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97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김은성-
dc.contributor.authorPANG, YUENING-
dc.creatorPANG, YUENING-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45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45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14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14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60-
dc.description.abstract오늘날 한국과 중국이 양국 간 긴밀한 외교 관계를 유지하면서, 중국에서는 한국어를 배우는 학습자 수가 급격히 증가하고 있다. 특히, 중국의 대외 정책인 `일대일로(一带一路)'의 배경 아래, 전국 각 지역의 중등학교에서 다언어 교육이 실시되기 시작하였다. 톈진 지역의 경우, 톈진 제41중등학교에 한국어 과목을 2005년부터 개설하고 있다. 이와 같은 흐름에도 불구하고 중국의 각 중학교에서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에 대한 연구는 중국과 한국 모두 미비한 실정이다. 따라서 본고는 Ⅱ장에서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한 외국어 교육의 의미와 가치를 검토하였다. 세계화의 시대적 흐름에 따라 중등학생 대상 외국어 교육은 학습자들에게 언어적 지식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미래 사회에서 살아남아 성공할 수 있는 토대를 마련해 준다는 데서 의미를 가진다. 또한, 중국의 `일대일로' 정책에 대해 살펴보고, 정책에 따른 외국어 인재 양성의 지향점이 `외국어+X' 복합형 인재임을 확인하였다. 이에 본 연구는 Ⅲ장에서 톈진 제41중등학교의 한국어 교육 사례 분석을 통해 중국 중등학생 한국어 교육의 발전 전망에 대해서 살펴보았다. 본 연구는 톈진 제41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교수하고 있는 교사와 교생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고, 한국어를 학습하고 있는 실제 학습자를 대상으로 한 요구분석과 함께 한국어 교실 참관을 통해 중등학생 한국어 교육의 현황을 밝히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으며 이를 위한 연구문제는 다음과 같다. 첫째, 현재 학교에서 한국어 교육과정이 구체적으로 어떻게 진행되고 있는가? 둘째, 현재 학교에서 한국어를 교수하고 있는 한국어 교사와 교생이 한국어를 어떻게 가르치고 있는가? 셋째, 학교 한국어 학습자들은 현재 이루어지는 한국어 교육에 대해 어떤 요구를 지니는가? 본 연구는 연구문제에 관하여 먼저 톈진 제41중등학교에서 한국어를 교수하고 있는 교사 2명과 교생 2명을 대상으로 인터뷰를 진행하여 그 결과를 분석하였다. 다음으로 한국어 수업에 대한 학습자의 요구를 밝히기 위해 한국어 학습자 56명을 대상으로 요구 분석을 실시하였다. 마지막으로 한국어 수업 관찰을 통해 교육 현장의 실태를 살펴보았다. 현장 조사 결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교육 목표와 교육내용이 잘 연계되지 못하고 있다. 본교의 한국어 교육과정에서는 한국어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교육 목표로 세우고 있지만, 실제 학습 효과는 미흡하다. 의사소통 교육이 부족하다는 학습자의 요구를 통해 교육 목표와 교육내용이 일치하지 않음을 확인할 수 있다. 둘째, 한국어 능력을 체계적으로 평가하지 못하고 있다. 언어적 교육 목표로 삼고 있는 의사소통 능력의 신장을 이루기 위해서는 의사소통의 4가지 기능인 말하기⦁듣기⦁일기⦁쓰기 능력에 대한 평가를 모두 진행해야 한다. 셋째, 의사소통 능력 신장을 위한 학습 활동이 부족하다. 학습자들은 학습 스트레스의 원인 1위로 `배운 내용을 활용하기 어렵다'를 꼽았다. 조사 결과를 통해 의사소통 훈련이 제대로 진행되지 못하고 있는 현실을 확인하였다. 넷째,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성이 부족하다. 교사 인터뷰에 의하면, 학습자가 수업 외 시간 중 한국어 과제를 능동적으로 수행하지 않아 수업 중 이전 내용을 반복하는 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고 있었다. 학습자 조사를 통해서도 수업 외 시간 중 대다수의 학습자가 한국어 학습을 위한 과제를 수행하는데 거의 시간을 할애하지 않고 있음이 나타났다. 다섯째, 대학 진학 이후 한국어 학습과의 연관성이 부족하다. 톈진 제41중등학교 고등학부 한국어 교육은 전공과목으로 설정되어 있음에도 수업 시수가 매우 부족하여 고등학부 3학년 과정의 경우 한국어 교육과정이 지속되지 않는 문제점이 존재한다. 이를 바탕으로 Ⅳ장에서는 앞서 살펴 본 연구문제에 대한 개선방안을 모색하였다. 먼저 교육 목표와 교육내용의 괴리를 보완하기 위한 구체적인 개선안을 탐구하고, 이후 한국어 수업에서 교수·학습의 실제성을 강화하는 방안을 제시하였다. 요컨대, 본 연구는 중등학생을 대상으로 하는 한국어 교육의 사례 분석을 통해 중등학생 한국어 교육의 발전 방향을 모색하였다. 현재 중국의 중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현장에는 많은 어려움이 산재하지만, 시대의 발전에 따라 발전가능성을 지닌다는 믿음 아래 이 연구가 중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의 활성화에 기여하게 되기를 바란다.;Nowadays, since rapid development has been achieved through friendly cooperative relations between the China and Korea, the amount of Korean learners in China has also been increasing. On account of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many secondary schools in China have implemented foreign language education. Tianjin No.41 Secondary School which is the object of this study, firstly implemented Korean education in Tianjin, China. Chapter Ⅱ first explored the value of the language learning characteristics for secondary school learners, then analyze the `One Belt, One Road' policy as well as the current situation of language teaching aimed at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China. Foreign language education for secondary school students is not only meant to provide learners with knowledge of language, but also to lay the foundation for survival and success in future societies. In addition, The goal of cultivating talents has come to be `language +X' Multifunctional compound talents by the building of‘One Belt, One Road’. In Chapter Ⅲ, the present condition of Korean language teaching in Tianjin No.41 Secondary School was discovered to bulid the improvement of secondary school korean education in China. Therefore this study sets the procedure as interview with teachers and trainee teachers, the demand investigation for students as well as the observation about the classroom in order to set research problems adduced as follows Firstly, what is the present curriculum of this school? Secondly, how are the teachers and trainee teachers teaching Korean to their students? Thridly, what is the demand for Korean language study of the students? Through the interview with two teachers and two trainee teachers, the demand investigation for students as well as the observation about the classroom, the results could be drawn as follows. Firstly, the educational objective is set as improving the Korean communication skills but it isn't well executed. The incongruousness of educational objective and content is discovered based on the investigation for students. Secondly, there is lack of systematical Korean language proficiency evaluation. Korean language proficiency text about the four communicative functions-speaking⦁listening⦁reading⦁writing should be developed due to the goal of developing communication ability using skills. Thirdly, there is a lack of activities for improving learner's communication skills. According to the results that `having difficulty in utilizing of Korean Language' has been the first cause which due to the learning stress, there is a shame that the teachers didn't create enough communication training activities to improve the communication skill of students. Fourth, the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is lacking in authenticity. On the basis of the teacher's interview, the learners were not actively carrying out Korean language assignments during out-of-class hours, that cause the teacher taking time to review. The study also found that the majority of learners during off-school hours do not carry out their assignments or spend less time studying Korean. Fifth, there is lack in connectivity with Higher Education. The Korean language education of Tianjin No.41 Secondary School is set as a major subject, and there is a problem of not continuing the Korean language course in the third year of the high school department due to the lack of class time. Chapter Ⅳ devise solutions on the basis of the contents above, emphasized on improving the authenticity of the Korean teaching and learning, the connectivity with Higher Education. This study was designed to grope the improvement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imed at secondary school students in China through case study. Despite the recent situation of secondary Korean education in China being in hardship, this study will would be good foundation to invigorate of Korean language teaching aimed at secondary school students as the change with the times.-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 목적 및 필요성 1 B. 선행 연구 검토 3 1. 중등 학생을 위한 외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3 2. 중등 학생을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6 3. 중국 초급 학습자를 위한 한국어 교육에 관한 연구 8 C. 연구 대상 및 방법 9 Ⅱ. 중국 내 중등학교의 외국어 교육의 정책적 배경과 현황 11 A. 중국의 중등학생 대상 외국어 교육의 토대 11 1. 중등학생을 위한 외국어 교육의 필요성과 가치 11 2. `일대일로' 정책에 따른 외국어 인재에 대한 요구 14 3. 중국의 중등학생 대상 외국어 교육 현황 20 B. 연구대상지 개관 22 1. 톈진 제41중등학교의 유형과 설립목적 22 2. 톈진 제41중등학교와 일반중학교의 교육과정과 교육형태 비교 26 Ⅲ. 톈진 제41중등학교 한국어 교육의 실태 분석 32 A. 톈진 제41중등학교 한국어 교사와 교생 대상 인터뷰 32 1. 인터뷰 대상 및 방법 32 2. 인터뷰 결과 분석 35 B. 톈진 제41중등학교 한국어 학습자 대상 요구 조사 41 1. 요구 조사 대상 및 방법 41 2. 요구 조사 결과 분석 43 C. 톈진 제41중등학교 한국어 수업 관찰 58 1. 수업 관찰 대상 및 방법 58 2. 수업 관찰 결과 분석 59 Ⅳ. 톈진 제41중등학교 한국어 교육 개선 방향 모색 70 A. 교육목표와 교육내용 상호 연관성 강화 및 재설정 70 1. 한국어 교육목표 설정 71 2. 한국어 교육내용 선정 76 B. 한국어 능력 평가 체제 재정비 79 C. 의사소통 능력 신장 중심의 상호작용 활동 강화 85 1.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활동 86 2. 학습자 간의 상호작용 활동 89 D. 한국어 교수학습의 실제성 강화를 위한 제언 97 1. 학습자 자율성 신장 97 2. 대학 진학 이후 한국어 학습의 연계성 보완 99 Ⅴ. 결론 101 참고문헌 104 부록1. 인터뷰 110 부록2. 설문지 118 ABSTRACT 12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751131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400-
dc.title중국의 중등학생 대상 한국어 교육 사례 연구-
dc.typeMaster's Thesis-
dc.title.subtitle톈진 제41 중등학교를 중심으로-
dc.title.translatedStudy on Korean Language Education in Secondary School in China : Based on the Case of Tianjin No.41 Secondary School-
dc.format.pagevii, 124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국어교육학과-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