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57 Download: 0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정의 옹호역량의 관계에서 공감적 이해의 매개효과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Title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정의 옹호역량의 관계에서 공감적 이해의 매개효과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
Other Titles
Mediating effect 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between Therapist’s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Authors
김보라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심리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성경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과정에서 공감적 이해의 매개효과와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조절효과를 검정하는 것이다. 한국 사회는 점차 다양화되면서 소수자성을 가지고 있는 집단들이 대두되기 시작하였다. 이에 따라 현대 사회에서는 상담자 또한 전통적 상담자의 역할을 넘어 사회구조적 문제에 참여하기를 요구하고 있다. 그런데 권위주의 성격과 같은 상담자의 편향성은 소수자 집단에 대한 편견을 야기하여 역전이의 잠재적 원천이 되기도 한다. 그러므로 다문화 사회정의 상담에서는 편향성에 대한 상담자의 자기인식을 가장 우선시한다. 따라서 본 연구는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정의 옹호역량 사이에 어떠한 심리적 기제가 있는지 살펴보고,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정의 옹호역량 간의 관계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을 밝히는데 도움이 되고자 하였다. 이를 위해 상담심리사 2급 혹은 전문상담사 2급 이상의 자격증을 소지한 상담자 217명을 대상으로 인구통계학적 질문과 권위주의 성격, 사회정의 옹호역량, 공감적 이해, 무조건적 자기수용을 측정하는 척도를 사용하여 설문조사를 실시하였다. 수집한 자료는 SPSS 25.0와 SPSS PROCESS Macro프로그램을 사용하여 분석하였다. 연구대상자의 일반적 특성을 알아보기 위해 기술통계 분석을 실시하였고, 각 변수들 간의 관계성을 살펴보기 위하여 상관분석을 실시하였다. 다음으로 SPSS PROCESS Macro 프로그램에서 부트스트랩핑(bootstrapping) 방법을 통해 매개효과를 분석하였고, 독립변수와 조절변수를 평균중심화하여 상호작용 효과를 분석하였다. 본 연구의 주요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주관적으로 지각하는 권위주의 성격이 강할 수록 사회정의 옹호역량은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둘째, 공감적 이해 능력이 권위주의 성격이 사회정의 옹호역량에 미치는 부적 영향을 매개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셋째,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수준이 높거나 평균 수준일 때는 권위주의 성격이 강한 사람일수록 사회정의 옹호역량은 더 떨어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연구 결과를 종합해보면, 상담자가 권위주의 성격이 높다고 주관적으로 지각할수록 사회정의 옹호역량은 떨어져 사회구조적 불평등에 소극적으로 참여하게 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리고 상담자의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정의 옹호역량의 관계를 공감적 이해가 매개하는 것으로 보고되었다. 또한 무조건적 자기수용의 수준이 높거나 평균 수준이라고 지각하면 권위주의 성격이 강한 사람일수록 사회정의 옹호역량은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점차 주목 받고 있는 사회정의 옹호역량을 상담자의 개인적 특성 중 하나인 권위주의 성격이 예측한다는 것을 밝혀낸 데 의의가 있다. 그리고 상담심리학에서 늘 강조되었던 공감적 이해가 변화에 저항적인 권위주의 성격과 사회참여를 주장하는 사회정의 옹호역량 간의 관계를 매개한다는 것을 밝혀낸 데 의의를 갖는다. 마지막으로 상담자가 자신의 문화적 편견을 자각하지 못한 채 무조건적으로 자기를 수용한다면, 무의식적으로 내담자를 차별적으로 대하거나 사회적 불평등에 소극적으로 반응하게 된다는 사실을 밝혀낸 데 의의가 있다. ;This study attempts to test the mediation effect of empathic understanding and the moderating effect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in the relationship between the therapist’s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As the Korean society became more diverse, minority groups emerged in the community as well. This required the society’s therapists to participate in social movements beyond their traditional roles. However those with authoritarian personalities may be prejudiced towards such groups, which can lead to potential countertranference in sessions. Therefore multicultural social justice therapy prioritizes the therapist’s self-awareness on their personal biases. This study thus aims to research the psychological mechanism between Korean therapists’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and to determine factors that affects this relationship. 217 therapists with second-degree certificates or higher from either the Korean Counseling Psychological Association or the Korean Counseling Association were surveyed, in which demographics, authoritarian personality,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emphatic understanding, and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ere measured. The collected data was then analyzed through SPSS 25.0 and SPSS PROCESS MACRO. Descriptive statistics were conducted to analyze general characteristics of the participants, along with correlations between the variables. The mediation effect was verified by bootstrapping on SPSS PROCESS MACRO, and the interaction effect was verified with independent and dependent variables that were mean centered. The results of the study have shown that first,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tended to decrease when a therapist perceived one’s personality to be more authoritarian. Second, empathic understanding has shown to mediate the negative influence of authoritarian personality on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Third, when the level of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was high or average, therapists who are more authoritarian showed lower levels of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To conclude, the more a therapist perceives oneself to be authoritarian, one is less likely to participate in social movements regarding inequality as they have lower levels of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In addition empathic understanding mediated the negative relationship between therapists’ authoritarian personality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Furthermore, when a therapist perceives oneself to be high or average on unconditional self-acceptance, more authoritarian therapists tended to have less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This study is significant in finding that authoritarian personality may predict one’s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a noteworthy variable in modern society. It also shows how empathic understanding, a trait always valued in counseling psychology, mediates the relationship between authoritarian personality, a trait resistant towards change, and social justice advocacy competence, which suggests social participation. Finally it demonstrates how a therapist may unknowingly discriminate against a client or react passively towards social inequalit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심리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