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45 Download: 0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 연구

Title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이용한 인터랙티브 아트 표현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n Interactive Art Expression Using Tangible Intnerface : Focused on Hide & Seek
Authors
장수형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영상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유현정
Abstract
With the development of various media and devices, the demand for visual images and auditory sound has steadily increased, and its importance has also emerged. However, in recent years, studies have been conducted in order to make the expression of reality more possible by stepping beyond providing simple visual and auditory images. In line with this trend, people began to pay attention not only to vision and hearing, but also to other senses, and synaesthesia domain with single sense started to be re-explored. In addition, in the area of ​​the interface that enables media activities, an interactive tangible interface that users can use while actually touching it is rising. In this study, I intend to study Interactive Art works by focusing on the sensation element called ‘tactile sensation.’ One of the five senses, ‘tactile sensation’ is not a sense that people normally perceive deeply, but it can be seen that is a basic pathway that responds unconsciously throughout daily life. Tactile sensation plays a role as a base layer that closely links and binds most of other senses, and naturally forms the basis of human sensory activity. If this tactile sensation is used as a medium, it is possible to communicate through the feeling process of sense not through the existing process of simple manipulation.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interactive arts through the tangible interface, focusing on tactile sensation that are not normally recognized, and providing an experience of new recognition. Using works that utilize realistic tactile medias, this study aims to express various sensibilities felt by each kind of tactile sensation. Also, I will create works that recognize the diversity of tactile sensibility that individuals feel and can feel various sensibilities from the experience of only a single touch. The research is based on the concept of play, which allowed various sensory activities in childhood, and among them, hide-and-seek games focused on visual sensation in physical space are produced so that touch can be used in physical space. In the first work, audience experience the senses and find the video by touching the various textured strings that make up the wide space. In this process, the audience experience video images that are connected to the corresponding touch. The strings with tactile properties, which are the medium of interaction, consist of a wide variety of textures, and consist of only one kind of similar color so that they can concentrate on tactile sensation as much as possible. The second work unfolds the same concept as the first one, but different ways of experiencing it. Through the process of touching a wooden bobbin wrapped with various touches, audience can experience different kinds of touches and connect each of the images expressing these touches, which leads to find a video that expresses various sensibilities. The third work consists of a space installed with a mixture of various touch straps. Audience experience a variety of touches in the space at the same time. At this time, when the audience enters a space consisting of a touch strap, videos of various colors are played, and the audience will have a visual experience of their own touch while watching the video. 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produce and display interactive art works of tangible interface using the tactile sensation described above. Through this work, audiences will interact with visual images with tactile interface and focus on the tactile sensory system with reinterpretation and recognize it again. Since the image of each touch is different depending on the background of life environment, personality, and specific experience of a person, the image seen as a response may differ from the image of one's own association. But these differences are also expected to be a process of experiencing and searching for sensibilities in the sense of discovering a sensory image in a different direction from oneself.;다양한 미디어와 매체의 발달 속에서 시각적 이미지나 청각적 사운드에 대한 수요는 꾸준히 증가하였으며, 그 중요성 또한 대두되어 왔다. 하지만 최근에 들어서서 이러한 단순 시각적, 청각적 경험을 제공하는 것에서 더욱 나아가, 좀 더 현실감을 표현 가능하게 하기 위한 연구들이 진행되고 있다. 이러한 흐름에 맞추어 사람들은 시각·청각 뿐만 아니라 다른 감각들에 주목하기 시작하였으며, 단일 감각과 더불어 공감각적인 영역까지 재조명되고 있다. 이와 더불어 미디어 활동을 가능하게 해주는 인터페이스의 영역에서도 사용자가 실제로 만지면서 사용할 수 있는 체감형 탠저블 인터페이스(Tangible Interface)가 부상하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이러한 흐름 속에서 ‘촉각’이라는 인간의 감각에 집중하여 인터랙티브 아트 (Interactive Art) 작품을 기획·제작하고자 하였다. 오감 중 하나인 ‘촉각’은 평소 사람들이 깊게 인식하고 있는 감각은 아니지만 생활 전반에 걸쳐 무의식적으로 반응하는 기본적인 통로인 감각이라고 볼 수 있다. 촉각은 대부분의 다른 감각들을 긴밀하게 연결하고 결집시키는 기층적인 역할을 하며, 자연스럽게 인간 감각 활동의 기초가 된다. 이러한 촉각을 매개로 한다면 기존의 단순 조작과정을 통한 소통이 아닌, 감각을 느끼는 과정을 통한 소통이 가능할 것이라 생각하였다. 본 연구에서는 탠저블 인터페이스를 통한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을 제작하여, 평소 인식하지 않던 촉각에 집중하고 이를 새롭게 인식하는 경험을 제공하는 작품을 제작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였다. 실재하는 촉각 매개를 활용하는 작품을 통하여 촉각의 종류마다 느껴지는 다양한 감성을 표현하고자 하였으며, 개개인이 느끼는 촉각 감성의 다양성을 인식하여 하나의 촉감 경험에서 여러 가지 감성을 느낄 수 있는 작품을 제작하고자 하였다. 연구 작품은 어린 시절의 다양한 감각 활동을 할 수 있었던 놀이의 개념을 배경으로 잡았으며, 물리적 공간에서 시각적 감각을 위주로 한 숨바꼭질 놀이를 물리적 공간에서 촉감을 이용할 수 있도록 작품을 제작하였다. 첫 번째 작품 ‘Touch&Seek 1’은 관람자들이 넓은 공간을 구성하고 있는 다양한 질감의 끈을 손끝으로 직접 만져보면서 촉감을 경험하며, 영상을 찾아내는 방식이다. 이 과정에서 관람자들은 해당 촉감과 연결되는 시각적 이미지를 영상으로 경험한다. 상호작용의 매개체인 촉각적 특성을 가진 끈들은 매우 다양한 질감으로 구성되어 있으며, 관람자들이 최대한 촉각에 집중할 수 있도록, 한 종류의 유사한 색채로만 구성하였다. 두 번째 작품 ‘Touch&Seek 2’는 첫 번째 작품과 동일한 컨셉이나, 체험 방식을 다른 흐름으로 풀어보았다. 관람자는 다양한 촉감으로 싸여진 나무 보빈(bobbin, 실패)을 만지는 과정을 통해 여러 종류의 촉감을 경험하고 인식한다. 그리고 촉감을 통해 느낀 것을 이미지와 각각 연결하여 해당 촉감의 감성을 표현하는 영상을 발견하게 된다. 세 번째 작품 ‘Feeling Zone’은 다양한 질감의 끈들이 혼재하여 설치된 공간으로 구성되어 있다. 관람자는 그 공간 속에서 다양한 촉감을 동시에 경험하게 된다. 이 때에 관객이 여러 질감의 끈으로 구성된 공간 안에 들어오면, 다양한 색감의 영상이 재생되며, 관객들은 영상을 보며 자신이 경험한 촉감들에 대한 시각적 경험을 할 수 있다. 본 연구는 위와 같이 촉각을 활용한 탠저블 인터페이스의 인터랙티브 아트 작품을 제작, 전시함을 목표로 하였다. 이러한 연구 작품을 통하여 관람자들은 촉각 인터페이스로 시각적 이미지와 상호작용을 하게 되며, 촉각적 감각 체계에 집중하는 경험을 하게 된다. 촉감마다의 연상 이미지는 사람이 살아온 환경, 성격, 경험 등에 따라 다르기에 반응으로 보여지는 이미지가 스스로의 연상 이미지와 차이를 보일 수도 있지만 이러한 차이점 또한, 자신과는 다른 방향에서의 감각 이미지를 발견한다는 의미에서 감성을 경험하고 찾아가는 과정이 되기를 기대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