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1 Download: 0

어머니와의 조건약속에 대한 아동의 이해와 경험

Title
어머니와의 조건약속에 대한 아동의 이해와 경험
Other Titles
Children’s understanding and experience of conditional promise with mother: Focused on children’s trust to mother and self-regulation
Authors
한아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만 4-7세 아동을 대상으로 약속이행 및 위반을 이해하는 능력과 약속이행과 위반으로 인한 정서적 반응을 이해하는 능력에 대해 연령에 따른 발달적 차이가 있는지 살펴보고, 일상생활에서 어머니와 자녀 간의 이루어지는 약속상황에서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반의 경험이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간접적 영향을 검증하는 것이다. 본 연구에서는 조건약속에 초점을 두고 살펴보았는데, 조건약속은 약속자와 피약속자 모두에게 약속을 이행할 의무를 갖는 약속이며, 조건문 형식을 이해할 수 있는 인지적 능력이 요구되는 약속이다. 또한, 약속이행과 위반의 결과로 약속 당사자들의 정서적 반응을 이해할 수 있는 지를 살펴보기 위해서는 정서적 반응을 추론하는 능력이 요구된다는 점에서 인지적 추론능력의 발달을 살펴볼 수 있다. 이에 본 연구는 어린 연령의 아동도 조건 약속상황에서의 약속이행과 위반을 이해하고, 약속 당사자들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이해능력이 발달하는지, 연령에 따라 어떠한 변화가 있는지 발달적 측면에서 살펴보고자 하였다. 연구 1에서는 아동의 조건 약속이행과 위반에 대한 이해능력과 약속이행과 위반으로 인한 약속당사자들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이해능력을 살펴보기 위해 만 4-7세 아동 122명을 대상으로 Keller, Gummerum, Tien Wang 와 Lindsey(2004)의 연구에서 사용된 약속이행 및 위반 과제를 수정 보완한 과제를 실시하였다. 아동의 약속이행 및 위반과 약속이행 및 위반으로 인한 정서적 반응에 대한 이해능력이 연령에 따른 차이가 있는가를 살펴보기 위해 교차분석을 실시한 결과, 약속이행과 위반을 이해하는 능력은 연령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즉, 연령이 증가할수록 약속이행과 위반을 이해하는 능력이 증가하는 경향을 보였으며, 어머니에 비해 주인공 아동이 약속을 이행하고 위반한 것을 잘 이해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약속이행과 위반으로 인한 약속당사자들의 정서적 반응에 대한 아동의 이해능력에서도 연령집단 간의 차이가 나타났다. 특히 어린 연령의 아동은 주인공 아동이 약속을 위반하였어도 어머니가 선물을 주었을 때 주인공 아동이 긍정적 정서를 느낀다고 응답하는 행복한 위반자 현상을 보였으나, 연령이 증가할수록 주인공 아동이 부정적 정서를 느낄 것이라는 응답이 증가하였다. 연구 2에서는 실제 어머니와의 조건 약속이행 및 위반경험이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을 살펴보기 위해 연구 1에 참여한 아동과 그들의 어머니를 대상으로 일상생활에서 어머니-자녀 간의 이루어지는 조건 약속상황에서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반여부를 아동과 어머니에게 각각 질문하여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반경험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의 지각을 살펴보았다. 또한 아동에게는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측정하였으며, 어머니에게는 아동의 자기조절능력을 측정하였다. 실제 일상에서 어머니와 자녀 간의 이루어진 조건 약속상황에서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반경험에 대한 아동과 어머니와의 지각의 차이가 있는가를 검증하기 위해 McNemar test를 실시하였다. 그 결과, 두 집단 간의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일관된 약속이행 한다는 응답의 비율이 아동보다 어머니에게서 높았다. 즉 어머니가 자녀에 비해 스스로 더 일관되게 약속을 이행한다고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각 변인들 간의 부분상관 분석을 실시한 결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반의 경험만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과 유의한 상관을 보였다. 따라서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반경험이 아동의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에 간접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연령을 통제하고 회귀분석을 실시한 후, Sobel test를 사용하여 간접효과의 통계적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그 결과 아동이 지각한 어머니의 약속이행 및 위한경험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에 유의미한 간접적인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즉, 아동이 어머니가 약속을 일관되게 이행한다고 지각하는 것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높이고, 나아가 자기조절능력을 향상시키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에서는 발달적 관점에서 어머니의 약속이행과 위반의 경험이 어머니에 대한 신뢰감을 통해 자기조절능력에 미치는 영향력을 살펴봄으로써 기존의 아동의 약속이행과 위반 이해능력에 대한 연구와 어머니의 행동이 자녀의 발달에 미치는 과정에 대해 깊이 있는 설명을 가능하도록 하였다는 점에서 연구의 의의가 있다. 이러한 결과는 유아와 아동을 지도하는 교육기관에서 유용한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부모교육 프로그램의 자료로 활용될 수 있기를 기대한다.;The main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conditional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and emotional responses to the promise parties(study 1). In addition, this study investigated the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experience of mothers’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on self-regulation through the trust to their mothers(study 2). Study 1 focused on developmental difference in the children’s understanding of whether promise was fulfilled or violated and emotional response to promise parties depending on age. The subjects of this study were 122 children(4-7 years of age) and their mothers. Using conditional promise task based on the research of Keller and colleague(2004), children were interviewed individually. children were asked whether protagonist child which was in the task fulfilled or broke promise, and whether his/her mother fulfilled or broke promise. Then children were asked how they(protagonist child and his/her mother) felt. The data was analyzed by frequency analysis and chi-square test with SPSS program. The major results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depending on age and violation events. That is, the older children showed better understanding of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emotional response to promise parties depending on age and violation events. The older children better understood emotional response of promise parties. Study 2 focused on the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experience of mothers’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on self-regulation through trust to mothers. 122 Children and their mothers in study 1 were participated in study 2. To assess children’s trust to their mothers, children were interviewed using questionnaires and their mothers reported their children’s self-regulation. The data was analyzed by McNemar test, partial correlation analysis, liner regression analysis with SPSS program and sobel test for significance of indirect effect. The summary of this study’s major results were as followed. First, there was a difference in mothers’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perceived between mothers and children. Mothers perceived that they fulfilled promise more consistently than children perceived. Moreover, only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was related to children’s trust to mothers, whereas mothers’ perception of their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was not related. Second, the indirect effect of children’s perception of mothers’ promise fulfillment and violation on children’s self-regulation through trust to mothers were significant. In conclusion, this research suggested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developmental difference in children’s understanding of fulfillment and violation of conditional promise. Also, the mothers’ promise–fulfillment behavior could be important to increase children’s trust to their mother and self-regulation. these results of the study may be expected to use as an effective resource in the educational field and in parent education program.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