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914 Download: 0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Title
학교폭력피해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위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 개발
Other Titles
evelopment of Song Psychotherapy Program for Empowerment of the Adolescents Victimized by School-Violence
Authors
이정빈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정현주
Abstract
본 연구의 목적은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이 심리적 위기상황에서 자신의 내적 자원을 활용하여 존재감을 인식하고, 자신의 자원과 강점을 활용하여 문제 상황에서 대처할 수 있는 힘을 도모하는 프로그램을 개발하는 것이다. 프로그램 개발을 위해 먼저, 기존의 문헌 연구를 통해 개인 내적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인을 파악하였고, 노래를 심리치료 자원으로 활용한 심리치료적 기법과 임파워먼트 기능을 구체화하는 과정을 거쳐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에게 적용 가능한 임파워먼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개발하고 타당도를 검증하였다. 개발한 프로그램은 타당성 확보를 위해 청소년 음악심리치료전문가 자격증을 소지한 박사학력 이상의 음악치료사 2인에게 두 차례 검증을 받았다. 전문가의 평가영역은 프로그램 구성 및 내용의 적합성, 진행구조, 현장 적용 가능성에 관한 문항으로 구성된 5점 척도와 프로그램 전반의 종합적인 의견 서술 문항으로 제작되었다. 개발된 프로그램의 특징은 첫째,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인(자기수용, 자기존중, 자기효능)을 촉진하는 단계별, 중재 절차와 유형으로 구성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한 점이다. 둘째, 임파워먼트의 구성요인(자기수용, 자기존중, 자기효능)과 노래심리치료의 활동, 음악 논거가 타당화된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을 제시하였다. 셋째,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심리 정서적 특성을 고려하여 난이도 조절과 세부적인 구조화 전략을 통해 현장 적용 가능성을 높인 프로그램으로 개발하였다. 프로그램은 1차 타당도 검증 시 평균 4.1점이였지만 2차 검증 시 평균 4.3점으로 향상된 타당도를 확보하였다. 두 차례 검증에서 전문가들은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들의 심리 정서적 특성을 고려하여 세부적인 구조화 전략이 필요하다는 의견을 제시하였다. 이를 반영하여 프로그램을 수정 및 보완하였고, 최종 프로그램을 완성하였다. 본 연구는 프로그램을 개발 및 타당도 검증까지를 연구의 범위로 설정하였기 때문에 경험적 연구는 적용하지 않았으나, 음악중재 전문가의 검증에 의해 타당성을 확보하였다. 따라서, 본 연구에서 개발된 임파워먼트 노래심리치료 프로그램은 학교폭력 피해 청소년의 임파워먼트를 촉진할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programs that enable adolescent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to recognize their presence by utilizing their own internal resources in a crisis situation and to address the problem situation by utilizing their own resources and strengths. In order to develop the program, we first grasped the components of personal empowerment through literature research, and through the process of embodying the psychotherapeutic techniques and empowerment functions that utilize songs as psychotherapy resources, we developed and verified the validity of the empowerment song psychotherapy program that can be applied to youths suffering from violence in school. The program was tested twice by two music therapists with PhD or higher qualifications to ensure its validity. The expert evaluation area was developed as a five-point measure consisting of questions about program structure and content compatibility, progress structure, and field applicability, and as a comprehensive statement of opinion for the entire program. The first feature of the developed program is that it presents a singing psychotherapy program consisting of arbitration procedures and types, which promotes the components of the empowerment (self-acceptance, self-respect, self-effect). Secondly, the singing psychotherapy program is presented in which the constituents of the empowerment (self-acceptance, self-respect, self-effect) and the activities of singing psychotherapy and the musical basis are validated. Third, the program was developed to enhance the possibility of practical application through adjustment of difficulty and detailed structured strategies, taking into accoun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student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The program averaged 4.1 points at the time of primary validation, but improved to 4.3 points at the time of secondary validation. In two tests, experts suggested a detailed structured strategy should be taken into account the psychological and emotional characteristics of youth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Reflecting this, the program was modified and complemented to complete the final program. Though this research did not apply empirical research because the program was developed and the validation of the program was limited to the scope of the research, it was ensured through the validation of music arbitration experts. Therefore, it is expected that the Psychotherapy Program for Empowerment Songs, developed in this study, can promote the empowerment of youths affected by school violenc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