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820 Download: 0

Full metadata record

DC Field Value Language
dc.contributor.advisor정현주-
dc.contributor.author이경연-
dc.creator이경연-
dc.date.accessioned2020-08-03T16:30:41Z-
dc.date.available2020-08-03T16:30:41Z-
dc.date.issued2020-
dc.identifier.otherOAK-000000167697-
dc.identifier.urihttp://dcollection.ewha.ac.kr/common/orgView/000000167697en_US
dc.identifier.urihttps://dspace.ewha.ac.kr/handle/2015.oak/254429-
dc.description.abstract본 연구의 목적은 특수학교의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음악 교과 수업을 통한 사회적 기술의 증진을 위해 음악치료적 요소를 적용한 음악활동수행 모델과 교수・학습지도안을 개발하는 것이다. 음악활동수행 모델은 뇌에서 타인을 지각하는 타인 인식 단계, 타인을 사회적인 존재로서 인지하는 사회 인지 단계를 거쳐 실제적으로 사회적 기술을 적용하는 수행의 3단계의 위계를 설명하였다. 수행 단계에서는 공동주의, 상호작용 시도/반응, 차례지키기, 협력으로 사회적 기술의 난이도를 나누었다. 교수・학습지도안은 이에 근거하여 수행 단계별로 각 3차시 씩 총 12차시로 구성하였으며, 차시별 단원과 내용은 2015 특수교육 음악과 교육과정의 중학생 대상 제재에서 치료적 목적에 적합한 내용을 발달 영역에 따라 선정하여 재구성하였다. 학생 활동은 학생의 기능 수준에 따라 3단계로 구분하였으며, 개발된 지도안은 특수학교 교사와 음악치료사, 음악교사에게 2회 타당도 검증을 실시하여 내용을 수정・보완하였다. 본 연구 결과는 2018년부터 2020년에 걸쳐 새로 현장에 도입되는 2015 개정 특수교육 교육과정을 적용한 음악 수업의 기초 자료로 활용될 수 있을 것이다. 특수학교 현장에서 음악 교과는 장애학생의 전인적 성장을 위해 중요하며 학생들의 참여도가 높지만, 특수교사들은 다양한 제재곡과 실제 학습 방법에 대한 제시가 부족하여 어려움을 겪고 있으므로 본 연구를 통해 개발한 지도안이 도움이 될 것이다. 또한 특수교육 현장에서 음악치료를 적용한 음악 교과 수업은 새로운 방법론과 더불어 기능적 발달에 초점을 두는 시각을 제안할 수 있다. 특수교육 현장에서는 수업을 위한 지속적인 교재 연구와 다양한 교수・학습 방법 및 활동에 대한 새로운 시각을 요구하기 때문에 음악치료적 접근은 장애 학생의 발달에 보다 더 초점을 맞출 수 있으며, 다양한 학문간 융합의 좋은 사례가 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주로 학교 현장에서 치료 영역의 일부분으로 기능했던 음악치료를 교실 수업에 적용하여, 특수학교의 음악 교사들이 수업에 활용할 수 있도록 제시하였다. 결과적으로 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을 대상으로 한 음악활동수행 모델과 교수・학습지도안의 개발은 지적장애 청소년의 미래 삶의 질을 향상을 위해 요구되는 사회적 기술의 증진에 목적을 두고 음악 교과 수업에 접목시켰다는데 의의가 있으며, 지속적인 후속연구가 필요하다는 것을 시사한다.;The purpose of this study is to develop an education model and teaching-learning plans by applying the elements of music therapy to enhance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Middle school students attending special schools for intellectual disabilities are the subject of this study. This study developed a model called the Music-Activity-Practicing Model with the aim of improving students' social skills through music classes. This model explains that a person's social skills make progress in three sequential stages: perception, recognition, and practicing. Practicing stage is classified again into four levels: joint attention, interaction attempt/response, turn-keeping, and cooperation. Each level takes three sessions which sums up to twelve sessions for a set of teaching-learning developed in this study. The teaching-learning plans referred to the “2015 National Special Education Music Curriculum” for middle school students in special schools to extract topics appropriate for therapeutic purposes, and then was reorganized by units, contents, and student activities for different developmental areas and functions. The plans were revised after two special education teachers, a music therapist, and a music teacher conducted validity checks twice on it. Findings of this study will provide basic data for music classes following the “2015 Revised Special Education Curriculum” which will be applied to the field of education from 2018 to 2020. Notwithstanding the fact that music education is critical for integrative development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nd that the class participation rate is higher among them, special education teachers often struggle to reserve sufficient songs of various topics and obtain practical teaching methods. In addition, music therapy can provide a new methodology of teaching music in special education. Moreover, it will render teachers a perspective focusing more on the increased functions of students with disabilities. As special education continuously requires new teaching materials, teaching-learning methods, and activities, therapeutic approach can create exemplary cross discipline cases. Hence, music therapy shall be better incorporated into the classroom environment. In conclusion, this study suggests that; 1) developing the music-therapy-based education model and teaching-learning plans for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s are important for enhancing their developmental functions and 2) follow-up studies are necessary.-
dc.description.tableofcontentsⅠ. 서론 1 A. 연구의 필요성 및 목적 1 B. 연구문제 6 C. 연구의 범위 6 Ⅱ. 이론적 배경 8 A. 지적장애 학생의 특성 8 1. 지적장애 학생의 발달적 특성 8 2. 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10 B. 선행연구 고찰 14 1. 지적장애 학생 대상 사회성 관련 교과 선행연구 14 2. 음악치료를 적용한 교과 선행연구 15 C.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음악치료 적용 방법 17 1. 사회성 발달의 단계와 음악 18 2. 지적장애 학생의 음악교육을 위한 구조화 전략 22 D. 2015 특수교육 음악과 기본 교육과정과 사회적 기술 24 1. 음악과 적용 대상 24 2. 음악과 핵심역량과 사회적 기술 25 3. 음악과 성격목표와 사회적 기술 27 4. 음악과 내용 체계 28 Ⅲ. 연구방법 31 A. 음악활동수행 모델과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절차 31 1. 연구 대상 31 2. 개발 절차 33 B. 음악활동수행 모델 구성 방향 36 1. 음악활동수행 모델 개발의 실제 36 2. 음악활동수행 모델 설계 37 C. 교수학습 지도안 구성 방향 44 1. 교수학습 지도안의 구성 시 고려점 45 2. 교수학습 지도안의 구성 항목 46 3.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양식 52 4. 중학교군 음악과 교육과정 영역별 내용 체계표 52 D.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한 전문가 타당도 검증 방법 55 Ⅳ. 결과 및 논의 58 A. 음악활동수행 모델과 교수학습 지도안에 대한 타당도 검증 결과 58 1. 양적 평가 검증 결과 58 2. 검증 결과 반영안 61 B.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음악활동수행 모델 64 C.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교수학습 지도안 66 D. 논의 114 Ⅴ. 결론 및 제언 116 A. 결론 116 B. 제언 118 C. 연구의 제한점 119 참고문헌 121 부록 128 ABSTRACT 167-
dc.formatapplication/pdf-
dc.format.extent4336355 bytes-
dc.languagekor-
dc.publisher이화여자대학교 교육대학원-
dc.subject.ddc615.85154-
dc.title특수학교 지적장애 학생의 사회적 기술 증진을 위한 음악활동수행 모델과 교수・학습 지도안 개발-
dc.typeMaster's Thesis-
dc.title.translatedA study on the development of the Music-Activity-Practicing Model and teaching-learning plans for enhancing social skills of students with intellectual disabilities in special school-
dc.creator.othernameLee, Kyeong Yeon-
dc.format.pageix, 168 p.-
dc.identifier.thesisdegreeMaster-
dc.identifier.major교육대학원 음악치료교육전공-
dc.date.awarded2020. 8-
Appears in Collections:
교육대학원 > 음악치료교육전공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