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34 Download: 0

모바일 저작도구를 활용한 중등 역사과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Title
모바일 저작도구를 활용한 중등 역사과 현장학습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The Development of Field Trip Program for Secondary School History Class Using Mobile Fieldwork Authoring System(MoFAS)
Authors
지연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사회과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오영찬
Abstract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the teaching-learning program for the history class using Mobile Fieldwork Authoring System(MoFAS) applicable to field trips for the secondary school history class. To lay the theoretical foundation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this study divided the purposes of field trips for the history class into ‘a meeting with the past through direct experiences’, ‘identification of the textbook content and enhanced understanding of history’, ‘experiences in exploring methods of history’, ‘enhanced problem-solving ability’ and ‘cultivation of sociality’. Also, this study looked at the concepts and principles of MoFAS used for the study and identified the usefulness of mobile technology in field trips about its effectiveness utilizing as a technical, cognitive, and cooperative tool to see if it would be applicable to field trips for the history class as well. In the field analysis, this study conducted in-depth interviews of history teachers practicing field trips to determine the purpose of field trips, the content components, and the method of teaching & learning as the basis for the program design. In this study, it selected action research as the main method for the development of the program. According to the courses of action research, which are ‘planing-acting-observing-reflecting-replaning’, this study designed the first field trip program to Yangdong Village and conducted it to students. And after observing the field trip of the students, this study analyzed the results of action and planned the program design again upon reflecting on it. Through this process, this study designed to conduct the second field trip program to Deoksugung Palace. And based on the results of the action of the second program, this study proposed the design of teaching in the field trip program of the history class using MoFAS. As a result of the design and the action of the first field trip program to Yangdong Village, the students were able to experience the live traces of the Joseon Dynasty in person through the field trip program to Yangdong Village, and they were able to identify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Yangdong Village. Also, interactions between the history teachers and the students were made through MoFAS during the process of field trips, and the students were able to produced results through it. What featured in the field trip program to Yangdong Village was that students did not only pay attention to the contents of the learning activities presented during the field trip but also further investigated what the tablets on the houses in Yangdong Village meant. Students managed to gain new knowledge and to solve their awareness of the problems that they perceived making use of search tools on their mobile devices. However, the students failed to reach the stage of interpreting the historical meaning with the Yangdong Village. This can be for the reason of lack of connectivity between each activity in the design of the program. Therefore, it was necessary to organize the contents of activities in more detail and the concrete, establish a connection between each activity and present relevant data by selecting for sufficient understanding of the place, reflecting on them. In this regard, this study provided the students with various relevant materials at the stage of ‘investigation’ in the design of the second program, enabling them to do the comparative analysis of the data on the spot and interpret the historical meaning based on it. At this time, the materials were provided to the students using MoFAS. For the specific design of teaching, the stage of ‘to build a context’ was added followed by the stages of ‘observing’ and ‘investigation’, so that it can be connected with the meaning of each structure by the four learning concepts of Deoksugung Palace and managed to prepare for the stage of ‘interpretation’ while describing the reasons why it is thought so. As a result of the development and action of the second field trip program to Deoksugung Palace, the students were able to observe the traces of the Korean Empire period lively through the field trip program to Deoksugung Palace, and in particular, they got interested in the restoration of Seokjojeon Hall and Jungmyeongjeon through historical investigation. Also, it was able to identify the place characteristics of Deoksugung Palace. In the field trip to Deoksugung Palace, interactions were also made between the history teachers and the students through MoFAS, and when identified some errors in the answers given by the students, the teachers asked students to review and correct their learning activities through immediate feedback. The results of this action are similar to the ones analyzed in the first field trip program to Yangdong Village. On the other hand,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second field trip program to Deoksugung Palace derived the historical meaning as they reasoned the materials through the stage of ‘to build a context’ unlike the students who participated in the first program. The students also linked the historical meaning of Deoksugung Palace to the evaluation of King Gojong and the Korean Empire at the stage of ‘interpretation’ followed by the stage of ‘to build a context’. Based on the implications as the results of action in the first & second programs, in this study, it can develop a field trip program for the history class making use of MoFAS through five stages, which are: ① to select a place for a field trip; ② to deduce a concept of history learning through analysis of the history curriculum and the textbook; ③ to establish the learning objective based on the purpose of field trip; ④ to organize the contents in the steps of pre-learning - field trip learning - post-learning; and ⑤ to conduct a field trip and re-plan through the reflection on it. Out of them, in particular, for the specific learning design for the stage of ④ pre-learning - field trip learning - post-learning, this study suggests to proceed it in four steps of ‘observation’, ‘investigation’, ‘to build a context’ and ‘interpretation’ as added another step of ‘to build a context’ to the existing three steps. This study is meaningful in that it made an attempt to develop a field trip program by combining with mobile technology as the development of a field trip program for the history class using MoFAS, and it is expected to be a case in the design of the technology learning environment for history class using of mobile devices. ;본 연구의 목적은 중등학교 역사과 현장학습에 적용 가능한 모바일 저작도구(MoFAS)를 활용한 역사과 교수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서 문헌 연구를 통해 역사과 현장학습의 목적과 교수학습 방법의 유형을 살펴보았으며, 역사과 현장학습의 목적은 ‘직접 경험을 통한 과거와의 만남’, ‘교과 내용의 확인 및 역사 이해의 증진’, ‘역사 탐구 방법의 경험’, ‘정보 수집과 처리 역량의 강화(문제해결 능력의 신장)’, ‘사회성의 육성’으로 구분하였다. 또한, 이번 연구에서 사용한 모바일 저작도구(MoFAS)의 개념과 원리를 살펴보고, 현장학습에서 모바일 테크놀로지의 유용성에 대해 기술적, 인지적, 협력적 도구로서 활용되는 효과를 파악하여 역사과 현장학습에도 적용 가능한지 검토하여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였다. 현장 분석에 있어서는 현장학습을 실천하고 있는 역사 교사들을 대상으로 심층 면담을 실시하여 프로그램 설계 시 토대가 되는 현장학습의 목적, 내용 구성 요소, 교수학습 방법을 결정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프로그램의 개발을 위한 주요 연구 방법으로 실행 연구를 선택하였다. ‘계획-실행-관찰-성찰-재계획’이라는 실행 연구의 과정에 따라서 본 연구에서는 1차 양동마을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학생들에게 실행하였다. 그리고 학생들의 현장학습을 관찰한 후 실행한 결과를 분석하고 이를 반성하여 다시 프로그램 설계를 계획하였다. 이러한 과정을 통해 2차 덕수궁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하였다. 그리고 2차의 프로그램 실행에 따른 결과를 바탕으로 모바일 저작도구를 활용한 역사과 현장학습 프로그램에서의 수업 설계를 제안하였다. 1차 양동마을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고 실행한 결과, 학생들은 양동마을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조선시대의 흔적을 생동감 있게 직접 경험할 수 있었으며, 양동마을의 장소적 특징도 파악할 수 있었다. 또한, 현장학습 과정에서 모바일 저작도구를 통한 역사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졌으며 이를 통해 학생들은 과제를 완결할 수 있었다. 양동마을 현장학습 프로그램에서 특징적인 것은 학생들이 현장학습에서 제시된 학습활동 내용에만 주목하지 않고, 양동마을에 있는 가옥들의 편액이 어떤 의미를 담고 있는지 추가로 조사한 점이다. 학생들은 자신들이 인식한 문제의식을 모바일 기기의 검색 도구를 활용하여 새로운 지식을 얻고 활용하여 해결해 나간 것이다. 그러나 학생들은 양동마을에 담긴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는 단계에는 이르지 못하였다. 이것은 프로그램의 설계에 있어서 각 활동 간의 연결고리가 부족한 점이 원인이라 할 수 있다. 따라서 활동 내용을 좀 더 구체적이고 세밀하게 구성하고 각 활동 간에 연결고리를 구축하고, 장소에 대해 충분한 이해가 가능하도록 관련된 자료를 선별하여 제시할 필요가 있다고 반성하였다. 이와 관련하여 2차 프로그램의 설계에서는‘조사하기’의 단계에 학생들에게 관련된 다양한 자료를 제공함으로써 현장에서 자료를 비교 분석하고, 이를 토대로 역사적 의미를 해석하는 것이 가능하도록 하였다. 이때 자료는 모바일 저작도구를 활용하여 학생들에게 제공하였다. 구체적인 수업 설계는 ‘관찰하기’, ‘조사하기’의 단계 다음에 ‘맥락 짓기’단계를 추가함으로써, 덕수궁의 네 가지 학습개념으로 각 건축물의 의미를 연관 짓고, 왜 그렇게 생각하는지 이유를 서술하면서 ‘해석하기’단계를 준비하게 하였다. 2차 덕수궁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실행한 결과, 학생들은 덕수궁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통해 고증을 통한 석조전과 중명전의 복원에 관심을 가졌으며 덕수궁의 장소적 특징도 파악할 수 있었다. 덕수궁 현장학습 과정에서도 모바일 저작도구를 통한 역사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이 이루어졌는데, 교사는 학생의 답변에 오류가 있음을 확인하고 즉각적인 피드백을 통해 학생이 자신의 학습 활동을 검토하고 수정할 수 있도록 하였다. 이와 같은 실행 결과는 1차 양동마을 현장학습 프로그램에서 분석한 결과와 유사한 점이다. 반면에 2차 덕수궁 현장학습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은 1차 프로그램에 참여한 학생들과 달리‘맥락짓기’의 단계를 통해 자료에 대해 추론함으로써 역사적 의미를 도출할 수 있었다. 학생들은 ‘맥락짓기’의 단계 이후 ‘해석하기’의 단계에서 덕수궁의 역사적 의미를 고종과 대한제국에 대한 평가와도 연결시켰다. 본 연구에서는 1차와 2차 프로그램의 실행 결과에 따른 시사점을 바탕으로, 모바일 저작도구를 활용한 역사과 현장학습 프로그램은 ①현장학습을 위한 장소 선정, ②역사 교육과정과 교과서 분석을 통한 역사학습 개념 도출, ③현장학습의 목적에 따른 학습 목표 설정, ④사전-현장-사후 학습 단계의 내용구성, ⑤현장학습의 실행과 성찰을 통한 재계획이라는 다섯 단계를 거쳐 개발할 수 있다. 그중에서 특히 ④사전-현장-사후 학습 단계의 구체적인 수업 설계에서는 ‘맥락화’단계를 추가하여‘관찰하기’, ‘조사하기’, ‘맥락짓기’, ‘해석하기’의 네 단계로 제안하고자 한다. 본 연구는 모바일 저작도구를 활용한 역사과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개발한 것으로 다음과 같은 의미가 있다. 첫째, 역사과 현장학습 측면에서는 현장학습 프로그램을 설계하여 실행하고, 그 실행한 결과를 분석하여 프로그램을 수정・보완하는 데 반영함으로써 프로그램의 완성도를 높였다. 이를 통해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단계와 수업 설계에서 ‘관찰하기-조사하기-맥락짓기-해석하기’단계를 구체적으로 제시하였다는 점에서 의의가 있다. 둘째, 모바일 테크놀로지 측면에서는 모바일 저작도구를 접목하여 역사과 현장학습 프로그램의 개발을 처음 시도하였다. 모바일 기기가 역사과 현장학습에서 능동적인 학습을 촉진하고, 교사와 학생 간의 상호작용을 통해 평가와 피드백이 가능하며, 학생들의 사후 학습결과물 제작을 지원하는 데 효과가 있음을 구체적으로 파악한 점에서 의미가 있다. 따라서 모바일 기기를 활용한 역사과 테크놀로지 학습 환경 설계에 있어서 하나의 사례가 될 것으로 기대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사회과교육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