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45 Download: 0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Title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이성관계만족도에 미치는 영향
Other Titles
The Effects of Rejection Sensitivity on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disclosure
Authors
우인경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이 연구의 목적은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이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 과정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노출의 매개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초기 성인기에 해당하는 대학생 시기에 이성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학생들이 많으며, 이러한 이성관계에 악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밝혀진 요소로는 아동기 애착 경험에서 발달한 거부민감성이 있다. 따라서 이 연구에서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 사이에 어떠한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봄으로써, 이성관계에 어려움을 겪고 있는 대학생이 상담실을 찾았을 때 도움이 되는 치료적 개입의 근거를 마련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연애 경험이 있는 대학생 300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거부민감성, 정서인식명확성, 자기노출, 이성관계만족도를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온라인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된 자료는 SPSS 25.0과 Mplus 7.0을 이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2단계 접근법(Two-step approach; Anderson & Gerbing, 1988)에 따라 측정모형과 구조모형을 차례로 검정하였고 부스트래핑(Bootstrapping)을 실시하여 매개효과를 검정하였다. 이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요 변인들 간 상관관계를 분석한 결과 거부민감성과 자기노출을 제외한 모든 주요 변인 간 관련성이 유의한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확인되었다. 둘째 대학생의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노출을 매개로 하는 이중매개모형의 적합도가 적절하였고, 매개효과를 살펴본 결과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 간의 관계를 정서인식명확성이 부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자기노출의 부분 매개효과는 유의하지 않은 것으로 확인되었지만,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노출의 이중 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연구결과를 종합해봤을 때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높을수록 정서인식명확성이 떨어져 자기노출이 감소하고 그 결과 이성관계만족도가 낮아지는 것을 알 수 있었다. 이 연구는 대학생의 거부민감성이 어떠한 과정을 통해 이성관계만족도에 영향을 미치는지 구체적인 심리 기제를 확인함으로써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서 충분히 다루어지지 않았던 정서인식명확성과 자기노출에 대한 이론적·실무적 기반을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를 갖는다. 특히 자기노출의 부분 매개는 유의하지 않았던 반면, 정서인식명확성과 같은 심리 내적 변인과 자기노출과 같은 정서행동적 변인의 이중매개효과는 유의한 것을 확인함으로써 거부민감성과 이성관계만족도의 관계에 보다 복잡한 심리적 기제가 존재할 수 있음을 시사하였다. 이러한 연구결과를 통해 이성관계로 고민하는 대학생 내담자를 대상으로 치료적 개입을 할 수 있는 기초자료를 제공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examine the dual mediating effects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disclosure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college students. There are many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romantic relationships during their early adulthood, and one of the main factors found to have a bad effect on such relationship is rejection sensitivity developed from childhood attachment experiences. Therefore, this study wants to see psychological mechanisms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and to find a basis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o help college students who have difficulties in romantic relationship. For this purpose,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with 300 college students who have experience in love and analyzed data. Participants completed 5 self-report measures: demographic questionnaire, Rejection Sensitivity Scale for College Student, Trait Meta-Mood Scale, The Expression of Emotion Scale,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Scale. The data was analyzed using SPSS 25.0 and Mplus 7.0. In order to identify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 descriptive statistical analysis was conducted to examine the relationship between each variable. Next, a two-step approach(Anderson & Gerbing, 1988) was conducted to test the measurement and structural models successively and the mediating effects were tested by conducting bootstraping. The main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analysis between major variables showed that all major variables, except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disclosure, had significant correlation. The correlational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self-disclosure was not significant. Second,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of college students, the fitness of the dual mediation model with emotional clarity and self-disclosure turned out to be acceptable. Examining each mediating effect, it was found that a mediating effect of emotional clarity o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whereas self-disclosure showed no mediating effect. In conclusion, this study showed the higher the rejection sensitivity of college students, the lower the emotional clarity, the lower the self-disclosure and the lower the satisfaction level of romantic relationship. Therefore this study can provide a theoretical and practical basis for intervention of emotional clarity and self-disclosure by identifying specific psychological mechanisms between the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Although the mediation effect of self-exposure was not significant, the dual mediating effect of psychological and behavioral variables such as emotional clarity and self-disclosure was significant, suggesting that there could be a more complex psychological mechanism in the relationship between rejection sensitivity and romantic relationship satisfaction. In this respect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such research results provided basic data for therapeutic intervention to college students who are struggling with love relationship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