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54 Download: 0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가 애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Title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가 애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Maternal Effortful Control,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on Pro-social Behavior in Middle Childhood.
Authors
정성온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아동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한세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가 애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영향을 미치는 경로에 대해 살펴보는 것이다. 이를 위해 초등학교 1학년 자녀를 둔 어머니 284명을 대상으로 하여 오프라인 및 온라인으로 질문지법을 이용하여 자료를 수집하였다.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를 측정하기 위해 Rothbart와 Derryberry(1997)가 개발한 Adult Temperament Questionnaire(ATQ) 중 의도적 통제 관련 문항들을 번안한 김재희(2015)의 도구로 측정하였고, 애정적 양육행동은 배기조(2001)가 개발한 양육행동 척도 중 애정-거부 요인을 사용하였다. 학령초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는 Rothbart 등(2010)이 개발한 Temperament in Middle Childhood Questionnaire(TMCQ Version 3) 척도의 하위요인 중 주의집중과 억제통제를 김재희(2015)가 번안한 것을 사용하였다. 마지막으로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은 김영옥(2003)이 개발한 유아의 친사회적 행동 평가 척도를 홍혜란(2008)이 간편형으로 재구성한 척도를 사용하였다. 수집한 연구 자료는 SPSS 22.0 프로그램으로 빈도분석, 상관관계 분석을 실시한 뒤, AMOS 23.0 프로그램으로 구조방정식 모형(Structural Equation Modeling [SEM])을 설정하여 변인 간의 구조적 관계와 부트스트래핑(bootstrapping) 방법을 실시하여 간접효과의 유의성을 검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를 요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 학령초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 및 친사회적 행동 간 상관이 모두 통계적으로 유의하였다. 즉, 어머니의 애정적 양육행동이 높을수록 아동의 의도적 통제와 친사회적 행동수준이 높았으며, 아동의 의도적 통제수준이 높을수록 친사회적 행동도 높게 나타났다. 둘째,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는 애정적 양육행동 및 학령초기 아동의 의도적 통제를 통해 친사회적 행동에 간접적 영향을 미쳤다. 즉, 의도적 통제수준이 높은 어머니가 자녀에게 민감하게 반응하고 합리적으로 설명해주는 애정적 양육행동을 많이 하고, 이러한 긍정적 양육행동은 자녀의 의도적 통제 발달을 촉진하여 더 나아가 친사회적 행동에까지 영향을 미쳤다. 본 연구는 학령 초기 아동의 친사회적 행동 발달에 영향을 미치는 개인 내적 역량으로 아동의 의도적 통제의 발달이 중요한 요인임을 확인하고, 더불어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가 애정적 양육행동을 통해 아동의 의도적 통제에 영향을 미치며, 더 나아가 친사회적 행동에까지 간접적 영향을 미치는 과정을 함께 살펴보았다는 데 의의가 있다. 본 연구결과는 학령초기 아동들의 친사회성 행동 증진을 위해 아동의 의도적 통제 발달을 길러주는 프로그램 개발이나 어머니의 의도적 통제를 통한 애정적 양육행동을 강조한 부모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기초자료로 활용되리라 기대한다.;The purpose of the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Also, the effects of maternal effortful control on pro-social behavior in middle childhood through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were investigated. A total of 284 mothers whose children were first grade in elementary school(137 boys and 147 girls) participated in this study. Mothers completed the questionnaires that include their effortful control, parenting behavior, thei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Data were analyzed using frequency analysis, Pearson's correlations and Structural Equation Modeling(SEM), bootstrapping through SPSS 22.0 and AMOS 23.0.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were as follows: First, there were significant correlations between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Second, maternal effortful control had indirect on children's pro-social behavior through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an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To be specific, the higher maternal effortful control showed the more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which in turn predicted high level of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its influence on pro-social behavior. In conclusion, maternal effortful control and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effect on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children's effortful control has an important role in pro-social behavior in middle childhood. Findings from this study can be used as a basic source that provides data for developing parent education programs and improves affectionate parenting behavior in order to promote children's effortful control and pro-social behavior.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아동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