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3 Download: 0

사회인지이론을 이용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건강식행동 실태와 관련요인 분석

Title
사회인지이론을 이용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건강식행동 실태와 관련요인 분석
Other Titles
Healthful Dietary Behaviors and Related Factors among Chinese Students in Korea Using Social Cognition Theory
Authors
YIN, XIAOQING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융합보건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혜경
Abstract
본 연구는 서울시에 거주하는 18세 이상의 중국인 유학생 420명을 대상으로 온라인 설문조사를 수행하였으며, 수집된 자료에서 총 403건 응답을 분석에 활용하였다. 연구도구는 조사대상자의 인구사회학적 특성, 건강식행동, 사회인지이론 구성요소로 구성하였으며, 사회인지이론 구성요소는 자기효능감, 결과기대, 자기규제, 사회적 지지, 환경적 상황이 해당된다. 수집된 자료는 SAS 9.2프로그램을 사용하여 평균, 표준편차, 빈도, 백분율, 카이제곱 검정, 일원분산분석 및 회귀분석으로 분석하였다. 이에 따른 본 연구의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건강식행동의 점수가 높을수록 식행동이 건강하다고 볼 수 있으며 본 연구에서 조사대상자의 건강식행동 평균 30.8 ± 9.8점으로 나타났다. 아침결식이 조사대상자들의 주요 문제가 되었다. 그 외에 단 음식, 간식, 튀김이나 볶음요리를 섭취에 관한 점수가 낮아서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건강식행동의 문제점을 드러낸 것이다. 둘째, 성별에 따라 건강식행동은 유의미한 차이가 있었는데, 남자보다 여자가 아침 식사, 과일, 채소류, 해조류, 버섯 등 및 간식을 먹은 비도가 더 높게 나타났다. 여자보다 남자가 소금이나 간장을 먹는 비도가 더 많았다. 셋째, 재한 중국인 유학생의 일반적 특성에 따른 사회인지이론의 구성요소의 차이에서 자기효능감은 레벨이 다른 한국어 능력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다(p<.01). 사회적 지지는 성별에 현저한 차이가 있었으며, 남자(5.6 ± 2.4점)보다 여자(6.3 ± 2.1점)가 사회적 지지를 더 많은 받은 것을 알 수 있다. 넷째, 건강식행동과 사회인지이론의 각 요인 간의 유의적인 양적(+) 상관관계를 나타냈다(p<.001). 그 중 ‘자기효능감’이 건강식행동과 가장 높은 양적(+) 상관관계를 가지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자기효능감, 환경적 상황 및 자기규제는 건강식행동에 현저한 양적(+) 영향을 준 것을 나타냈으며 결과기대는 건강식행동에 대해 현저하지 않은 양적(+) 영향을 준 것을 나타냈다. 사회적 지지는 건강식행동에 대해 현저하지 않은 음적(-) 영향을 준 것을 나타냈다. 위의 연구 결과를 바탕으로 다음과 같이 제언하고자 한다. 첫째, 연구대상자를 서울시뿐 아니라 더 많은 지역에서 모집하여 재한 중국인 유학생을 대표할 수 있는 연구가 실시하여야 한다. 둘째, 본 연구의 참여자가 대다수는 여성이었다. 추가 연구는 남자 참여자들에 대한 결론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하고 개선해야 한다. 셋째, 코로나19로 인하여 연구대상자에게 미치는 영향은 설문 내용에 고려되어야 한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 조사에서 활용한 연구도구가 더 완성한 체계적인 내용을 들어야 한다. ;This study conducted an online questionnaire survey on 420 Chinese students aged 18 years or older living in Seoul, and used a total of 403 responses from the collected data for analysis. The research tools consisted of the demographic characteristics, healthful dietary behavior and social cognitive theory components of the survey subjects, and the social cognitive theory components included self-efficacy, outcome expectations, self-control, social support, and environmental situation. The collected data were analyzed by statistical techniques of frequency, percentage, mean, standard deviation, chi-square test, one-way ANOVA and regression using the SAS 9.2 program. The results of this study are as follows: Firstly, the higher the scores of healthful dietary behavior, the healthier the eating behavior is, and the study showed that the average score of healthful dietary behaviors was 30.8 ± 9.8 points. Morning hunger became a major problem for the survey subjects. In addition, the scores related to eating sweet food, snacks, fried or stir-fried foods were low, revealing the problems of healthy eating behavior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condly, there w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healthful dietary behaviors according to gender, which showed that female were more likely to eat breakfast, fruits, vegetables, seaweed and mushrooms, than male. Male were more likely to eat salt or soy sauce than female. Thirdly, in the difference in the components of social recognition theory according to the general characteristics of Chinese students in Korea, self-efficacy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their Korean language abilities at different levels (p<.01). Social support has a significant difference in gender, indicating that women (6.3 ± 2.1) received more social support than men (5.6 ± 2.4). Fourthly, there was a significant positive (+) correlation between healthful dietary behavior and each factor of social cognitive theory (p<.001). Among them, 'self-efficacy' was found to have the highest positive (+) correlation with healthful dietary behavior. Lastly, self-efficacy, environmental situation, and self-control were shown to have a significant positive (+) effect on healthful dietary behavior, and the outcome expectation was shown to have a non-significant positive (+) influence on healthful dietary behavior. Social support was shown to have a non-significant negative (-) effect on healthful dietary behavior. Based on the above findings, this study suggest as follows for the future studies and applications. First, research should be conducted to represent Chinese students in Korea by recruiting those who are subject to research from not only Seoul but also more regions. Second, the majority of the participants in this study were female. Further research should identify and improve the applicability of conclusions to male participants. Third, the impact of Corona 19 on the study subjects should be considered in the survey content. Last but not least, more complete systematic contents should be included in the research composition used in this study.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융합보건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