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33 Download: 0

Climate Adaptation Aid

Title
Climate Adaptation Aid
Authors
김소은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국제대학원 국제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국제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Thomas Kalinowski
Abstract
This dissertation aims to conceptualize the characteristics of the East Asian ODA model by applying them to climate change adaptation ODA of the 25 OECD DAC donors from 2012 to 2017. Despite the gaps between Japan and Korea on the amount of money provided and the numbers of recipients, a clear similarity is observed. Among the top 10 recipients of the two countries, the majority is regionally located in Asia. Those top 10 recipients have received loans for water projects, irrigation projects, or transportation projects. While a closer look at the cases of the two Asian OECD DAC donors, Korea and Japan, reveals that they indeed share the main characteristics of regional and sectoral allocation patterns as well as aid instruments, it is found that Japan and Korea are not in the same type from the East Asian ODA model in climate adaptation aid. This result points to the need for a modification of the current East Asian ODA model, which indicates the varieties among the East Asain donors. Thus in this dissertation, I argue that the East Asian ODA model features are not the only defining factors to explain the climate adaptation aid provision of Korea and Japan. Rather, the study draws attention to the value of suggesting the modified framework to understand climate adaptation aid provisions of all OECD DAC donors. Finally, the study investigated if different types derived from chapter IV affect the determinants of climate adaptation aid of 25 OECD DAC donors from 2010 to 2015. Building upon the recent study, this study aims to test whether the climate adaptation aid of OECD DAC donors goes to vulnerable countries in need, with good governance or recipients who have economic and commercial interests with donors. As a result, it turned out that each type displays different patterns of climate adaptation aid disbursement in two stages of selection and allocation.;본 논문은 2012년부터 2017년까지 OECD DAC 25개 공여국의 기후변화 적응 ODA에 적용하여 동아시아 ODA 모델의 특성을 개념화하는 것을 첫번째 목적으로 하였다. 지원금 규모와 지원국에 대한 일본과 한국의 차이에도 불구하고 동아시아 ODA 모델에서 지적하듯이 두 국가 간에는 분명한 유사성이 관찰되고 있다. 두 나라의 지원국의 대다수는 아시아 지역에 위치해 있고 기후변화 적응 ODA는 수자원 프로젝트, 관개 시설, 또는 교통과 관련된 인프라 사업에 유상원조의 형태로 제공되었다. 하지만 퍼지셋 이상형 분석을 통해 동아시아 ODA 모델의 특성을 네 가지로 유형화 하여 살펴본 결과 일본과 한국은 같은 유형에 속하지 않는 것으로 나타났다. 따라서 이 논문에서 저자는 이제까지 논의되었던 동아시아 ODA 모델 특징만이 한국과 일본의 기후적응 ODA를 설명하는 결정적인 요소가 아니라고 주장한다. 또한 이번 유형화를 통해 OECD DAC 공여국들을 전통적 공여국과 동아시아 공여국 이분법적으로 구분하는 것에서 벗어나 분석할 수 있는 수정된 프레임워크를 제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2010년부터 2015년까지 25개국의 OECD DAC 공여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ODA 결정요인에 4장에서 도출된 다양한 유형이 어떻게 영향을 미치는지 조사했다. 최근의 연구를 바탕으로 본 연구는 OECD DAC 공여국들의 기후변화 적응 ODA가 거버넌스가 좋은 취약국가에 전달되는지 아니면 공여국들과 경제적, 상업적 이해관계가 있는 수원국들에게 전달되는지를 살펴보았다. 그 결과, 각 유형별로 원조대상국 선택과 원조액의 배분 두 단계에서 기후변화 적응 ODA 결정요인이 다른 패턴을 보이는 것으로 나타났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국제대학원 > 국제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