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9 Download: 0

교수자 발문의 비계 설정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 상세화 방안 연구

Title
교수자 발문의 비계 설정 양상 분석을 통한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 상세화 방안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Elaborating Questions of Korean Reading Textbook through Analyzing the Aspects of Scaffolding in Teacher’s Questions
Authors
FANG, JIAJU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서혁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실제 한국어 읽기 수업에서 사용하는 교재의 질문과 교수자가 사용하는 발문 양상을 분석한 후, 읽기 수업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들이 질문을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발문에서 어떤 비계를 설정하는지 살펴보고 한국어 읽기 교재에서 보다 효과적인 질문 상세화 방안을 마련하는 데 있다. 읽기는 학습자의 언어 습득과 사용에 큰 영향을 끼치는 언어 기능이며 한국어 교육에서도 주목해야 할 중요한 기능 중 하나이다. 그런데 읽기 능력은 단순히 텍스트를 이해하는 능력뿐만 아니라, 추론적 능력, 비판적 능력, 창조적 능력까지 모두 필요로 한다. 이를 위해 텍스트와 함께 제시되어 있는 질문은 학습자에게 능력 신장의 기회를 제공하는 동시에 학습자가 텍스트를 이해하는 데에 도움을 준다. 국어과 교재에서는 질문을 날개 질문 등으로 다양하게 구성하고 있는 반면에 한국어 읽기 교재의 질문은 아직 부족한 상태이다. 이로 인해 실제 한국어 수업에서 교수자가 발문을 통해서 이런 빈칸들을 채워주고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문제를 쉽게 해결할 수 있도록 교수자가 발문을 통해서 다양한 비계를 제공하고 있다. 이에 본 연구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 유형을 분석함으로써 교재에 제시된 질문이 학습자의 읽기 능력을 효과적으로 길러 줄 수 있도록 구성되어 있는지 살펴보고, 실제 교수자의 읽기 수업을 관찰함으로써 교수자가 수업을 할 때 발문 양상은 어떠한지 파악하고 바람직한 질문을 제안하였다. 이상의 문제의식을 바탕으로 본 연구에서 살펴보고자 하는 연구 문제를 다음 네 가지로 설정하였다. 첫째,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질문과 발문의 의의와 그 관계는 어떠한가? 둘째, 한국어 읽기 교재의 질문 유형 양상은 어떠한가? 셋째, 읽기 전·중·후 단계에 따른 교수자의 발문 양상은 어떠한가? 넷째, 한국어 읽기 교재의 질문 상세화 방안은 무엇인가? 연구 문제에 따라 Ⅱ장에서는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교재의 질문과 교수자의 발문의 개념을 정리하였다. 또한 한국어 읽기 교육에서 질문과 발문의 의의와 그 관계를 밝히었다. 그리고 교수자가 읽기 수업을 할 때 학습자에게 발문을 하면서 발문에서 나타난 비계 설정 양상을 구체적으로 보기 위해서 그 분석 기준을 마련하였다. 그 다음에, 읽기 교재 질문 유형을 보기 위해서 교수자가 실제 읽기 수업에서 사용하고 있는 교재를 분석 대상으로 선정하였다. 읽기 교재의 질문을 분석하기 전에 질문 유형의 분석 기준을 선정하였다. 본 연구는 이다슴(2014)의 질문 유형 분류를 바탕으로 이를 보완하여 여섯 가지 질문 유형을 추출하였다. 선정한 질문 분류를 이용해서 읽기 전·중·후 단계에 따른 읽기 교재 질문 제시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한 결과 읽기 후 단계에서의 질문이 제일 많이 제시되었고 대부분은 사실적 이해 질문이었다. 이에 비해 읽기 전 단계에서 제시된 질문은 많지 않았고 개인적 반응 질문이 대부분이었다. 또한 읽기 중 단계에서는 질문이 아예 제시되지 않은 문제점을 밝히었다. 그 다음에는 Ⅲ장에서는 2명의 교수자를 대상으로 총 5회 읽기 수업 관찰을 통해 수집한 자료를 구체적으로 분석하였다. 자료를 분석해서 얻은 결론은 다음과 같다. 읽기 전 단계에서 교수자가 학습자들의 배경 지식을 활성화시키고, 학습 흥미 및 동기를 유발하기 위해서 단순 회상적 발문과 확산적 발문을 많이 하였다. 이와 달리, 읽기 중 단계에서는 교수자가 학습자들의 이해를 확인하기 위해서 수렴적 발문을 많이 하였다. 특히 사실적 이해를 요구한 발문이 대부분이었다. 읽기 후 단계에서 교수자는 학습자들의 텍스트 전체 및 세부 내용에 대한 이해 정도를 파악하기 위해서 수렴적 발문을 많이 하였다. 단순 회상적 발문, 확산적 발문과 평가적 발문은 수렴적 발문보다 적게 제시되었다. 또한 교수자가 발문을 하면서 학습자들에게 ‘설명하기’, ‘힌트주기’, ‘발문하기’, ‘안내하기’라는 비계를 설정해 주었다. 이어서 교수자의 인터뷰를 통해 교수자의 발문 의도를 확인하였다. Ⅳ장에서는 본 연구에서 분석한 교재의 질문과 교수자 발문 양상을 종합적으로 정리하고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 제시의 원리와 유형, 그리고 질문의 상세화 방안을 도출하였다. 마지막으로 본 연구의 논의를 정리하면서 연구의 의의를 살피고, 연구의 결과 및 한계점과 향후 연구에 대한 제언을 하였다. 본 연구는 읽기 교재 질문의 문제점을 밝히고, 실제 읽기 수업에서 교수자의 발문 양상 및 발문 안에 비계 설정 양상을 같이 분석하고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의 상세화 방안을 제안하였다. 이 연구가 향후 한국어 읽기 교재 질문을 개발하는 데 조금이나마 도움이 되기를 기대해 본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analyze questions of textbook used in the Korean reading class and the pattern of teacher’s questions, and then examine what scaffoldings are set in teacher’s questions so that learners can easily solve the questions. by doing so, to prepare effective ways to elaborate ques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Reading is a language function that greatly influences learner’s language acquisition and use, and is one of the important functions to be noted in korean education. However, reading skills requires not only the skill to understand text, but also the skill to inference, critical, and creative. To this end, the questions presented with the text provide the opportunity for learners to develop their skills and help them to understand the text. The questions of Korean textbooks is composed of wing questions, but the questions of Korean reading textbooks is still insufficient. For this reason, in Korean reading class teachers fill these blanks through teacher’s questions. In addition, teachers offer various scaffolding through their questions so that learners can solve questions easily. Therefore, in this study, by analyzing the types of questions of Korean reading textbook to examine whether the questions presented in the textbook are effectively structured to develop learner’s reading skills. By observing the reading class to know what kind of teacher’s questions are putted forward by teachers and give some suggestions to improve questions of textbooks. Based on the above-mentioned problem consciousness, the following four research problems were investigated. First, what is the significance of textbook’s questions and teacher’s questions and what is the relationship between them in Korean reading education? Second, What are the types of questions in Korean reading textbooks? Third, what are the aspects of the teacher’s questions according to th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Fourth, what are the ways to elaborate the questions of Korean reading textbooks? According to the research problems, Chapter Ⅱ summarized the concept of textbook’s questions and teacher's questions in Korean reading education. And in Korean reading education, the significance of the textbook’s questions and the teacher's questions and its relationship were revealed. The analysis criteria were prepared in order to analyze the aspects of scaffolding in teacher’s questions that presented in reading class. Next, the textbooks used by the teacher in the reading class were selected for analysis in order to see the types of reading textbook’s questions. Before analyzing the questions in reading textbooks, the criteria for analyzing the question types were selected. This study supplemented this based on the question type classification of Lee Da-sum (2014), and extracted six question types. Using the selected question classification, we examined the aspects of reading textbook’s questions according to the stages before, during, and after reading. As a result of analysis, most questions were presented in the post-reading stage, and most of them were literal comprehension. By comparison, there were not many questions presented in the pre-reading stage, and most of the questions were personal response. In addition, during the reading stage, the question was uncovered. Next, in chapter Ⅲ, the data was collected through observation of a total of five reading lessons by two teachers and the data was specifically analyzed. The conclusions obtained by analyzing the data are as follows. In the pre-reading stage, the teachers used many cognitive-memory questions and divergent questions in order to stimulate learners' background knowledge and to induce learning interest and motivation. On the other hand, during the reading stage, the teachers made a lot of convergent questions to confirm the understanding of the learners. In particular, most of the statements required a realistic understanding. In the post-reading stage, the teachers made many convergent questions in order to grasp the learners’ degree of understanding of the entire text and details. The cognitive-memory question, the divergent question and the evaluation question were presented less than the convergent question. In addition, when the teachers were asking questions, they set the scaffolding ‘demonstrating', ‘hinting', ‘questioning', and ‘guiding' in questions for learners. Then, the intention of the teacher’s questions was confirmed through an interview with the teachers. In chapter Ⅳ, the questions of the textbooks analyzed in this study and the aspects of teacher’s questions were summarized. And the principles and types of Korean reading textbook’s questions were presented and methods for elaborating the questions were drawn. Lastly, in summarizing the discussion of the study, we examined the significance of this study and made suggestions for the results and limitations of the study and future study. This study clarifies the problems of reading textbook’s questions, analyzes the teacher's questioning pattern and scaffolding setting pattern in reading class, and proposes a detailed method for Korean reading textbook’s questions. I hope this study expect a little bit of help to develop future Korean reading textbook’s questions.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