 경제 동력으로 활용할 것이라는 분명한 목표가 있었으며, 이들이 싱가포르에 장기거주 할 수 있는 코스모폴리탄 도시 환경을 전략적으로 조성해 주었다. 싱가포르 정부는 그 사회를 구성하는 구성원들의 특성을 명확히 파악하여, 그 특성에 따라 내국인, 외국인 노동자, 외국인 고급인재들을 정확히 조준하여 정책을 내세워 성공적인 다문화 사회를 형성할 수 있었다. 이상으로 살펴보았듯이, 미시적 스케일의 이주 연구에서 이주 주체들의 이주 양상뿐만 아니라, 이주자들이 정착한 사회의 문화적, 지리적 맥락에 대한 이해가 중요하다. 이 연구에서는 이주자 개인의 미시적인 삶의 현장에 주목하였고, 이는 국가적 스케일의 다문화·상호문화 정책이 지닌 획일적인 내용이 한계가 있음을, 그래서 이를 극복하기 위해 미시적 스케일의 이주자 특성과 위치성을 파악하여 반영할 필요가 있음을 보여주었다. 이주자 개인의 이주 경험을 단지 소개하는 수준에 그치는 것이 아니라, 그러한 경험이 엮여져 있는 국가적 정책과 로컬의 생활문화가 어떻게 연결되어 작동되는지를 살펴봄으로써 이에 근거하여 적실성 높은 관련 정책들을 만들어가야 한다는 점을 강조하였다. 본 연구는 학술적인 측면에서 초국가적 이주와 계층, 젠더, 트랜스로컬리티, 디아스포라에 관한 이론적 배경을 면밀히 살펴봄으로써 관련 분야에 이론적으로 기여했고, 사회적인 측면에서 이주자와 사회의 사회문화적 특성과 구조를 밝힘으로써 정책적으로 분명한 시사점을 제시하였다.;This study conducted qualitative research based on ethnography and life history analysis of transnational migrants by the in-depth interviews and participatory observation with 15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Korean female migrants in Singapore. The study identifies the characteristics of the transnational migration background of highly educated professional elites and Singapore multicultural society. Also, it examines their migration, settlement, network, and socio-cultural relationships in Singapore as exploring the life experiences of individual migrants at the micro-level. This paper attempts to reveal what makes migrants reside in Singapore for such a long period, an average of 10 years. It also contributes to the social structure and policy of the multicultural society in the mid-range scale at the national level through micro-scale life experience to overcome the limitations of methodological nationalism. The results of the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study explores the characteristics of Korean women migrated to Singapore with high education and professional career, also examines their adaptation strategies by identifying the characteristics of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through their daily life experiences and networks. Highly educated and professional migrants were able to acquire the privileged cultural capital from their childhood, to access overseas markets easily for personal development and growth, and to have strong international mobility. Singapore is the country of diaspora where various races and ethnic groups resided even before the nation built, and the government has actively enticed foreign talents as the manpower of 21-century economic growth and promoted multinational corporations to maintain Singapore as the global city. Singaporeans tend to be segregated by race and ethnic groups and between locals and foreigners in living and networking areas.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model for domestics as well as foreign workers and foreign talents was the nation’s survival strategy for the national integration of Singapore and the future economy of the country. Singapore’s 'social democracy' system makes it possible to maintain the multiracial society as ‘Peaceful, but separate coexistence’ without any notable issue. Those research participants experience the cultural conflict, the overlapping scales of power relations at the cultural borderlands, the multi-layered hierarchy, the intersectionality of oppressions, and the cultural hybridity in the private sphere(human body, family, home) and the public sphere(work, school) as well as in the intersection of the two. In the network area, they build up different networks by the same ethnics or multinational groups depending on the migrants especially by variables of the spouse's nationality and children. The research participants in this study continue to show strong nation-bounded identities, but instead of being ethnocentric, they are transformed into flexible identities in the translocal environment. This paper discusses their identity strategy by applying the theories of the translocal subjectivity, the nomadic subjects, the politics of location, the politics of identity to adjust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Also, the paper finds out that transmigrants cannot be defined as the subject of Korean society's unified social norms anymore. Second, the study examines what makes highly educated and professional transmigrants continue living in Singapore for a long time, and what is the implication related to the policy and strategy of Singapore's multicultural society. Most of the research participants migrated to Singapore after living in other global cities such as New York, London, and Tokyo, and they have not left the city of Singapore yet. Although there are multiple reasons for each migrant’s choice and strategy on transnational migration, it is difficult to conclude that the transmigrants acquire permanent residency or citizenship in Singapore for economic and practical purposes only. If they have experienced social isolation in Singapore due to racial discrimination or exclusion of foreigners, or if it was not the right place to raise their children to build the proper identity with cultural hybridity, they might have moved to other better country or city as per their high mobility and socio-economic status. However, they have been living in Singapore on average 10 years and they have not planned to leave the country yet regardless of Singapore citizenship. It is because of emotional stability as in Asia, Confucian culture, similar racial and ethnic visibility like Korea. Singapore is the 'nation-unbound' global city under the English-speaking environment where foreign talents can live as mainstream and easily find people with diverse and hybrid identities. Singapore has become the most suitable place to live in for those transmigrants who now have the trans-local identity in the context of translocality in their daily life. They have choices of the living environment according to their lifestyle while maintaining their socio-economic status, and are accepted the unique identities of multiracial and multiethnic diversity. Thus, Singapore becomes the best option for transmigrants having hybrid and flexible identities to take root. The Singapore government had the immigration strategy precisely according to the characteristics of foreign workers and foreign talents and had a clear goal to make the best use of them as the manpower of Singapore's economy since the beginning. Thus, it is critical to understand the migrants who they are and what they aim for and to figure out the cultural and geographic context of the society where migrants are settled. This study contributes to the related academic fields by closely reviewing the theoretical background of transnational migration with the social class, gender, translocality, and diaspora. It also suggests the immigration policymakers have to consider the socio-cultural characteristics and the structure of migrants and society in the social aspect. When the policymakers establish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policy at the national scale, the characteristics and location of the migrants on the micro-scale have to be considered and avoid applying the same unified standard to all migrants. Therefore, it is necessary to make the multicultural and intercultural policy into a highly relevant policy by paying attention to various micro and local situations and revealing the characteristics of the society in social and national level beyond the level of introducing individual migration experience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다문화·상호문화협동과정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