View : 1038 Download: 0

19~20세기 영산회상 거문고선율 변천 연구

Title
19~20세기 영산회상 거문고선율 변천 연구
Other Titles
Study on Changes in 19~20th Century Yeongsanhoesang Geomungo Melody
Authors
김소연
Issue Date
2020
Department/Major
대학원 음악학부
Publisher
이화여자대학교 대학원
Degree
Doctor
Advisors
김선옥
Abstract
본 논문은 상령산부터 군악까지 영산회상을 이루는 9곡이 현행과 동일한 순서로 나타나는 최초의 악보인 '동대금보' 이후의 악보 중 편찬 연대가 확실한 11종의 악보를 대상으로, 19~20세기 거문고선율 변천 양상을 살펴보았다. 분석대상 악보는 19세기의 '동대금보', '죽취금보', '삼죽금보', '오희상금보', '아금고보' 5종과 20세기의 '방산한씨금보', '해산유음', '청음고보', '아악부 현금보',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 '창하유필' 6종이다. 상령산 선율을 살펴본 결과, '아악부 현금보'가 약 95% 정도로 현행과 가장 일치도가 높았으며, '아금고보'는 상이선율 분포도가 약 25% 정도로 가장 높았고 그 다음은 '해산유음'이 약 21%로 상이선율이 많았다. 유사선율로 분류된 선율의 특징으로는 현행과 주요음은 같지만 음을 추가한 형태가 가장 많이 나타났고, 한 박 또는 두 박 안에서 선율을 분할하여 연주하는 악보가 많았다. 또한, 19세기 악보에서 㑖-㑣으로 2도 상행진행 하고 20세기 악보에서는 현행과 같이 㑣-㑖으로 2도 하행진행 하는 형태가 나타났다. 중령산 선율을 살펴본 결과, '아악부 현금보'는 현행 선율과 완전히 동일했고 '삼죽금보'는 상이선율 분포도가 약 17%로 가장 많이 나타났으며 '오희상금보'는 동일선율이 약 25%로 현행 선율과 일치도가 가장 낮았다. 유사선율로 분류된 선율의 특징은 원점 㑖-㑖, 㑖-㑣, 黃-黃 사이에 㒇가 간점으로 사용되는 경우가 많았고 㒇-㑣으로 4도 하행진행 하거나, 㒇-黃으로 2도 상행진행 하는 경우가 가장 많이 나타났다. 세령산 선율을 살펴본 결과,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가 동일선율 약 96%로 현행 선율과 일치율이 가장 높았으며, '오희상금보'가 18%로 가장 낮게 나타났다. '동대금보', '죽취금보', '삼죽금보', '오희상금보' 4종은 상이선율이 약 46%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사선율로 분류된 선율의 특징은 경과음을 사용하지 않거나 경과음의 선율이 현행 㑣보다 3도 위의 㒇로 대치되는 선율이 많이 나타났다. '오희상금보', '아금고보', '해산유음'은 리듬을 분할한 형태가 나타나며 원점에 해당하는 음을 기준으로 㒇가 추가되어 나타났다. 또한 두 박을 지속하는 선율 형태보다 한 박씩 동일음이 반복되는 형태가 많이 나타났다. 상이선율로 분류된 선율에서 2장 제1각이 차이가 뚜렷하게 나타나며, 현행 선율을 제외한 11종의 악보가 상이선율로 나타났다. 가락덜이 선율을 살펴본 결과,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가 동일선율 약 95%로 일치율이 가장 높았으며, '오희상금보'가 약 10%로 가장 낮았다. 또한 '오희상금보'는 상이선율이 약 50%를 차지하며 다양한 선율이 나타났다. 유사선율로 분류된 선율의 특징은 음이 생략되거나 추가된 경우, 현행 선율과 비교하여 4도 위의 음으로 대치된 경우로 나타났다. 상이선율로 분류된 각의 특징은 현행 선율과 비교하여 주요음의 선율이 반대로 진행되는 경우로 나타났다. 상현도드리 선율을 살펴본 결과, '아악부 현금보'는 현행과 완전히 일치하며 '오희상금보'의 동일선율은 약 8%로 가장 낮게 나타난다. 또한 '오희상금보'는 상이선율도 약 40%로 가장 많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해산유음'은 상현도드리 종지각에서 다른 선율 진행이 보이는데 이는 별곡 연주 시 도드리로 넘어가기 위한 선율임을 알 수 있었다. 하현도드리 선율을 살펴본 결과, ‘해탄’의 악곡명이 사용된 '아금고보', '해산유음', '청음고보'는 현행 3장에 해당하는 부분부터 해탄 선율이 나타났다. '아악부 현금보'가 동일선율 약 88%로 현행 선율과 가장 일치율이 높으며, '죽취금보'가 약 15%로 가장 낮았다. 상이선율은 '아금고보'가 약 31%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해산유음', '청음고보', '창하유필'은 리듬이 분할된 형태와 경과음이 㑖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다. 또한 19세기 금보는 경과음이 㑖으로 나타났으며 20세기 금보부터 㑣으로 변화하였다. 상이선율로 분류된 선율의 특징은 19세기 악보에서 나타난 㑖이 20세기 악보에서 㑣으로 변화하였고 리듬도 세분화 되었다. 염불도드리 선율을 살펴본 결과, '아악부 현금보'가 동일선율 약 96%로 일치율이 가장 높았으며, '해산유음'이 약 12%로 가장 낮았다. 상이선율은 '죽취금보'가 약 29%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19세기 악보는 리듬 분할 없이 한 박씩 상행진행 하며 4박에서 㒇가 나타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타령의 선율을 살펴본 결과, '삼죽금보'는 누락선율 2각이 나타났고 유사선율은 대부분의 악보가 경과음의 음정 차이로 나타났다. 현행 초장 제8각부터 2장 제4각까지는 해탄 선율이 나타나는데, '동대금보', '죽취금보', '삼죽금보', '오희상금보', '해산유음', '청음고보' 6종의 악보에서 해탄 선율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각 악보의 선율 분포도는 '이왕직아악부 오선악보'와 '아악부 현금보'가 동일선율 약 98%로 현행과 가장 일치율이 높았으며, '오희상금보'가 약 14%로 일치율이 가장 낮았다. 상이선율은 '삼죽금보'가 약 31%로 가장 높게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유사선율은 대부분의 악보가 경과음의 음정 차이를 보였다. 黃에서 㑣으로 4도 하행진행 할 때 경과음은 현행은 㑣으로 나타나는 반면, '아악부 현금보' 이전의 악보에서는 黃 또는 㒇가 나타났다. 군악의 선율을 살펴본 결과, '죽취금보'와 '창하유필'에서 누락선율이 나타나며, 현행 2장 제1각부터 제4각까지는 해탄 선율이 나타남을 알 수 있었다. 해탄 선율은 '해산유음'을 제외한 10종의 악보에서 모두 나타났다. 각 악보의 선율 분포도는 '아악부 현금보'가 동일선율 약 93%로 현행과 일치율이 가장 높으며, '동대금보'가 29%로 가장 낮았다. 상이선율은 '삼죽금보'가 약 30%로 가장 높게 나타났다. 유사선율의 특징은 㑀-㑀 원점 사이에 간점이 㑬 또는 㑣으로 나타나는 경우가 많았고, 동일음을 반복하거나 생략하는 경우가 많이 나타났다. 상이선율의 특징은 淸을 사용하여 괘를 이동하거나, 현행은 동일음을 진행하는데 비해 㑲-㑣의 2도 하행진행 선율이 나타나는 경우가 나타났다. 현행 영산회상 9곡의 형태를 갖춘 '동대금보' 이후의 19~20세기 음악 형성은 각 악보의 선율이 다양하게 나타나는 것으로 보아 어떠한 법칙에 의해 정형화 된 것이 아닌, 일정한 틀 안에서 연주자나 지역에 따라 자유롭게 변주하여 이루어진 것이다. ;This study examined the changes in 19th and 20th century Geomungo melody arranging from the first Geomungo score 'Dongdaegeumbo' where all nine songs from Sangnyeongsan to Gunak which make up Yeongsanhoesang to 11 scores with the exact compilation date. The subject scores of analysis were six types including five 'Dongdaegeumbo', 'Jukchwigeumbo', 'Samjukgeumbo', 'Ohuisanggeumbo' and 'Ageumgobo' in the 19th century, and six 'Bangsanhanssigeumbo', 'Haesanyueum', 'Cheongeumgobo', 'Aakbu Hyeongeumbo', 'Iwangjikaakbu manuscript score' and 'Changhayupil' in the 20th century. The Sangnyeongsan melody showed that 'Aakbu Hyeongeumbo' had the highest consistency of about 95% with the present melody, whereas 'Ageumgobo' had the highest rate of inconsistency of about 25%. As the features of the melody categorized into the similar melody, the key notes were as same as they are now but the form of adding notes appeared most often, and the melody was split within a beat or two. Geumbo in the 19th century also had the 㑖-㑣 progression with ascending 2nds and Geumbo in the 20th century had the 㑣-㑖 progression with descending 2nds.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Jungnyeongsan melody showed that 'Aakbu Hyeongeumbo' had the completely identical melody with the present melody, and, in case of the different melody, 'Samjukgeumbo' of about 15% appeared most frequently. 'Ohuisanggeumbo' had the lowest consistency rate of about 25% with the present melody. As the features of the melody categorized into the similar melody, 㒇 was very often used as the main point between the origins 㑖-㑖, 㑖-㑣, and 黃-黃, and it had the 㒇-㑣 progression with descending 4ths or the 㒇-黃 progression with ascending 2nds most frequentl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eryeongsan melody showed that 'Aakbu Hyeongeumbo' had the highest consistency of about 96% with the present melody, while 'Ohuisanggeumbo' had the lowest consistency of about 20%. The four types including 'Dongdaegeumbo', 'Jukchwigeumbo', 'Samjukgeumbo' and 'Ohuisanggeumbo' had the highest inconsistency of about 45%. As the features of the melody categorized into the similar melody, either passing tones were not used or the melody of passing tones was 㒇 with ascending 3rds in contrast to present 㑣. 'Ohuisanggeumbo', 'Ageumgobo' and 'Haesanyueum' showed the split form of rhythm and 㒇 was added on the basis of a note corresponding to its origin. Moreover, a pattern in which the same note is repeated one by one appeared more than the melody pattern that lasted two beats. In the melody classified into the different melody, the first gak of chapter two showed the distinctive difference, and the 11 score types except the present melody showed the different melod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Garakdeori melody showed that 'Iwangjikaakbu manuscript score' had the highest consistency rate of about 95% in case of the same melody, while 'Ohuisanggeumbo' had the lowest consistency rate of about 10%. 'Ohuisanggeumbo' also took the inconsistency rate of about 50%, showing various melodies. As the features of the melody categorized into the similar melody, when the note was either omitted or added, the note was substituted with ascending 4ths compared to the present melody. As the features of the gak categorized into the different melody, the melody of the main notes was proceeded in the opposite direction compared to the present melody.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Sanghyeondodeuri melody showed that 'Aakbu Hyeongeumbo' was completely consistent with the present melody. 'Ohuisanggeumbo' had the lowest rate of the same melody of about 10% and had the highest rate of the different melody of about 40%. 'Haesanyueum' showed the different progression of melody in the final gak of Sanghyeondodeuri, which showed that it was the melody to go to Dodeuri when playing a special tune. The results of examining the Hahyeondodeuri melody showed that 'Ageumgobo', 'Haesanyueum', and 'Cheongeumgobo' which used the name of music “Haetan” showed the Haetan melody from the current Chapter three. 'Aakbu Hyeongeumbo' had the 90% closest melody to the same melody, while 'Jukchwigeumbo' had the lowest rate of the same melody of about 15%. In case of the different melody, 'Ageumgobo' had the highest rate of about 30%. 'Haesanyueum', 'Cheongeumgobo', and 'Changhayupil' frequently showed the split patterns of rhythm and passing tones appearing as 㑖. Geumbo in the 19th century also showed the passing tones appearing as 㑖. It changed to 㑣 from the Geumbo in the 20th century. As the features of the melody categorized into the different melody, 㑖 which appeared in the 19th century score was changed to 㑣 in the 20th century score, and the rhythm was subdivided. The review results of the Yeombuldodeuri melody showed that 'Aakbu Hyeongeumbo' had the highest consistency of about 95% in case of the same melody, while 'Haesanyueum' had the low consistency of about 10%. The different melody was the highest of about 30% in 'Jukchwigeumbo'. Geumbo in the 19th century showed the ascending progression beat by beat without a rhythmic division and 㒇 appeared in four beats. According to the results of reviewing the melody of Taryeong, the Haetan melody appeared from the current eighth gak in the beginning to the fourth gak in Chapter two of the six types of scores including 'Dongdaegeumbo', 'Jukchwigeumbo', 'Samjukgeumbo', 'Ohuisanggeumbo', 'Haesanyueum', and 'Cheongeumgobo' out of 11 types of scores. The melody distribution of each score showed that 'Iwangjikaakbu manuscript score' and 'Aakbu Hyeongeumbo' had the highest rate of consistency of about 95% with the current melody in case of the same melody, while 'Ohuisanggeumbo' had the lowest consistency rate of about 15%. In case of the different melody rate, 'Samjukgeumbo' had the highest inconsistency of about 30%. In case of the features of the similar melody, most of the scores were characterized by their difference in the tune of passing tones. Whereas the current passing tone is 㑣 in the progression from 黃 to 㑣 with descending 4ths, 黃 or 㒇 appeared in the scores before 'Aakbu Hyeongeumbo'. The results of the melody review of Gunak showed that the Haetan melody appeared from the current first gak to the fourth gak in Chapter two. The Haetan melody was all over the 10 types of scores except for 'Haesanyueum'. The melody distribution in each score showed that 'Aakbu Hyeongeumbo' had the highest consistency rate of about 95% in case of the same melody rate, whereas 'Dongdaegeumbo' had the lowest rate of about 30%. The highest different melody rate was 'Samjukgeumbo' of about 30%. Regarding the features of the similar melody, the main point appeared as either 㑬 or 㑣between the origins of 㑀-㑀 many times and the same notes were often repeated or omitted. The different melody was characterized by moving Gwae using 淸 or descending with 2nds such as 㑲-㑣 compared to the current progression of the same notes. The musical formation in the 19th and 20th century after 'Dongdaegeumbo' which had the current patterns of the nine songs of Yeongsanhoesnag was not stereotyped by certain rules considering that the melody in each score appeared diversely. Thus, variations were played freely depending on the player or the region within a fixed frame.
Fulltext
Show the fulltext
Appears in Collections:
일반대학원 > 음악학부 > Theses_Ph.D
Files in This Item:
There are no files associated with this item.
Export
RIS (EndNote)
XLS (Excel)
XML


qrcode

BROWSE