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84 Download: 0

아프리카의 기독교 평화교육을 위한 이야기 교육방법

Title
아프리카의 기독교 평화교육을 위한 이야기 교육방법
Other Titles
A study on storytelling-based Christian peace education in Sub-Saharan Africa : Focusing on Kenyan adolescent
Authors
진은현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기독교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백은미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아프리카의 청소년들을 위한 기독교 평화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고 교수모형을 제시하는 데 있다. 세계 기독교(global Christianity)를 이끌어갈 잠재력을 가진 지역으로 부상하고 있는 사하라 사막 남쪽의 아프리카(Sub- Saharan Africa)는 다부족 사회가 가진 갈등에 따른 내전이나 폭력사태가 가장 심각하고 빈번하게 일어나는 지역으로 알려져 왔다. 이 지역의 기독교인 개인들이나 교회들이 평화건설에 참여해 온 것은 사실이지만 다음세대를 평화의 일꾼으로 양육하는 기독교 평화교육은 이루어지지 못하고 있다. 성장기 동안 가난과 질병뿐 아니라 정치권력을 둘러싼 갈등에 따른 내전이나 폭력사태를 경험하는 아프리카의 청소년들은 폭력의 피해자에서 가해자가 됨으로써 폭력의 악순환의 중심 세력이 될 가능성을 안고 있다. 따라서 청소년들에게 기독교적 평화와 공존의 윤리를 가르치는 기독교 평화교육은 아프리카의 평화로운 미래를 위하여 그 어떤 사회적 노력보다 시급한 일이다. 본 연구는 평화교육의 장으로서 아프리카의 역사적, 정치적 상황을 고찰하고 아프리카에서 시행되었던 평화교육의 역사와 실태를 살펴본다. 기존의 평화교육에서는 기독교적 접근을 거의 찾아볼 수 없으므로 기독교 평화교육을 구상하기 위한 실마리로서 케냐의 공교육에 포함되어 있는 기독교 종교교육 과목(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CRE)의 교과내용을 분석한다. 아프리카의 기독교 평화교육을 위한 문화적 근거를 아프리카의 상황에서 찾고자 하는 본 연구는 아프리카적 세계관 또는 인간관이라고 할 수 있는 우분투(ubuntu)와 우분투 속에 내재된 정의로서의 회복적 정의(restorative justice)에 관하여 고찰하고, 이를 성서의 통전적 평화 개념인 샬롬에 연결하여 논한다. 이러한 과정은 아프리카적 정체성과 기독교적 정체성의 통합을 지향한다. 본 연구는 아프리카의 청소년들을 위한 기독교 평화교육의 방법을 이야기 방법으로 제시하고 기독교교육과 평화교육에서 이야기가 갖는 가치와 의미에 관하여 논한다. 또한 이야기 교육방법을 근거로 하여 네 사람의 기독교교육학자들(Thomas Groome, Richard Osmer, Anne Wimberly, Joseph Crockett)이 제시한 성서학습의 교수모형을 고찰하고 기독교 평화교육을 위한 통찰을 얻는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는 아프리카의 청소년들을 위한 기독교 평화교육의 이론적 토대를 마련하기 위하여 교육목적, 교육목표, 교육내용, 학습자, 교육의 장에 관하여 논하고 이상의 논의들을 종합하여 4단계로 구성된 교수모형인‘Hadithi-CPE’와 이를 교육현장에서 구현하기 위한 수업의 예를 제시한다. ‘Hadithi’/ □□□ /는 케냐의 공용어 중 하나일 뿐 아니라 동아프리카의 탄자니아, 우간다, 그리고 중앙아프리카에 속하는 콩고민주공화국의 일부 지역 등에서도 널리 통용되는 언어인 스와힐리어로 ‘이야기’를 뜻하며, CPE는‘Christian Peace Education’의 약어(abbreviation)이다. 아프리카의 평화문제를 기독교교육의 관점에서 조명하고 청소년들을 위한 기독교 평화교육의 교수모형을 제시하는 본 연구는 21세기 지구촌 시대의 선교와 기독교교육에 있어서 한국 교회와 아프리카 교회가 하나님 나라의 평화를 건설하는 데 동역하는 출발점이 될 수 있을 것이다. 본 연구는‘Hadithi-CPE’를 통하여 아프리카의 청소년들이 갈등과 폭력의 현실을 비판적으로 성찰하고 폭력으로 인하여 고통받는 사람들의 삶에 공감하며 갈등이 초래하는 문제들에 대한 해결능력을 발전시킴으로써 아프리카의 평화로운 미래를 여는 평화의 일꾼들로 성장하는 데 공헌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한다.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vide a theoretical framework and a model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Sub-Saharan Africa. While the region of Sub-Saharan Africa holds great potential in leading global Christianity, it has also been a region known for its serious and frequent civil wars or political unrest based on conflicts of multi-tribal societies. Many Christians and churches have participated in peace-building in this region but have not implemented Christian peace education for the next generation pursuing the future of peaceable Africa. Adolescents in Sub-Saharan Africa grow up experiencing various types of violence caused by civil wars and political unrest as well as poverty and diseases. In the process, they are prone to becoming a central force in the vicious circle of violence as they may shift from being victims to perpetuators of violence. Therefore, providing a Christian peace education that teaches them the Christian peace and the ethics of co-existence is a task that is more pressing than any kind of societal effort. This study analyzes the historical, political situation of Sub-Saharan Africa as the context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and reviews the history and current state of peace education in Africa. As the Christian perspective has rarely been included in the discourse of peace education, the contents of Christian Religious Education subject in Kenyan public school curriculum is scrutinized as a potential leading thread to develop a Christian peace education model. In seeking the cultural foundation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in the African context, Ubuntu as a African worldview or view of humanity and restorative justice as its innate system of justice are examined. Then Shalom as the biblical foundation of holistic peace is discussed. Next, the method of storytelling is identified for its great potential in Christian peace education, and four storytelling-based teaching models of Christian educators (Thomas Groome, Richard Osmer, Anne Wimberly, Joseph Crockett) are analyzed for methodological insights into Christian peace education. Finally, this study discusses the goal, objectives, contents, learner, and contexts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for adolescents in Sub-Saharan Africa then presents a teaching model of four stages called ‘Hadithi-CPE, providing samples of exemplary lessons.‘Hadithi’/ □□□ / means‘story’in Swahili language that is not only an official language in Kenya but is also spoken and used in East African countries including Tanzania, Uganda, and parts of Democratic Republic of Congo in Central Africa. CPE is an abbreviation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This study can be a starting point for churches in Korea and Sub-Saharan Africa to collaborate in peace-building work for God’s Kingdom in mission and Christian education of global village in the 21st century illuminating the peace issues of Africa through Christian education lens and providing a model of Christian peace education for African adolescents. This study integrates the African and Christian identity in seeking the cultural and theological foundation in African context for Christian peace education and locating it in a dynamic dialogue with Christian peace. In the process, African adolescents can grow as peacemakers for the future of peaceable Africa, reflecting critically, carrying a stance of empathy with those who are suffering from violence and expanding their capability for problem-solving. Keywords: Christian Peace Education, Sub-Saharan African Adolescent, Ubuntu, Restorative Justice, Shalom, Storytelling Method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기독교학과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