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581 Download: 0

허구적 화자 중심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

Title
허구적 화자 중심의 시 교육에 관한 연구
Other Titles
Through the content of fictional speaker education in Korea's middle school poetry education to improve the research content abstract of fictional speaker education in china's middle school poetry education.
Authors
XU, XIALIN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국어교육학과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Master
Advisors
김정우
Abstract
Although poetry is not a dialogue in the actual situation, it can also be said that it is a kind of communication between poets and readers. In the process of communication, the most important factor is the speaker. Especially for the middle school learners whose communication and interpersonal relationship are not mature, the importance of speaker education is particularly obvious. However, China's 2011 revised curriculum lacks educational contents about poetic speakers. And there is almost nothing about fiction speaker . In this study, to raise the importance of speaker education in Chinese middle school poetry education, selected fictional speaker education with outstanding effect according to speaker setting. Based on the analysis of the fictional speaker education patterns in Korean middle school Korean textbooks, it was intended to present a plan to improve the speaker education of Chinese middle school Chinese textbooks. First of all, by reviewing the theory of modern poetry speakers in Chapter II, tried to promote the understanding of poetic speakers required for speaker education design. First, I examined the concept and type of poetic speakers, and explored the concept and type of speaker based on the fictional speaker among the speaker types. It was also discussed the educational significance of the fictional speaker from three aspects: arousing learning interest, strengthening imagination and cultivating various perspectives. Finally, I examined the achievement standards and contents related to speakers in Korean language and education courses in Korea and China. In Chapter III, in order to comprehensively study the education of fictional speaker in Korean middle schools, we investigated the works of fictional speaker in the Korean textbooks of 2009 and 2015, and analyzed the works according to the types of fictional speaker. At the same time, through the analysis of the work's learning activities, to analyze the methods to improve the learners' understanding of the fictional speaker. In Chapter IV, based on the analysis results of Chapter III, the current situation of fictional speaker education in Korea's secondary schools was mastered, and the improvement plan of fictional speaker education in China was put forward. In this improvement plan, it was intended to consider the elements of the Chinese language curriculum and the fictional narrator's work in middle school education, select modern poetry works suitable for the fictional speaker's education in China, and then design a plan to organize learning activities. Hope to take this paper as an opportunity to add poems using fictional speaker to the secondary Chinese education in China in the future. Through fictional speaker, middle school students can understand the speaker's emotion and setting effect, and master the type and importance of fictional speaker. [key words] fictional speaker, Chinese and Korean speaker education, setting effect, middle school students;시는 얼굴을 마주하고 시공간을 공유하며 나누는 대화는 아니지만 시인과 독자 사이에 발생하는 일종의 소통 행위이다. 소통의 국면에 주목하여 볼 때 시의 중요한 요소는 화자라고 할 수 있다. 시인은 자신을 드러내면서 자신의 목소리로 시를 쓸 수도 있지만, 대부분의 경우 시에서 전하려고 하는 메시지나 정서를 극대화하기 위하여 실제 시인과는 구별되는 시적 화자를 설정한다. 독자의 입장에서는 시 텍스트를 발화하고 있는 화자가 누구인지를 파악하고, 그 화자의 특성을 고려하면서 시를 읽을 때 시인이 마련한 시적 의사소통에 온전히 참여할 수 있다. 이러한 점을 고려해 볼 때 중국 2011 개정 교육과정에서 화자에 관한 내용은 부족한 실정이다. 또한 중국의 어문 교과에서도 허구적 화자 관련 내용은 거의 다루어지지 않고 있다. 본 연구에서는 향후 중국 중학교 시 교육이 보다 더 화자 교육의 중요성을 인식하고 허구적 화자에 대한 교육이 충실히 이루어지는 것이 필요하다고 판단하였다. 이에 한국 중학교 국어 교과서에 나타난 허구적 화자 교육의 양상을 분석하고 그 결과를 토대로 중국의 중학교 어문 교과서의 화자 교육 개선안을 제시하고자 하였다. 우선 Ⅱ장에서는 현대시 화자에 대한 이론을 검토함으로써 화자 교육 설계를 위해 요구되는 시적 화자의 이해를 도모하고자 하였다. 먼저 시적 화자의 개념과 유형을 살펴보고, 화자 유형 중에서도 허구적 화자를 중심으로 화자의 개념과 유형을 모색하였다. 또한 허구적 화자를 통한 흥미 유발, 상상력의 신장, 다양한 시각의 형성 등 다방면에서 화자의 교육적 의의를 조명하였다. 그리고 한국과 중국의 국어과 교육과정에 마련되어 있는 화자 관련 교육 내용을 살펴보았다. Ⅲ장에서는 한국의 시 교육에서 이루어지고 있는 허구적 화자 교육의 면모를 살피기 위해서 한국의 2009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과 2015 개정 국어과 교육과정에 따른 중학교 국어 교과서를 대상으로 허구적 화자의 작품 수록 및 단원 구성 현황, 그리고 허구적 화자 유형에 따른 작품 분석을 수행하였다. 또한 해당 작품의 학습활동 분석을 통해 학습자의 허구적 화자의 이해를 높이기 위한 방법에 대해 분석하였다. Ⅳ장에서는 Ⅲ장의 분석 결과를 토대로 중국 중학교 시 교육에서 허구적 화자에 대한 교육 내용을 마련하고 작품 선정의 원리와 바람직한 학습활동 개발 방향을 모색하고자 하였다. 이 논문을 계기로 향후 중국 중학교 화자 교육에서 허구적 화자를 활용한 시 교육이 본격적으로 시행되어 중국 중학생들이 시의 화자를 통한 문학 향유의 즐거움을 느끼고, 시적 화자의 정서나 설정 효과를 이해하며, 허구적 화자의 유형과 중요성을 파악할 수 있게 되기를 기대한다. [주요어] 허구적 화자, 한・중 화자 교육, 설정 효과, 중학교 학습자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국어교육학과 > Theses_Master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