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664 Download: 0

색채 감성 예측 식을 이용한 단색과 2색 배색 면적 비에 관한 연구

Title
색채 감성 예측 식을 이용한 단색과 2색 배색 면적 비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A study of area ratio of single and two-color combinations using color emotion predictive equations
Authors
서원영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디자인학부색채디자인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박영경
Abstract
Color emotion, which is a concept distinguished from reason, includes all kinds of emotions that humans can perceive and feel through colors. The color emotion in everyday life, especially the color emotion that can be felt in color combinations, is distinct from the color emotion felt in a single color; this reflects an individual's experiences (learning) and is also influenced by social-cultural factors and characteristics of color stimuli. Therefore, with the emergence of the need for studying the universality of color emotion, previous studies examined emotion factors and predictive equations for the universal color emotion. Emotion factors are classified into color heat, color weight, and color activity, which are affected by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hue, lightness, and chroma). The purpose of this study was to examine the predictability of color emotion of Koreans who have not been considered in previous studies, and to identify the changes in color emotion and their predictability according to different area ratios. First, the color emotion of Koreans was predicted using the predictive equations presented in previous studie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the correlation coefficient between the predicted value and the response value was 0.856 for color heat, 0.950 for color weight, and 0.851 for color activity, which confirmed that it is 98 possible to predict the color emotion of Koreans. As a result of the experiment of the one-to-one area ratio of the two-color combin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wo variables was 0.857 for color heat, 0.901 for color weight, and 0.512 for color activity. That is, it was confirmed that the color emotion of the two-color combinations (one to one area ratio) is also predictable. The result showed additivity between the predicted value of color emotion of single-color combinations and that of two-color combinations. As a result of the two-to-one area ratio experiment of the two-color combinations, the correlation coefficient of the two variables was 0.875 for color heat, 0.883 for color weight, and 0.770 for color activity, which showed that color emotion prediction was possible even when the area ratio was different. However, because not all color samples were predictable, some color samples had a change in color emotion in terms of the three attributes of color. Therefore, when using a color combination rather than a single color, it is necessary to understand the unique characteristics of each color. Despite the slight effect of color emotion depending on area ratio, this study has an implication to confirm the applicability of the color emotion predictive equations to Koreans.;색채 감성은 인간이 색을 통해 인식할 수 있고 느낄 수 있는 모든 종류의 감성으로 이성과는 대응되는 개념이다. 일상에서의 색채 감성, 특히 배색에서 느낄 수 있는 색채 감성은 단색에서 느끼는 색채 감성과는 다르다. 이는 개인의 경험(학습)이 반영되기도 하며 사회 문화적 요인, 색 자극의 특성 등에 의해서도 영향을 받는다. 따라서 색채 감성이 가진 보편적 감성에 관한 연구의 필요성이 대두되었고, 이전 연구에서는 보편적 색채 감성에 대한 감성 요인과 예측 식이 도출되었다. 감성 요인은 색 온도감(color heat), 색 무게감(color weight), 색 활동감(color activity)으로 나뉘었는데 이는 색의 삼속성(색상, 명도, 채도)의 영향을 받는 것으로 나타났다. 본 연구는 선행 연구에서 고려되지 않은 한국인의 색채 감성도 예측 가능한지 확인해보고자 한다. 또한, 면적 비를 달리한 경우 색채 감성의 변화와 예측 가능성도 알아보고자 하였다. 먼저 선행 연구에서 제시된 예측 식을 이용하여 한국인의 색채 감성을 예측해보고자 진행한 실험 결과 예측값과 응답 값의 상관계수는 온도감 0.856, 무게감 0.950, 활동감 0.851로 한국인의 색채 감성을 예측하는 것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2색 배색의 1대 1 면적 비 실험 결과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온도감 0.857, 무게감 0.901, 활동감 0.512로 나타나 2색 배색(1대 1 면적 비)의 색채 감성 또한 예측이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이를 통해 단색의 색채 감성 예측값과 2색 배색(1대 1 면적 비)의 감성 예측값 사이에는 가산 관계(additivity)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다. 2색 배색의 2대 1 면적 비 실험 결과, 두 변수의 상관계수는 온도감 0.875, 무게감 0.883, 활동감 0.770으로 나타나 면적 비가 다른 경우에도 색채 감성 예측은 가능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그러나 모든 배색 샘플이 예측 가능한 것은 아니었기에, 일부 배색 샘플은 색의 삼속성에 의해 색채 감성이 변화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따라서 단색이 아닌 배색을 활용할 경우, 각각의 색이 가진 고유의 특성에 대해 파악한 후 사용해야 함을 알 수 있었다. 본 연구에서 면적 비 차이에 의한 색채 감성의 영향은 미미한 것으로 나타났지만, 한국인을 대상으로 색채 감성 예측 공식의 적용 가능성을 확인한 것에 의의를 두고자 한다.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디자인학부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