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704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박영경-
dc.contributor.author조재은-
dc.creator조재은-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42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42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8243-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8243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40-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는 색채 계획 시 발생할 수 있는 색채 샘플의 적용 오차를 줄이기 위해면적변화에 따른 명도 변화량을 측정하는데 목적이 있다. 이에 본 연구는 표면과 디스플레이의 환경에서 시야각에 따른 색채 면적의 변화가 명도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알아보고자 했다. 이를 위해 표면과 디스플레이의 실험 환경에서 시야각을 2°, 10°, 30° 로 설정했고, 11가지 색채 샘플과 8단계의 명도 스케일을 사용해 실험을 진행했다. 두 가지 실험에 사용된 색채 샘플은 B, BG, G, GY, Y, YR, R, RP, P, PB의 단계로 제작되었다. 그리고 본 연구에서 수행한 실험은 색지각에 관한 실험으로 이시하라 시력 검사에 통과한 정상 색시 관찰자들이 참여했으며, 20~30대의 여성 피험자 25명으로 진행했다. 실험 결과의 분석은 먼저 11가지 색채 샘플의 측정 명도와 2°, 10°, 30°시야의 피험자 응답 명도를 비교했다. 그리고 2°시야에서 10°시야, 10°시야에서 30°시야, 2°시야에서 30° 시야로 색채 면적이 변화할 때의 명도 변화를 확인했다. 색채 샘플의 실제 측색한 명도와 피험자 응답 명도를 비교한 결과에서 표면 실험의 경우 10°시야의 면적 크기를 가질 때 실제 측색한 명도와 가장 유사한 명도 단계를 나타냈고, 디스플레이 실험의 경우 2°시야의 면적 크기를 가질 때 실제 명도와 가장 유사한 명도 단계를 나타냈다. 시야각에 따른 색채 면적변화를 분석해보면, 두 가지 매체 모두 2°시야에서 30°시야로 면적이 커질 때 명도가 상승하면서 밝게 지각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그러나 표면 실험에서는 10°시야에서 30°시야로 변화할 때 명도 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났고, 디스플레이 실험에서는 2°시야에서 10°시야로 변화할 때 명도 변화가 가장 작게 나타나 조금 다른 결과를 보여주었다. 또한 Purple과, Purple-Blue 색채의 경우 모든 시야각 변화마다 표면 실험보다 디스플레이 실험에서 색채 면적이 커질 때 명도를 높게 지각한다는 결과를 나타냈다. 그리고 Blue-Green, Green, Red-Purple 색채의 경우 모든 시야각 변화마다 디스플레이 실험보다 표면 실험에서 색채 면적이 커질 때 명도 높게 지각한다는 것을 알 수 있었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measure the change in lightness according to the size change in order to reduce the application error of color samples that may occur in color planning. Therefore, this study aimed to find out how the change in color area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affects the lightness in the environment of surfaces and displays. For this, the viewing angles were set to 2°, 10°, and 30° in the experiment environment of the surface and the display, and the experiment was conducted using 11 color samples and 8 levels of lightness scale. The color samples used in both experiments were produced in the steps of B, BG, G, GY, Y, YR, R, RP, P, PB. In addition, the experiment conducted in this study was performed on normal color vision observers who passed the Ishihara vision test as an experiment on color perception, and was conducted with 25 female subjects in their 20s and 30s. In the analysis of the experimental results, the measurement lightness of 11 color samples was first compared with the lightness of the subject's response at 2°, 10°, and 30° field of view. And the change in lightness when the color size changed from 2° field of view to 10° field of view, 10° field of view to 30° field of view, and 2° field of view to 30° field of view was confirmed. The results of comparing the actual colorimetric lightness of the color sample and the lightness of the subject's response showed the lightness level most similar to the actual colorimetric lightness when having an area size of 10° field of view for surface experiments and 2° field of view for display experiments. When it had an area size, it showed the lightness level most similar to the actual lightness. When analyzing the color size change according to the viewing angle, it was found that both media perceived brightly as the lightness increased as the size increased from 2° to 30°. However, the surface experiment showed the smallest change in lightness when changing from 10° field of view to 30° field, and the display experiment showed the smallest change in lightness when changing from 2° field of view to 10° field of view. In addition, in the case of Purple and Purple-Blue colors, it showed that the lightness was perceived higher when the color size was larger in the display experiment than in the surface experiment for every viewing angle change. In addition, it was found that in the case of blue-green, green, and red-purple colors, the lightness is perceived higher when the color size is larger in the surface experiment than in the display experiment for every view angle change.-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목적 1 B. 연구의 내용 및 방법 2 Ⅱ. 이론적 배경 5 A. 색채와 면적효과 5 1. 색채 지각 5 2. 색채 면적효과 13 B. 디지털 색채 특성 16 1. 디지털 색채 지각 16 2. 디지털 환경의 색 공간 18 C. 표면 색채와 디스플레이 색채의 면적효과에 관한 연구 사례 20 Ⅲ. 표면 색채 면적효과에 관한 실험 평가 및 분석 22 A. 표면과 디스플레이 색채 샘플의 명도 차이 22 B. 실험 대상 및 환경 24 1. 실험 대상 24 2. 샘플 선정 25 3. 실험 환경 및 도구 29 4. 실험 방법 및 순서 32 C. 표면 실험의 색채 면적 변화에 관한 실험 분석 34 1. 색채 샘플의 측색 명도와 피험자 응답 명도 비교 34 2. 2, 10, 30시야에 따른 색채 면적의 명도 변화 39 Ⅳ. 디스플레이 색채 면적효과에 관한 실험 평가 및 분석 46 A. 디스플레이 실험의 색채 면적 변화에 관한 실험 분석 46 1. 색채 샘플의 측색 명도와 피험자 응답 명도 비교 46 2. 2, 10, 30시야에 따른 색채 면적의 명도 변화 51 B. 종합 58 Ⅴ. 결론 및 논의 62 참고문헌 65 부록 1 실험 설문지 68 부록 2 실험 응답지 69 부록 3 표면 실험 색채 샘플 11가지 70 부록 4 디스플레이 실험 색채 샘플 11가지 71 ABSTRACT 72-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2002170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c.subject.ddc700-
dc.title표면과 디스플레이 색채 면적에 따른 명도 변화-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Lightness Change According to Surface and Display Color Size-
dc.format.pagevi, 73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