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182 Download: 0

실패마인드셋 척도(Failure Mindset Scale)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Title
실패마인드셋 척도(Failure Mindset Scale)의 개발 및 타당화 연구
Other Titles
A Development and Validation of the Failure Mindset Scale
Authors
박서단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양수진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패에 대한 신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실패마인드셋 척도(Failure Mindset Scale: FMS)를 개발하는 것이었다. 이를 위해, 선행 연구에서 사용된 문항에 새롭게 개발한 문항을 추가하여 총 14개의 문항으로 구성된 예비척도를 제작하였다. 이후 449명의 성인진입기 대학생을 대상으로,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본 연구가 진행된 절차와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총 연구대상자(N=449)를 두 집단으로 무선할당하여 분석을 진행하였다. 먼저 첫 번째 집단의 자료(N=231)를 사용해 예비척도의 문항 분석과 탐색적 요인분석(EFA)을 실시하였다. 문항 분석 단계에서 다양한 통계치들을 검토한 결과, 4문항을 삭제하기로 결정하였다. 남겨진 10문항을 바탕으로 탐색적 요인분석을 실시한 결과, 1요인 구조가 확인되었으며 더 이상 삭제할 문항이 없다고 판단되었다. 둘째, 두 번째 집단의 자료(N=218)를 사용해 본 척도의 문항 분석과 확인적 요인분석(CFA), 신뢰도 분석을 진행하였다. 그 결과, 1요인 모형의 적합도 및 신뢰도(Cronbach's alpha=.90)가 우수하다고 판단되어 최종 척도를 10문항의 1요인 구조를 지닌 척도로 확정하였다. 셋째, 전체 참가자를 대상으로(N=449) 개발된 최종 척도의 신뢰도와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다집단 요인분석 결과, 척도가 성별과 관계없이 동일한 요인구조와 요인부하량을 가지는 것으로 판단되어, 개발된 척도가 여성과 남성 집단에서 동일하게 사용될 수 있다고 평가하였다. 넷째, 실패마인드셋이 기존의 마인드셋과 구분되는 영역의 신념인지를 밝히기 위해 변별타당도를 검증하였다. 두 모형간 적합도를 분석한 결과, 통계적으로 유의한 차이가 나타나 개발된 척도가 기존에 존재하는 마인드셋 도구와는 변별되는 도구이며, 실패라는 새로운 영역의 신념을 측정하는 척도임이 밝혀졌다. 다섯째, 준거타당도 중 공인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실패공포,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과의 관계를 살펴보았다. 상관분석 결과, 실패마인드셋과 실패공포, 자기효능감, 성취목표지향성 간에 예상했던 방향과 일치되는 유의한 상관이 나타나 척도의 공인타당도가 확보되었다. 여섯째, 준거타당도 중 예측타당도를 검증하기 위해 ‘학습된 무기력, 실패내성, 그릿, 행복과 학업성취도 점수’를 준거 변인으로 선정하고, 단순회귀분석을 실시하였다. 그 결과, 실패마인드셋은 학업성취도 점수를 예측하지 못했지만, 다른 모든 변인들을 유의하게 예측하는 것으로 나타나 척도의 예측타당도가 확보되었다고 판단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실패에 대한 관점이 실패 후 반응과 연관되는 개인의 성격적, 동기적, 행동적 특성 각각에 영향을 미칠 수 있다는 결과이다. 본 연구는 실패에 대한 개인의 관점을 신뢰롭고 타당하게 측정하는 척도를 개발해, 실패에 대한 신념이 어떠한 영향력을 가지는지 확인할 수 있는 연구의 초석을 마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이를 통해 국내의 실패 관련 연구가 활성화되고, 살아가면서 필연적으로 수많은 실패를 경험하는 사람들이 어떠한 과정을 거쳐 실패 후 성장에 이르는지를 탐구할 수 있기를 기대한다. ;The aim of this study was to develop and validate the Failure Mindset Scale(FMS). For a development of the FMS, the 14 initial items were selected for the preliminary scale and the data were collected from 449 persons divided into two groups. In Sample 1(N=231), the number of items was reduced to 10 through performance of content and reliability analysis. So, the 10 items of the FMS were selected (Cronbach's alpha=.90) for an exploratory factor analysis. In Sample 2(N=218), a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provided a cross-validation of the one factor model. Next, A multi-group confirmatory factor analysis was conducted to figure out whether FMS construct change factor pattern with sex or not. The analysis results indicated that there is no difference between male and female groups. Discriminant validity was demonstrated through correlation and comparing model fit between failure mindset and intelligence mindset. Criterion validity was supported by moderate positive associations of failure mindset with fear of failure(r=.46) and two avoidance achievement goal orientation(r=.34~.40), as well as negative associations of failure mindset with self efficacy(r=-.55), and mastery-approach achievement goal orientation(r=-.38). This study also found that failure mindset predicts constructive and nonconstructive response after failure. These results indicate that the FMS is a valid and reliable scale to measure a belief about whether failure is a debilitating or enhancing experience. Finally, Implications for future research using the new scale are offer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