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04 Download: 0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아동기 부모애착과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아동기 부모애착과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Childhood Attachment and Adult Attachment on Parenting Behavior of Couples with Preschooler
Authors
서해인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신나나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직접적 영향과 성인애착을 통한 간접적 영향을 살펴보는 것이다. 연구를 검증하는 데 있어 아동기 부모애착은 아동기 부애착과 아동기 모애착으로, 성인애착은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로, 양육행동은 긍정적 양육행동과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구분하여 분석하였다. 그리고 아버지와 어머니 각각으로부터 얻은 쌍 자료의 특성과 선행연구를 토대로 아동기 부모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아동기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에 미치는 영향에서는 자기효과를, 성인애착이 양육행동에 미치는 영향과 성인애착의 매개효과에서는 자기효과와 상대방효과를 동시에 적용하여 변인 간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연구대상은 만 3~5세 유아기 자녀를 둔 부부 238쌍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한 자기보고를 통해 자료를 수집하였다. 부부의 아동기 부모애착은 Hazan과 Shaver(1992)가 개발한 성인애착 척도(Adult Attachment Scale [AAS])를 Jeon(1994)이 번안하고 곽소현(2006)이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성인애착은 Brennan, Clark와 Shaver(1998)가 개발하고 Fraley, Waller와 Brennan(2000)이 개정한 친밀한 관계에서의 경험-개정판(Experiences in Close Relationships Scale-Revised [ECR-R])을 국내에서 김성현(2004)이 번안하고 타당화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양육행동은 이선희(2012)가 제작한 양육행동 척도를 나지혜(2012)가 유아기 자녀를 둔 부모용으로 수정한 것을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수집된 자료를 분석하기 위하여 SPS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대응표본 t 검정 및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AMOS 21.0 프로그램을 사용하여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분석하고, 부트스트래핑 방법을 통해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모형과 같이 매개변인이 여러 개 있을 경우, 구조방정식 모형 분석에서는 개별간접효과에 관한 추정치를 제공하지 않기 때문에 팬텀변인을 설정하여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의 개별간접효과를 살펴보았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약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부부의 아동기 부애착과 모애착이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를 통해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관련하여, 아버지의 경우에는 아동기 부애착이 애착 회피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 반면, 아동기 모애착은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를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그리고 어머니의 경우에는 아동기 부애착과 모애착 모두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고,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를 통해 간접적으로만 긍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쳤다. 둘째, 부부의 아동기 부애착과 모애착이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를 통해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미치는 자기효과와 관련하여, 아버지의 경우에는 아동기 부애착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지 않고, 애착 회피에만 영향을 미친 반면, 아동기 모애착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애착 불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어머니의 경우에는 아동기 부애착은 애착 불안을 통해서만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친 반면, 아동기 모애착은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직접적인 영향과 더불어 애착 불안을 통해 간접적인 영향도 미쳤다. 셋째, 부부의 아동기 부애착과 모애착이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를 통해 긍정 및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방효과와 관련하여, 부부 모두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가 배우자의 긍정 및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방효과가 유의하지 않았고, 부부의 아동기 부애착과 모애착이 애착 불안 및 애착 회피를 통해 배우자의 긍정 및 부정적인 양육행동에 미치는 상대방효과 또한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부부의 아동기 부모애착이 성인애착을 통해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서 양육행동을 긍정 및 부정적 양육행동으로 구분하고, 양육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선행 요인으로 아동기 부모애착을 부애착과 모애착으로, 성인애착을 애착 불안과 애착 회피로 구분하여 각 경로의 유의성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긍정 및 부정적인 양육행동을 예측하는 부모 요인을 보다 구체적으로 파악하여 그 중요성을 확인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본 연구의 결과는 긍정적이고 바람직한 자녀 양육행동의 증진과 부정적인 양육행동의 개선을 위한 부모교육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며, 양육에 어려움을 호소하는 부모들 중에서 특히, 아동기 원부모와의 부정적인 경험이나 현재 친밀한 관계에서 어려움을 경험하는 부모들을 위한 상담적 개입의 기초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through adult attachment) of childhood attachment on parenting behavior of couples with preschooler. To test the hypothesized model, the Actor-Partner Interdependence Model (APIM) was applied to simultaneously analyze the actor and partner effects between adult attachment and parenting behavior. A total of 238 couples with preschoolers (3 to 5 years) responded to questionnaires, which included items related to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parents based on their retrospection, the experience of attachment in current close relationships, and parenting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paired t-test, correlations, 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 The main findings of this study were summarized as follows: First, for fathers,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father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attachment avoidance, while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mother had a direct effect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s well as indirect effects on positive parenting throug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For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father and mother did not have direct effects on positive parenting behavior, and had only indirect effects on positive parenting throug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Second, for fathers,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father did not have direct and indirect effects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In contrast,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mother had a 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through attachment anxiety. For mothers,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father had only an in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through attachment anxiety. In contrast, childhood attachment of their own mother had an 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as well as an indirect effect on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rough attachment anxiety. Third, regarding the partner effects of the couple's childhood attachment on parenting behavior throug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both couples’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did not have partner effects on the spouse's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Consequently, all of partner effects of the couple's childhood attachment on parenting behavior through attachment anxiety and attachment avoidance were not significant. This study identified effects of couples’ childhood attachment and adult attachment as parent factors on parenting behavior. In particular, by dividing childhood attachment into attachment of their own father and mother, adult attachment into attachment anxiety and avoidance, and parenting behavior into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this study identified the importance of parent factors that predict positive and negative parenting behavior in more detail. This study can be utilized as a source for the development of educational programs to promote positive and desirable parenting behavior, and as the basis for counseling intervention, especially for parents who had difficulties in parenting and in their current close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