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97 Download: 0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기자비의 관계에서 사회적 안전감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Title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기자비의 관계에서 사회적 안전감과 친구관계 질의 조절된 매개효과
Other Titles
Peer Victimization and Self Compassion : A Moderated Mediation Model of Social Safeness and Friendship Quality
Authors
장지혜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설경옥
Abstract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의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기자비 간의 관계를 사회적 안전감이 매개하고 친구관계의 질이 조절하는 조절된 매개모형을 검증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중고등학생 300명을 모집하였고, 그 중 부모가 동의하지 않은 1명과 설문에 불성실하게 응답한 13명을 제외한 286명을 분석하였다. 집단 따돌림 피해 척도, 자기자비 척도, 사회적 안전감 척도, 친구관계의 질 척도를 포함한 질문지를 이용하여 설문을 실시하였고, SPSS 25.0과 SPSS PROCESS(ver.3.4.1)을 활용하여 자료를 분석하였다. 연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 사회적 안전감, 자기자비, 친구관계의 질은 모두 유의미한 상관을 보여 변인들 간 관련성이 있음을 입증하였다.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사회적 안전감, 자기자비, 친구관계의 질은 부적 상관을 보였다. 사회적 안전감과 자기자비, 친구관계의 질은 정적 상관을 보였다. 둘째, 중고등학생의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기자비의 관계를 사회적 안전감이 완전매개하였다. 셋째, 친구관계의 질은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에서 사회적 안전감으로 가는 경로를 조절하였다. 넷째,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에서 사회적 안전감을 매개로 자기자비로 가는 간접효과를 친구관계의 질이 조절하였다. 친구관계의 질에 따라 매개효과 크기가 유의미하게 달라졌으며, 친구관계의 질이 평균보다 낮은 경우에는 매개효과가 유의하게 나타나지 않았고 친구관계의 질이 좋을수록 음의 매개효과가 커지는 양상이 나타났다. 본 연구는 중고등학생 시기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과 자기자비의 관계와 그 심리적 기제를 확인하였다. 또래 괴롭힘이 중고등학생들의 사회적 안전감을 떨어뜨림으로써 자기자비가 저해되었을 것으로 보인다. 또한 또래 괴롭힘 피해와 자기자비의 관계에서 양질의 친구관계가 사회적 안전감에 긍정적인 영향을 줌으로 자기자비에 대한 보호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친구관계의 질이 좋을 때 또래 괴롭힘 피해 경험이 있으면 사회적 안전감의 감소폭이 더 크다는 연구 결과는 청소년의 관계 내 기대에 대한 추후 연구의 필요성을 알리고, 또래 괴롭힘 피해 학생들의 상담적 개입에 대한 함의를 제공한다. ;This research aim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social safeness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compassion, moderated by friendship quality regarding middle school and high school students. 300 students were surveyed, out of which 286 were analyzed. It consisted of the peer victimization scale, self-compassion scale, social safeness and pleasure scale, and the friendship quality scale. The data was then analyzed by SPSS 25.0 and SPSS PROCESS(ver.3.4.1). The results are as follows; first, peer victimization, social safeness, self-compassion, and friendship quality were all significantly correlated, showing a meaningful relationship between the variables. Peer victimization, social safeness, self-compassion, and friendship quality showed a negative correlation. In contrast, there was a positive correlation between social safeness, self-compassion, and friendship quality. Secondly, social safeness completely mediated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compass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Third, friendship quality moderated the path from peer victimization towards social safeness. Fourth, the indirect effect of social safeness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compassion was moderated by friendship quality. The quality of the friendship had a significant effect on the mediation effect. When lower than average, the mediation effect was insignificant, while higher friendship quality led to a larger negative mediation effect. This research confirms the relation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compassion in middle and high school students and the psychological mechanism that underlies it. It seems that peer victimization deteriorates their social safeness, leading to damages in self-compassion. In addition, the protective value of quality friendship between peer victimization and self-compassion was also observed. When a student has high-quality friendship, their social safeness is less damaged by peer victimization. This result demonstrates a need for further research on adolescents’ expectations in social relationships, and insight towards counseling students who have been bullie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