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33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이승연-
dc.contributor.author윤정민-
dc.creator윤정민-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56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56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7890-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7890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545-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국내 20, 30대 직장인을 대상으로 직장 내 괴롭힘 피해 현황을 살펴보고,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효과를 검증하였다. 이를 위해 국내 대기업 및 중소기업 종사자 347명의 자기보고식 설문자료를 분석하였다. 매개모형 검증 결과,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전위된 공격성의 증가를 직접 설명하지는 않았지만,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이 많을수록 조직불공정성 수준을 높게 지각하고 상태분노 수준도 높아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또한,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으로 유발된 지각된 조직불공정성은 상태분노의 상승으로 이어져, 전위된 공격성을 정적으로 예측하였다. 본 연구는 국내 20, 30대 직장인들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 현황을 조사하고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에 대한 이해를 도모하였다는 의의가 있다. 연구 결과를 토대로 전위된 공격성에 대한 개입 방안을 제안하였다.;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state anger were also verified. Self-reported data of 268 employees were analyzed using SPSS 22.0 and Process macro. When applying the standard suggested by Leymann(1996), which defines workplace bullying victims as those who experience at least one negative act, on a weekly basis, for more than 6 months, the bullying victimization prevalence rate was 77.2%. Furthermore,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significantly predicted perceived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state anger. Both perceived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state anger significantly predicted displaced aggression. However,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did not directly predict displaced aggression. Nonetheless, the mediating effect of bullying victimization on displaced aggression through perceived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state anger was statistically significant. This study has its significance in that it thoroughly investigated the current state of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mong people in their 20s and 30s, and helps better understand 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dc.description.tableofcontentsI.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 문제 6 II. 이론적 배경 7 A. 전위된 공격성 7 B.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8 1. 직장 내 괴롭힘 8 2.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11 C. 지각된 조직불공정성 12 1. 조직공정성 12 2.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지각된 조직불공정성 14 3.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전위된 공격성 15 D. 상태분노 16 1. 상태분노 16 2.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상태분노 17 3. 상태분노와 전위된 공격성 18 4.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 19 III. 연구방법 21 A. 연구대상 21 B. 측정 도구 22 1.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22 2. 전위된 공격성 23 3. 지각된 조직불공정성 23 4. 상태분노 24 C. 연구 절차 25 D. 자료 분석 25 IV. 연구결과 27 A.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및 상관분석 27 1. 주요 변인들의 기술통계치 27 2. 주요 변인들의 상관분석 28 B. 국내 20, 30대 직장인들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현황 28 1. 직장 내 괴롭힘 피해 유병률 및 심각도 28 2.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양상 30 C.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지각된 조직불공정성, 상태분노,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 34 1.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매개효과 검증 34 V. 결론 및 제언 37 A. 요약 및 논의 37 1. 국내 20, 30대 직장인들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 현황 37 2.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의 관계에서 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매개효과 검증 39 B. 연구의 의의 및 제언 42 참고문헌 46 부록 57 ABSTRACT 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282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100-
dc.title20, 30대의 직장 내 괴롭힘 피해경험과 전위된 공격성 간의 관계-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지각된 조직불공정성과 상태분노의 이중매개 효과-
dc.title.translatedThe Relationship between Workplace Bullying Victimization and Displaced Aggression: The Mediating Effects of Perceived Organizational Injustice and State Anger-
dc.format.pagevii, 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심리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